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상인 교화
  • 상인 교화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상인 교화 1


[상인 교화 1]
如來 菩提樹에 겨시다가 주001)
겨시다가:
계시다가. 겨시-[在]+시+다가(전환의 연결어미).
差梨尼迦 주002)
차리니가(差梨尼迦):
부처님 성도 후에 두 사람의 북인도 상인이 최초의 음식 공양을 올린 숲 이름.
ㅣ라 주003)
:
할.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어미).
수프레 올마 주004)
올마:
옮아. 옮겨. 옮-[移]+아/어.
가샤 結加趺坐 주005)
결가부좌(結加趺坐):
앉는 법의 한 가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것.
얫더시니 주006)
얫더시니:
하시었더니. -+아/어/야#이시-/잇-+더+시+니.
北天竺

월인석보 4:53ㄴ

두 바지天竺國 주007)
천축국(天竺國):
인도를 가리키는 말.
이 다시니 이 北天竺國 주008)
북천축국(北天竺國):
북인도를 가리키는 말.
이라】
일후미 주009)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帝梨富娑 주010)
제리부사(帝梨富娑):
Trapuṣa의 음역. 상인(商人)의 이름. 북인도 사람이라고도 하고, 우트칼라(Utkala) 사람이라고도 함. 석존은 그들에 대하여 처음으로 인간에 나고 천상에 나는 가르침을 설하고, 또 머리카락과 손톱을 주어 탑을 만들게 했다 함. 발리가(跋梨迦)와 합하여 둘을 제위파리(提謂波利)라고도 함. 부처님 성도(成道) 후 차리니가 숲에서 북인도의 상인인 이 두 사람이 공양을 처음 올리고, 최초의 우바새(優婆塞)가 됨.
跋梨迦 주011)
발리가(跋梨迦):
Bhallika의 음역. 상인(商人)의 이름. 이하는 위와 같음.
왜 智慧 하고 주012)
하고:
많고. 하-[多]+고(나열의 연결어미).
디 正 사미러니 주013)
사미러니:
사람이더니. 사[人]+이(서술격조사)+ㅣ(서술격조사)+더/러(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과거시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中天竺으로셔 주014)
중천축(中天竺)으로셔:
중인도에서. 中天竺+(/으)로+셔(시작점의 부사격조사).
五百 술위예 주015)
쉴위예:
수레에. 술위[車]+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에’는 ‘ㅣ’ 모음 뒤에서 ‘예’로 변동됨.
種種앳 쳔 주016)
쳔:
재물(財物).
싣고 北天竺도라가노라 주017)
도라가노라:
돌아가다. 도라가-[歸]++오/우+라. ‘도라가-’는 ‘돌-+아/어#가-’의 합성동사임.
야 如來 겨신 수프레 갓가

월인석보 4:54ㄱ

주018)
갓가:
가까이. 갓갑-[近](ㅂ불규칙)+이(부사 파생접미사).
디나가더라 주019)
디나가더라:
지나갔다. 디나가-[過]+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라. ‘디나가-’는 ‘디나-+아/어#가-’의 합성동사임.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저경〕 (爾時世尊 從羊子種樹林起已 安庠漸至一樹林下) 彼樹林名差梨尼迦 到彼林已 結加趺坐 (經於七日 爲欲受彼解脫樂故 爾時世尊 經七日後 正念正知 從三昧起 如是世尊 經七七日 以三昧力 相續而住 然彼善生村主之女 布施乳糜 一食已後更不別食 至今活命) 爾時彼處 從北天竺 有二商主 一名帝梨富娑 二名跋梨迦 彼二商主 有多智慧 心細意正 彼二商主 從中天竺依土所出 種種貨物 滿五百車 大得宜利 從中欲還北天竺國時彼路經差梨尼迦林外不遠 次第而行

[상인 교화 1]
여래께서 보리수에 계시다가 ‘차리니가’라 하는 수풀에 옮겨 가시어 결가부좌하시었더니, 북천축국 두 상인천축국이 다섯이니, 이는 북천축국이다.】 이름이 ‘제리부사’와 ‘발리가’가 지혜가 많고 뜻이 올바른 사람이더니, 중천국에서 오백 수레에 갖가지 재물을 싣고 북천축에 돌아가노라 하여 여래 계신 수풀에 가까이 지나갔다.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겨시다가:계시다가. 겨시-[在]+시+다가(전환의 연결어미).
주002)
차리니가(差梨尼迦):부처님 성도 후에 두 사람의 북인도 상인이 최초의 음식 공양을 올린 숲 이름.
주003)
:할. -+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ㅭ(관형사형 어미).
주004)
올마:옮아. 옮겨. 옮-[移]+아/어.
주005)
결가부좌(結加趺坐):앉는 법의 한 가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것.
주006)
얫더시니:하시었더니. -+아/어/야#이시-/잇-+더+시+니.
주007)
천축국(天竺國):인도를 가리키는 말.
주008)
북천축국(北天竺國):북인도를 가리키는 말.
주009)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10)
제리부사(帝梨富娑):Trapuṣa의 음역. 상인(商人)의 이름. 북인도 사람이라고도 하고, 우트칼라(Utkala) 사람이라고도 함. 석존은 그들에 대하여 처음으로 인간에 나고 천상에 나는 가르침을 설하고, 또 머리카락과 손톱을 주어 탑을 만들게 했다 함. 발리가(跋梨迦)와 합하여 둘을 제위파리(提謂波利)라고도 함. 부처님 성도(成道) 후 차리니가 숲에서 북인도의 상인인 이 두 사람이 공양을 처음 올리고, 최초의 우바새(優婆塞)가 됨.
주011)
발리가(跋梨迦):Bhallika의 음역. 상인(商人)의 이름. 이하는 위와 같음.
주012)
하고:많고. 하-[多]+고(나열의 연결어미).
주013)
사미러니:사람이더니. 사[人]+이(서술격조사)+ㅣ(서술격조사)+더/러(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설명의 연결어미). 과거시상의 선어말어미 ‘-더-’는 서술격조사 뒤에서 ‘-러-’로 교체됨.
주014)
중천축(中天竺)으로셔:중인도에서. 中天竺+(/으)로+셔(시작점의 부사격조사).
주015)
쉴위예:수레에. 술위[車]+애/에(처소의 부사격조사). ‘에’는 ‘ㅣ’ 모음 뒤에서 ‘예’로 변동됨.
주016)
쳔:재물(財物).
주017)
도라가노라:돌아가다. 도라가-[歸]++오/우+라. ‘도라가-’는 ‘돌-+아/어#가-’의 합성동사임.
주018)
갓가:가까이. 갓갑-[近](ㅂ불규칙)+이(부사 파생접미사).
주019)
디나가더라:지나갔다. 디나가-[過]+더(과거시상 선어말어미)+라. ‘디나가-’는 ‘디나-+아/어#가-’의 합성동사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