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3집 상1의2
  • Ⅰ. 서분
  • 2. 법회가 열린 장소
  • 2. 법회가 열린 장소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법회가 열린 장소 13


【경】 不二 隨順샤

아니 주001)
아니:
아님을. 중세국어의 ‘아니’는 명사 또는 부사로 쓰였다. 여기서는 명사. 아니(명사)+.
조차 주002)
조차:
따라서. 좇-[隨]+아.
順샤

둘 아님을 좇아서 따르시어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1의2:56ㄱ

隨順不二也ㅣ라 西域語ㅣ 倒커늘 譯者ㅣ 迴文호 不盡故也ㅣ라 生死와 涅槃괘 爲二어든 凡夫 順生死고 二乘은 趣涅槃니 今皆不住故로 云隨順이라 又依報則淨穢ㅣ 不二오 正報

원각경언해 상1의2:56ㄴ

則生佛이 不二오 克體則身心이 不二오 通該則自他ㅣ 不二니 與此相應이 是隨順矣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1의2:57ㄱ

둘 아니 조차 順샤미라 西域 주003)
서역(西域):
인도.
ㅅ 마리 갓어늘 주004)
갓어늘:
거꾸러지거늘. 뒤집어지거늘. 갓-[倒]+거늘/어늘. ‘-어늘’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으로 변화한 것. 이 때의 [ɦ]은 닿소리이므로 연철되지 않음.
翻譯리 주005)
리:
할 사람이. -+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文을 두르혀 주006)
두르혀:
돌이키되. 뒤치되. 두르-[廻]+혀(강세접미사)+.
몯 주007)
몯:
못한. 몯(부정부사)+-+ㄴ.
젼라 生死와 涅槃괘 둘히어든 주008)
둘히어든:
둘인데. 둘ㅎ(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거든. ‘-어든’은 ‘-거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으로 변화한 것. 이 때의 [ɦ]은 닿소리임.
凡夫는 生死 順고 二乘 주009)
이승(二乘):
3승 중 성문승과 연각승. ①성문승 :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 : 스스로 깨달음.
은 涅槃애 向니 이제 주010)
이제:
합성대명사. 이+제.
다 住티 아니실 오 주011)
오:
/오-[白]+오.
隨順이라  依報 주012)
의보(依報):
우리들의 심신에 따라 존재하는 국토, 가옥, 의복, 식물 등.
조홈 주013)
조홈:
깨끗함. 좋-[淨]+옴. [好]를 뜻하는 ‘둏-’과 구별됨.
더러움 주014)
더러움:
더럽/더러우-[汚]+움.
괘 둘 아니오 주015)
아니오:
아니고. 아니(명사)+∅(서술격조사)+고. ‘-오’는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한 것. 이 [ɦ]은 닿소리임.
正報 주016)
정보(正報):
과거에 지은 업인(業因)에 갚아지는 과보(果報). 왜,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왜’는 /ㄱ/이 /ㄹ/ 뒤에서 약화한 것.
 生과 佛왜 둘 아니오 體 一定호 身과 心괘 둘 아니오 通히 주017)
통(通)히:
두루.
료 주018)
료:
끌어안음은. 포섭함은. 리-[擁. 該]+옴+.
自와 他왜 둘 아니니 이와 서르

원각경언해 상1의2:57ㄴ

마조미 이 隨順이라 주019)
이 수순(隨順)이라:
‘이’는 ‘이것이’를 뜻함. 이(대명사)+∅(주격조사). 동일 절(節) 안에서 앞에 나타난 주어를 다시 반복하는 기능을 가진 이 ‘이’의 쓰임은 중세국어의 특징임. 한문의 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한문 원문이 없는 한글 자료에서도 보임.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 아님을 좇아 따르심이다. 서역(西域)의 말이 뒤집혀지거늘[倒] 번역하는 사람이 글을 뒤치되[廻] 다하지 못한 까닭이다. 생사(生死)와 열반(涅槃)이 둘이거늘 범부(凡夫)는 생사를 좇고 이승(二乘)은 열반(涅槃)으로 향하나니, 이제 다 머무르지 아니하시므로 일컫자옵기를 수순(隨順)이라 하니라. 또 의보(依報)는 깨끗함과 더러움이 둘 아니고, 정보(正報)는 생(生)과 불(佛)이 둘 아니고, 체(體)를 일정함은 신(身)과 심(心)이 둘 아니고, 두루 끌어안음은 자(自)와 타(他)가 둘 아니니, 이와 서로 맞음이 이것이 수순(隨順)이다.
Ⓒ 역자 | 이유기 / 2005년 5월 1일

주석
주001)
아니:아님을. 중세국어의 ‘아니’는 명사 또는 부사로 쓰였다. 여기서는 명사. 아니(명사)+.
주002)
조차:따라서. 좇-[隨]+아.
주003)
서역(西域):인도.
주004)
갓어늘:거꾸러지거늘. 뒤집어지거늘. 갓-[倒]+거늘/어늘. ‘-어늘’은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으로 변화한 것. 이 때의 [ɦ]은 닿소리이므로 연철되지 않음.
주005)
리:할 사람이. -+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06)
두르혀:돌이키되. 뒤치되. 두르-[廻]+혀(강세접미사)+.
주007)
몯:못한. 몯(부정부사)+-+ㄴ.
주008)
둘히어든:둘인데. 둘ㅎ(ㅎ종성체언)+이(서술격조사)+거든. ‘-어든’은 ‘-거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으로 변화한 것. 이 때의 [ɦ]은 닿소리임.
주009)
이승(二乘):3승 중 성문승과 연각승. ①성문승 :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해탈을 얻음. ②연각승 : 스스로 깨달음.
주010)
이제:합성대명사. 이+제.
주011)
오:/오-[白]+오.
주012)
의보(依報):우리들의 심신에 따라 존재하는 국토, 가옥, 의복, 식물 등.
주013)
조홈:깨끗함. 좋-[淨]+옴. [好]를 뜻하는 ‘둏-’과 구별됨.
주014)
더러움:더럽/더러우-[汚]+움.
주015)
아니오:아니고. 아니(명사)+∅(서술격조사)+고. ‘-오’는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한 것. 이 [ɦ]은 닿소리임.
주016)
정보(正報):과거에 지은 업인(業因)에 갚아지는 과보(果報). 왜,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 ‘-왜’는 /ㄱ/이 /ㄹ/ 뒤에서 약화한 것.
주017)
통(通)히:두루.
주018)
료:끌어안음은. 포섭함은. 리-[擁. 該]+옴+.
주019)
이 수순(隨順)이라:‘이’는 ‘이것이’를 뜻함. 이(대명사)+∅(주격조사). 동일 절(節) 안에서 앞에 나타난 주어를 다시 반복하는 기능을 가진 이 ‘이’의 쓰임은 중세국어의 특징임. 한문의 직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한문 원문이 없는 한글 자료에서도 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