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0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0


【경】 遠離諸病샤

한 病 머리 주001)
머리:
멀리. 멀-[遠]+이(부사파생접미사).
여희샤 주002)
여희샤:
벗어나심을. 여희-[離]+(으)샤+옴+. ‘-(으)시-’는 닿소리 어미 앞에서, ‘-(으)샤-’는 홀소리 어미 앞에서 쓰임.
니샤 주003)
니샤:
89ㄴ의 ‘說’에 대한 언해이다.

많은 병을 멀리 벗어남을 설하시어

【종밀주석】 一發之後에 永無忘失이니 無忘失故로 魔惑이 不嬈리라 下애 佛答샤 有無 俱離며 覺照ㅣ 亦泯야 能所ㅣ 絶等이 卽離 諸病이니 此ㅣ 乃不發一切心이 名眞發淸

원각경언해 상1의2:91ㄴ

淨心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 번 發 後에 永히 니저 일훔 주004)
일훔:
잃음. 잃-[失]+움(명사형어미).
업수미니 니저 일훔 업슬 魔惑이 어즈리디 주005)
어즈리디:
어지럽히지. 어즐-(불규칙적 어근)+이(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접사와 결합하지 않은 ‘어즐-’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불규칙적 어근으로 잡아 둔다.
몯리라 아래 주006)
아래:
아래에. 아래+∅(부사격조사).
부톄 對答샤 주007)
샤:
하시되. -+(으)샤+오. ‘-(으)시-’는 닿소리 어미 앞에서, ‘-(으)샤-’는 홀소리 어미 앞에서 쓰임.
有와 無와 다 여희며 覺照ㅣ  업서 能所 주008)
능소(能所):
‘능’은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것. ‘소’는 수동적으로 동작을 받는 것.
그춤 주009)
그춤:
끊어짐. 그침. 긏-[絶. 止]+움(명사형어미).
히 주010)
히:
들이. ㅎ(ㅎ종성체언)+이.
곧 한 病을 여희요미니 주011)
여희요미니:
벗어남이니. 여희-[離]+옴(명사형어미)+이+니. ‘ㅣ’순행동화, 또는 반닿소리 [j]의 개입에 의한 홀소리충돌회피.
이 一切心을 發티 아니호미 일후미 眞實로 淸淨心 發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한 번 발(發)한 후에 영원히 잊어 잃음 없음이니, 잊어서 잃음 없으므로 마혹(魔惑)이 어지럽히지 못하리라. 아래에 부처께서 대답하시되, 유(有)와 무(無)를 다 여의며 각조(覺照)가 또 없어 능소(能所)가 끊어짐과 같은 것들이 곧 많은 병을 여읨이니, 이것이 일체심(一切心)을 발(發)하지 아니함이 이름이 ‘진실로 청정심(淸淨心)을 발(發)함’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머리:멀리. 멀-[遠]+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2)
여희샤:벗어나심을. 여희-[離]+(으)샤+옴+. ‘-(으)시-’는 닿소리 어미 앞에서, ‘-(으)샤-’는 홀소리 어미 앞에서 쓰임.
주003)
니샤:89ㄴ의 ‘說’에 대한 언해이다.
주004)
일훔:잃음. 잃-[失]+움(명사형어미).
주005)
어즈리디:어지럽히지. 어즐-(불규칙적 어근)+이(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접사와 결합하지 않은 ‘어즐-’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불규칙적 어근으로 잡아 둔다.
주006)
아래:아래에. 아래+∅(부사격조사).
주007)
샤:하시되. -+(으)샤+오. ‘-(으)시-’는 닿소리 어미 앞에서, ‘-(으)샤-’는 홀소리 어미 앞에서 쓰임.
주008)
능소(能所):‘능’은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것. ‘소’는 수동적으로 동작을 받는 것.
주009)
그춤:끊어짐. 그침. 긏-[絶. 止]+움(명사형어미).
주010)
히:들이. ㅎ(ㅎ종성체언)+이.
주011)
여희요미니:벗어남이니. 여희-[離]+옴(명사형어미)+이+니. ‘ㅣ’순행동화, 또는 반닿소리 [j]의 개입에 의한 홀소리충돌회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