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①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2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2


【경】 乃能爲諸菩薩야 諮詢如來ㅅ因地法行며 及爲末世옛 一切衆生의 求大乘者ㅣ

能히 諸菩薩 爲야 如來ㅅ 주001)
여래(如來)ㅅ:
‘여래’가 [+높임]의 체언이기 때문에 ‘-ㅅ’이 쓰인 것.
因地옛 주002)
인지(因地)옛:
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옛’은 부사격조사 ‘-예’에 관형격조사 ‘-ㅅ’이 통합한 것.
法行 무르며 주003)
무르며:
물으며. 묻-[諮. 問]+(으)며.
 末世옛 一切 衆生 주004)
중생(衆生):
‘-’는 ‘-중에서’의 뜻을 지님.
大乘 求리 주005)
구(求)리:
구할 사람이. -+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능히 여러 보살을 위하여 여래(如來)의 인지(因地)에 있는 법행(法行)을 물으며 또 말세(末世)에 있는 중생의(=중생 중에서) 대승(大乘)을 구(求)할 사람이

【종밀주석】 此下로 乃至不墯邪見힌 牒所問辭샤 正述善之所以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아래로 주006)
아래로:
아래(명사)+로(부사격조사). ‘-로’는 [시발점]을 의미한다.
邪見에 디디 주007)
디디:
떨어지지. 디-[墮]+디(보조적연결어미).
아니호매 주008)
아니호매:
아니함에. 아니(부사)+-+옴+애.
니르린 주009)
니르린:
이르기까지는. 니를-[至]+이(부사형어미)+ㄴ(보조사).
묻온 주010)
묻온:
여쭌. 묻-+/오+오+ㄴ. ‘--’은 닿소리 어미 앞에서, ‘-오-’는 홀소리 어미 앞에서 쓰임. 통시적으로는 ‘묻〉묻온’.
마 牒샤 주011)
첩(牒)샤:
‘牒(첩)’은 앞의 글을 이어받아 말하는 것. 〈참고〉 牒은 우흘 드듸여 니를 씨라(楞嚴 1 :49ㄴ).
正히 善혼 고 주012)
고:
것을. 바를. 곧(의존명사)+.
니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아래로부터 ‘사견(邪見)에 떨어지지 아니함’〈이란 구절〉에 이르기까지는 여쭌 말씀을 첩(牒)하시어 정(正)히 선(善)한 것을(=바를) 이르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여래(如來)ㅅ:‘여래’가 [+높임]의 체언이기 때문에 ‘-ㅅ’이 쓰인 것.
주002)
인지(因地)옛:성불하려고 수행하는 지위. ‘-옛’은 부사격조사 ‘-예’에 관형격조사 ‘-ㅅ’이 통합한 것.
주003)
무르며:물으며. 묻-[諮. 問]+(으)며.
주004)
중생(衆生):‘-’는 ‘-중에서’의 뜻을 지님.
주005)
구(求)리:구할 사람이. -+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06)
아래로:아래(명사)+로(부사격조사). ‘-로’는 [시발점]을 의미한다.
주007)
디디:떨어지지. 디-[墮]+디(보조적연결어미).
주008)
아니호매:아니함에. 아니(부사)+-+옴+애.
주009)
니르린:이르기까지는. 니를-[至]+이(부사형어미)+ㄴ(보조사).
주010)
묻온:여쭌. 묻-+/오+오+ㄴ. ‘--’은 닿소리 어미 앞에서, ‘-오-’는 홀소리 어미 앞에서 쓰임. 통시적으로는 ‘묻〉묻온’.
주011)
첩(牒)샤:‘牒(첩)’은 앞의 글을 이어받아 말하는 것. 〈참고〉 牒은 우흘 드듸여 니를 씨라(楞嚴 1 :49ㄴ).
주012)
고:것을. 바를. 곧(의존명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