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7


【경】 及說



【종밀주석】 及이 有二義니 一은 簡前義니 顯是二問이오 二 合集義니 非但請說因地라 亦及請說發心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及이 두 디 잇니 나 주001)
나:
하나는. 나ㅎ(ㅎ종성체언)+.
알 주002)
알:
앞을. 앒[前]+.
 디니 이 두 묻오민 주003)
묻오민:
여쭘인. 묻-[問]+/오+옴+이+ㄴ.
주004)
:
것을. (의존명사)+ㄹ.
나토샤미오 주005)
나토샤미오:
나타내심이고. 낱-[現]+오(사동접미사)+(으)샤+옴+이+고/오. ‘-오’는 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 [ɦ]은 닿소리이므로 ‘-이요’로 표기되지 않음.
둘흔 뫼호 주006)
뫼호:
모으는. 뫼호-++ㄴ.
디니 갓 주007)
갓:
다만[但]. ‘공연히’란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다음이 그 예. ‘갓 그 일후미 잇거니 = 空有其名(능엄 1 :65)’.
因地 니샴 請

원각경언해 상1의2:90ㄱ

주008)
올:
하올. -+/오+오+ㄹ. ‘--’은 닿소리 앞에서 ‘-오-’는 홀소리 앞에서 쓰임.
 아니라  發心 니샴 請오매 미추미라 주009)
미추미라:
미침이다. 및-[及]+움+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급(及)이 두 뜻이 있나니, 하나는 앞을 분별하는 뜻이니, 이 두 여쭘인 것을 나타내심이고, 둘은 모은다는 뜻이니, 한갓 인지(因地) 설하심을 청(請)하올 뿐 아니라 또 발심(發心) 이르심을 청하옴에 미침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나:하나는. 나ㅎ(ㅎ종성체언)+.
주002)
알:앞을. 앒[前]+.
주003)
묻오민:여쭘인. 묻-[問]+/오+옴+이+ㄴ.
주004)
:것을. (의존명사)+ㄹ.
주005)
나토샤미오:나타내심이고. 낱-[現]+오(사동접미사)+(으)샤+옴+이+고/오. ‘-오’는 대등적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 [ɦ]은 닿소리이므로 ‘-이요’로 표기되지 않음.
주006)
뫼호:모으는. 뫼호-++ㄴ.
주007)
갓:다만[但]. ‘공연히’란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다음이 그 예. ‘갓 그 일후미 잇거니 = 空有其名(능엄 1 :65)’.
주008)
올:하올. -+/오+오+ㄹ. ‘--’은 닿소리 앞에서 ‘-오-’는 홀소리 앞에서 쓰임.
주009)
미추미라:미침이다. 및-[及]+움+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