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4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4
  • 월인천강지곡 기67~기74(8곡)
  • 월인천강지곡 기70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70


其 七十
각시  옌 주001)
옌:
배에는. [腹]+예(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처소의 부사격조사에는 ‘애/에, 예, /의’가 있는데,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이 가운데 ‘-/의’는 관형격 조사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쓰이므로 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라고 함.
벌에 주002)
벌에:
벌레. 벌에[虫](평-거). ¶ 모 벌에며〈석상 9:9ㄴ〉.
骨〔髓옌 주003)
골수(骨髓)옌:
골수에는. 뼈속에는. 骨髓+예+ㄴ.
효〕

월인석보 4:2ㄴ

주004)
효:
작은. 횩-[小]+(/으)ㄴ(보조사). ‘효 벌에〈월석 2:51ㄱ〉’ 조금 시대가 늦은 두시언해에는 ‘효근 니피(小葉)〈두시 7:5〉’가 쓰였음.
미틔 주005)
미틔:
밑에는. 밑[底]+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보조사). 이 ‘-/의’는 주로 신체 지칭 체언(,  …), 방위 지칭 체언(우, 앒,  …), 지리·광물 지칭 체언(, , 뫼, 긿 …), 천문 지칭 체언(새박/새배 …), 식물 지칭 체언(나모, 곳 …), 음식 지칭 체언(술,  …), 가옥 지칭 체언(, 집 …), 가구 지칭 체언(갓, 그릇,  …), 수 지칭 체언(셜흔, 엻 …) 등에 결합함. 특이처격어라고도 함.
얼읜 주006)
얼읜:
엉긴. 얼의-[凝]+ㄴ(관형사형 어미).
벌에〔러니〕 주007)
벌에러니:
벌레이더니. 벌에[虫]+∅(영형태 서술격조사)+더/러(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각시  가〔온 주008)
가온:
가운데는. 가온[中]+(/으)ㄴ(보조사). 이 ‘가온’는 ‘가〈월석 14:80ㄱ〉’의 ‘ㅸ’소실형임.
가히 주009)
가히:
개. 가히[犬]. ¶ 狗 가히라〈월석(중) 21:42ㄴ〉.
엇게 주010)
엇게:
어깨. 엇게[肩]. ¶ 왼녁 엇게예 고〈석상 6:30ㄱ〉.
얌 주011)
얌:
뱀. 얌[蛇]. ¶ 얌 爲 蛇〈훈해 용자〉.
여〕 주012)
여:
여우. 여[狐]. ¶ 여와 狼과(狐狼)〈법화 2:111ㄴ〉. 이 명사는 모음조사 앞에서는 ‘이,  …’와 같이 제2음절 모음이 줄고 ‘ㅿ’은 첫음절의 종성으로 올려 썼음.
앒〔뒤헨 주013)
앒뒤헨:
앞뒤에는. 앒[前]+뒿[後](ㅎ종성체언)+에(처소의 부사격조사)+(/으)ㄴ.
아 주014)
아:
아이. 아[兒]. ¶ 兒 아라〈월석 서:18ㄱ〉.
할〕미러니 주015)
할미러니:
할미이더니. 할머니이더니. 할미[老嫗]+더/러(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부정칭 연결어미). ¶ 센 할미(皤皤老嫗)〈용가 19〉.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칠십
계집이 또 배에는 큰 벌레, 골수에는 작은 벌레, 밑에는(아랫도리에는) 엉긴 벌레이더니.
계집이 또 가운데는 개, 어깨에는 뱀과 여우, 앞뒤에는 아이와 할미이더니.
Ⓒ 역자 | 김영배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옌:배에는. [腹]+예(처소의 부사격조사)+ㄴ(보조사). 처소의 부사격조사에는 ‘애/에, 예, /의’가 있는데, ‘-애’는 체언의 끝 모음이 양성일 때, ‘-에’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음성일 때, ‘-예’는 체언의 끝 모음이 ‘이[i]’나, 부모음 ‘ㅣ[y]’일 때 쓰임. 이 가운데 ‘-/의’는 관형격 조사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쓰이므로 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라고 함.
주002)
벌에:벌레. 벌에[虫](평-거). ¶ 모 벌에며〈석상 9:9ㄴ〉.
주003)
골수(骨髓)옌:골수에는. 뼈속에는. 骨髓+예+ㄴ.
주004)
효:작은. 횩-[小]+(/으)ㄴ(보조사). ‘효 벌에〈월석 2:51ㄱ〉’ 조금 시대가 늦은 두시언해에는 ‘효근 니피(小葉)〈두시 7:5〉’가 쓰였음.
주005)
미틔:밑에는. 밑[底]+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보조사). 이 ‘-/의’는 주로 신체 지칭 체언(,  …), 방위 지칭 체언(우, 앒,  …), 지리·광물 지칭 체언(, , 뫼, 긿 …), 천문 지칭 체언(새박/새배 …), 식물 지칭 체언(나모, 곳 …), 음식 지칭 체언(술,  …), 가옥 지칭 체언(, 집 …), 가구 지칭 체언(갓, 그릇,  …), 수 지칭 체언(셜흔, 엻 …) 등에 결합함. 특이처격어라고도 함.
주006)
얼읜:엉긴. 얼의-[凝]+ㄴ(관형사형 어미).
주007)
벌에러니:벌레이더니. 벌에[虫]+∅(영형태 서술격조사)+더/러(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
주008)
가온:가운데는. 가온[中]+(/으)ㄴ(보조사). 이 ‘가온’는 ‘가〈월석 14:80ㄱ〉’의 ‘ㅸ’소실형임.
주009)
가히:개. 가히[犬]. ¶ 狗 가히라〈월석(중) 21:42ㄴ〉.
주010)
엇게:어깨. 엇게[肩]. ¶ 왼녁 엇게예 고〈석상 6:30ㄱ〉.
주011)
얌:뱀. 얌[蛇]. ¶ 얌 爲 蛇〈훈해 용자〉.
주012)
여:여우. 여[狐]. ¶ 여와 狼과(狐狼)〈법화 2:111ㄴ〉. 이 명사는 모음조사 앞에서는 ‘이,  …’와 같이 제2음절 모음이 줄고 ‘ㅿ’은 첫음절의 종성으로 올려 썼음.
주013)
앒뒤헨:앞뒤에는. 앒[前]+뒿[後](ㅎ종성체언)+에(처소의 부사격조사)+(/으)ㄴ.
주014)
아:아이. 아[兒]. ¶ 兒 아라〈월석 서:18ㄱ〉.
주015)
할미러니:할미이더니. 할머니이더니. 할미[老嫗]+더/러(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부정칭 연결어미). ¶ 센 할미(皤皤老嫗)〈용가 19〉.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