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3


【경】 如來ㅅ 本起샨

如來ㅅ 주001)
여래(如來)ㅅ:
여래의.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에 붙는 관형격조사.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本來 니르와샨 주002)
니르와샨:
니/니르/닐-[起](자동사어간)+(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샤+오+ㄴ.

여래의 본래 일으키신,

【종밀주석】 佛昔根本所起샨 最初之心이라

부텻 주003)
부텻:
부처의. 궁극적으로는 ‘’을 한정한다.
녜 根本앳 니르와샨 주004)
니르와샨:
일으키신. 닐-[起]+으(사동접미사)+왇(〈)+()샤+오+ㄴ. ‘-왇-’은 [강세]의 접미사.
주005)
:
가장.
처 주006)
처:
처음의. 처+ㅅ.
미라

부처의 옛날 근본에서의 일으키신 가장 첫 마음이다.

【경】 淸淨

淸淨

청정(淸淨)한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1의2:87ㄱ

圓照本體ㅣ 元無煩惱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두려이 주007)
두려이:
원만하게. 두루두루. 두렵/두려-[圓]+이(부사파생접미사). 통시적으로는 ‘두려〉두려이’.
照시 本體ㅣ 本來 煩惱 업스샤미라 주008)
업스샤미라:
없으심이다. 없-+(으)샤+옴+이+라. 일반적으로 ‘-(으)시-’는 닿소리 앞에서, ‘-(으)샤-’는 홀소리 앞에서 쓰임.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원만하게 비추시는 본체(本體)가 본래 번뇌가 없으심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여래(如來)ㅅ:여래의. ‘-ㅅ’은 무정체언이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체언에 붙는 관형격조사.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2)
니르와샨:니/니르/닐-[起](자동사어간)+(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샤+오+ㄴ.
주003)
부텻:부처의. 궁극적으로는 ‘’을 한정한다.
주004)
니르와샨:일으키신. 닐-[起]+으(사동접미사)+왇(〈)+()샤+오+ㄴ. ‘-왇-’은 [강세]의 접미사.
주005)
:가장.
주006)
처:처음의. 처+ㅅ.
주007)
두려이:원만하게. 두루두루. 두렵/두려-[圓]+이(부사파생접미사). 통시적으로는 ‘두려〉두려이’.
주008)
업스샤미라:없으심이다. 없-+(으)샤+옴+이+라. 일반적으로 ‘-(으)시-’는 닿소리 앞에서, ‘-(으)샤-’는 홀소리 앞에서 쓰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