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송별 상(送別 上)
  • 궁중 양감이 촉에 부임하여 두홍점을 만나다[送殿中楊監赴蜀見相公]
메뉴닫기 메뉴열기

궁중 양감이 촉에 부임하여 두홍점을 만나다[送殿中楊監赴蜀見相公]


殿中 주001)
전중(殿中)
궁 안.
楊監 주002)
양감(楊監)
궁중의 양감은 서성 봉상(鳳翔) 사람인 양염(楊炎)을가리킨다. 당시 양염은 전중감(殿中監)의 직을 맡고 있었다. 문장이 웅장하고 화려하였다고 한다. 덕종이 즉위하자 재상 최우보의 천거로 문하시랑에 오르고, 양세법(兩稅法)을 발의하고 조용조(租庸調) 제도를 수정하여 세상 사람들을 이롭게 하였다고 한다.
赴蜀見相公 주003)
상공(相公)
재상을 높이는 말로, 여기서는 검남절도사 두홍점(杜鴻漸)을 가리킨다.
주004)
송전중양감부촉견상공(送殿中楊監赴蜀見相公)
궁 안의 양감이 촉에 부임하여 재상을 만난 것에 보낸다. 이 시는 대력(大曆) 원년 (766)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대력 원년 2월, 두홍점(杜鴻漸)이 황문시랑의 평장사(平章事)로 촉(蜀)으로 가게 된 것이다. 제목 중의 ‘상공(相公)’은 두홍점(杜鴻漸)을 가리킨다. 양감(楊監)은 전에 성도에 가서 두홍점을 방문하여 만난 일이 있다. 두보는 그의 떠남에 제하여 이 시를 지은 것이다. 아울러 상대에게 맡은 바 일에 진력하여 백성을 사랑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相公은 劍南節度使 杜鴻漸이라】

송전중양감부촉견상공
(궁중 양감에 부임하여 두홍점을 만나다)
【상공은 검남절도사 두홍점이다.】

去水絶還波 洩雲無定姿 人生在世間 聚散亦暫時【上二句로 興聚散不常다 】

·가 주005)
가
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가는.
·므른 주006)
므른
믈[水]+은(보조사). 물은.
도·라올 주007)
도라올
돌[回]-+-아(연결 어미)#오[來]-+-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돌아올.
·믌·겨리 주008)
믌겨리
믈[水]+결[波]+이(주격 조사). 물결이.
긋·고 주009)
긋고
긋[絶]-+-고(연결 어미). 끊고.
·폇 주010)
폇
펴[伸, 洩(예: 퍼지다)]-+-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퍼져 있는.
:구루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22ㄴ

·믄
주011)
구루믄
구룸[雲]+은(보조사). 구름은.
一定 주012)
일정(一定)
일정(一定)+-(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일정한. 정해진.
·· 주013)

(樣姿)+이(주격 조사). 양자가. 모양이.
:업스니라 주014)
업스니라
없[無]-+-으니라(어말 어미). 없는 것이다. ‘-니라’는 동명사 어미 ‘-ㄴ’ 뒤에 지정 형용사 ‘이-’의 활용형이 온 구성이 어말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업스니라’의 ‘라’에는 거성의 성조가 예상되나, 찍히지 않고 있다.
人生·애 주015)
인생(人生)애
인생(人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인생에. 인생에 있어서.
世間·애 주016)
세간(世間)애
세간(世間)+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세상에.
이·셔 주017)
이셔
이시[在]-+-어(연결 어미). 있어. 있어서.
모·락 흐·르락 주018)
모락 흐르락
몯[聚]-+-락(연결 어미)#흗[散]-+-으락(연결 어미). 모일락 흐트락.
·호미 주019)
호미
[爲]-+-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함이.
: 아·니 한 주020)
 아니 한
[亦]#아니[不]#하[多]-+-ㄴ(관형사형 어미). 또 아니 많은. 또 잠깐. 또 잠시(暫時).
·로·다 주021)
로다
[時]#이(지정 형용사)-+-도다(감탄 어미). 때이로다. ‘’가 ‘’로 쓰인 것이다.
주022)
 아니 한 로다
또 많지 않은 때이로다.

【한자음】 거수절환파 예운무정자 인생재세간 취산역잠시【위의 두 구로 흥이 모임과 흩어짐이 일정하지 않다.】
【언해역】 흘러가는 물은 돌아올 물결이 끊고, 펴 있는 구름은 일정한 모양이 없는 것이다. 인생에 세상에 있어서 모일락 흩으락 함이 또 많지 않은 때이로다.

離別重相逢 偶然豈足期

여·희·엿다·가 주023)
여희엿다가
여희[離別]-+-어(연결 어미)#잇[有]-+-다가(연결 어미). 여의어 있다가. 이별해 있다가. 떨어져 있다가.
다·시 서르 주024)
서르
서로[相].
맛:보니 주025)
맛보니
맞[對, 逢]-+보[見]-+-니(연결 어미). 만나니. ¶나그내 모미 녯 버들 맛보니 興心 베푸믄 林泉으로브테로다(나그네 몸이 옛 벗을 만나니, 흥겨운 마음을 베푸는 것은 수풀과 샘으로부터이로다.)〈두시(초) 10:13ㄴ〉.
偶然·히 그·리·디·웨 주026)
그리디웨
그리[那然]+[爲]-+-디웨(연결 어미). 그리하지마는. 그러하지마는. 그러한 것이지마는.
어·느 주027)
어느
어찌[豈].
足·히 주028)
족(足)히
족(足)+-(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족히. 충분히. 만족할 만하게.
期約·리오 주029)
기약(期約)리오
기약(期約)+-(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기약하리오. 기약할 것인가.

