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상1의2
  • 1. 문수사리보살장(文殊師利菩薩章) 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


【경】

원각경언해 상1의2:83ㄴ

頂禮佛足고

부텻 주001)
부텻:
부처의. ‘-ㅅ’은 관형격조사.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바 주002)
바:
발에. 현대국어라면 부사격조사 ‘-에’가 쓰일 환경에서 목적격조사 ‘-’이 쓰였다.
頂禮 주003)
정례(頂禮):
머리가 상대자의 발에 닿도록 하는 절.
고 주004)
고:
여기에 ‘--’이 쓰인 것은 직접적으로는 ‘(부처의) 발’을 높이기 위함이다.

부처의 발에 정례(頂禮)하옵고.

【종밀주석】 以已最尊之頂으로 禮佛最卑之足샤미 敬之至也ㅣ라 敬은 是意業이니 意業이 無狀故로 以身口로 表之시니라 經에 標白言며 及下애 歎大悲ㅣ 卽口業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주005)
내:
‘己’의 번역. ‘나’가 화자를 지칭하지 않고 ‘자기 자신’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국어에서도 존재함. 여기서는 문수사리보살을 지칭함.
주006)
:
가장. 현대국어에 와서는 접두사로 변하였다.
尊 바기로 주007)
바기로:
정수리로.
부텻  가온 주008)
가온:
낮은. -+갑/가오(형용사파생접미사)+. 형용사 ‘-’에 형용사파생접미사가 쓰인 것은 ‘-’이 동사로도 쓰인 사실([낮아지다]의 의미)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통시적으로는 ‘가〉가온’. ‘- → -’은 8종성표기법.
바 禮샤미 주009)
바 예(禮)샤미:
‘-(으)샤-’를 쓴 것은 주체가 문수사리이기 때문임. ‘바(발+)’은 목적격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현대국어라면 부사격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이다.
恭敬의 至極이라 敬은 이 意業이니 주010)
경(敬)은 이 의업(意業)이니:
‘이’는 주어를 반복하여 강조한 것이다. 동일 절(節) 안에서 앞에 나타난 주어를 다시 반복하는 기능을 가진 이 ‘이’의 쓰임은 중세국어의 특징임. 한문의 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한문 원문이 없는 한글 자료에서도 보임.
意業이 얼굴 주011)
얼굴:
형체. 얽+울.
업슬 身과 口와로 나토시니라 주012)
나토시니라:
나타내시니라. 낱-+오(사동접미사)+시+니+라.
經에 와 주013)
와:
아뢰어. /오-[白]+아. 통시적으로는 ‘〉와’.
니샤 標며  아래 주014)
아래:
아래[下]에서.
大悲 讚歎샤미 곧 口業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자기의 가장 존귀한 정수리로 부처의 가장 낮은 발에 절하심이 공경의 지극이다. 경(敬)은 이것은 의업(意業)이니, 의업(意業)이 형체가 없으므로 신(身)과 구(口)로 나타내시니라. 경(經)에 아뢰어 이르심을 표(標)하며 또 아래에 대비(大悲)를 찬탄하심이 곧 구업(口業)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부텻:부처의. ‘-ㅅ’은 관형격조사.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2)
바:발에. 현대국어라면 부사격조사 ‘-에’가 쓰일 환경에서 목적격조사 ‘-’이 쓰였다.
주003)
정례(頂禮):머리가 상대자의 발에 닿도록 하는 절.
주004)
고:여기에 ‘--’이 쓰인 것은 직접적으로는 ‘(부처의) 발’을 높이기 위함이다.
주005)
내:‘己’의 번역. ‘나’가 화자를 지칭하지 않고 ‘자기 자신’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국어에서도 존재함. 여기서는 문수사리보살을 지칭함.
주006)
:가장. 현대국어에 와서는 접두사로 변하였다.
주007)
바기로:정수리로.
주008)
가온:낮은. -+갑/가오(형용사파생접미사)+. 형용사 ‘-’에 형용사파생접미사가 쓰인 것은 ‘-’이 동사로도 쓰인 사실([낮아지다]의 의미)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통시적으로는 ‘가〉가온’. ‘- → -’은 8종성표기법.
주009)
바 예(禮)샤미:‘-(으)샤-’를 쓴 것은 주체가 문수사리이기 때문임. ‘바(발+)’은 목적격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현대국어라면 부사격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이다.
주010)
경(敬)은 이 의업(意業)이니:‘이’는 주어를 반복하여 강조한 것이다. 동일 절(節) 안에서 앞에 나타난 주어를 다시 반복하는 기능을 가진 이 ‘이’의 쓰임은 중세국어의 특징임. 한문의 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한문 원문이 없는 한글 자료에서도 보임.
주011)
얼굴:형체. 얽+울.
주012)
나토시니라:나타내시니라. 낱-+오(사동접미사)+시+니+라.
주013)
와:아뢰어. /오-[白]+아. 통시적으로는 ‘〉와’.
주014)
아래:아래[下]에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