【한자음】 리별중상봉 우연기족기
【언해역】 떨어져 있다가 다시 서로 만나니, 우연히 그러한 것이지마는 어찌 만족할 만하게 기약할 것인가?

送子淸秋暮 風物長年悲

그듸· 주030)
그듸
그듸[君, 子]+(대격 조사). 그대를.
·  주031)
 
[淸]-+-(관형사형 어미).#[秋]+ㅅ(관형격 조사). 맑은 가을의.
나조· 주032)
나조
나조ㅎ[夕, 暮]+(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저녁에.
보·내요·니 주033)
보내요니
보내[送]-+-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보내니.
風物·에 주034)
풍물(風物)에
풍물(風物)+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경치에.
·나 한 주035)
나 한
나[年]#하[多]-+-ㄴ(관형사형 어미). 나이 많은. 장년(長年).
:사·미 주036)
사미
사[人]+이(주격 조사). 사람이.
슬프·도다 주037)
슬프도다
슬프[悲]-+-도다(감탄 어미). 슬프도다. 슬프구나.

【한자음】 송자청추모 풍물장년비
【언해역】 그대를 맑은 가을 저녁에 보내니, 경치에 나이 많은 사람이 슬프도다.

豪俊貴勳業 邦家頻出師【言豪俊之士 當立功業 而國家ㅣ 頻出師征伐시니 楊監은 正宜勉力야 以立功也ㅣ니라】

豪俊·은 주038)
호준(豪俊)은
호준(豪俊)+은(보조사). 호걸과 준재는. 호걸 준재(俊才)는.
勳業 일·우미 주039)
훈업(勳業) 일우미
훈업(勳業)#이[成]-+-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공훈 이룸이. 공훈 이루는 것이.
貴·니 주040)
귀(貴)니
귀(貴)+-(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귀하니. 귀중하니.
나·라:히 ·조 주041)
나라히 조
나라ㅎ[國, 邦家]+이(주격 조사)#조[頻]. 나라가 자주. 주격 조사 ‘이’가 상성을 가졌는데, 매우 드믄 일이다. 흔히 나타나는 것은 평성이고, 때로 거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있다.
軍師· 주042)
군사(軍師)
군사(軍師)+(대격 조사). 출사를. 출병을.
:내·시놋·다 주043)
내시놋다
내[出]-+-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놋다(감탄 어미). 나가게 하시는구나. ‘-놋다’는 본래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 사이시옷)-+-다(종결 어미)’가 결합된 것이다.

【한자음】 호준귀훈업 방가빈출사【호걸 준재의 선비는 응당 공을 세워야, 국가가 자주 출사하여 정벌하는 것이니, 양감은 바로 힘써 공을 세워야 하는 것이다.】
【언해역】 호걸 준재는 공훈 이루는 것이 귀중하니, 나라가 자주 군사를 나가게 하시는구나.

相公鎭梁益 軍事無孑遺孑遺 주044)
혈유(孑遺)
약간의 나머지. 외톨이.
半·맛 주045)
반(半)맛
반(半)+마(보조사)+ㅅ(관형격 조사). 반 정도의. 반 만한.
·몸 가·지니도 주046)
가지니도
가지[持]-+-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도(보조사). 가진 사람도.
기·니 주047)
기니
깉[遺]-+-(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남긴 것.
:업·닷 주048)
업닷
없[無]-+-다(어말 어미)+ㅅ(관형격 조사). 없다는.
:마리·니 此 言軍中에 擧無遺策也ㅣ라】

相公 주049)
상공(相公)
상공(相公)+이(주격 조사). 상공이. 상공은 재상을 높이는 말. 여기서 상공은 두홍점(杜鴻漸)을 가리킨다.
·이 梁益·에 주050)
양익(梁益)에
양익(梁益)+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양익에. 지명으로, 양주(梁州)와 익주(益州)를 합쳐 부르는 이름. 오늘날 섬서성의 넓은 지역으로 사천성, 운남성과 귀주를 아우른다. 익주(益州)는 지금의 사천성(四川省)에 해당하는 곳으로, 후에 성도(成都)를 흔히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23ㄱ

鎭·시·니 주051)
진(鎭)시니
진(鎭)+-(동사 파생 접미사)-+-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진을 치시니.
軍中ㅅ :이리 주052)
군중(軍中)ㅅ 이리
군중(軍中)+ㅅ(관형격 조사)#일[事]+이(주격 조사). 군 가운뎃 일이. 군에서의 일이.
:져고·마도 주053)
져고마도
져고마[少]+도(보조사). 조금도.
기·투미 주054)
기투미
깉[遺]-+-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남김이. 남기는 것이.
:업도·다 주055)
업도다
없[無]-+-도다(감탄 어미). 없도다.

【한자음】 상공진량익 군사무혈유【혈유(孑遺)는 반(半)만한 몸 가진 것도 남은 것이 없다는 말이니, 이는 군 가운데 행하고 남은 책략이 없음을 말한다.】
【언해역】 상공(相公)이 양현(梁縣) 익주(益州)에 진(鎭)을 치시니, 군중에서의 일이 조금도 남은 것이 없도다.

解榻再見今 用才復擇誰【言相公이 待楊監을 如陳蕃之解榻待 徐稺也ㅣ라 又言今當用才之時야 舍楊監而擇誰乎ㅣ리오】

주056)
탑(榻)
평상(平牀). 의자.
글·우믈 주057)
글우믈
그르[解]-+-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끄름을. 끄르는 것을.
다·시 ·이제 보·리·로소·니 주058)
보리로소니
보[見]-+-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도(감탄 선어말 어미)-+-소(간접화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볼 것이니. 볼 것이 분명하니.
·조· 주059)
조
조[才]+(대격 조사). 재주를.
·메 주060)
메
[用]-+-움(명사형 어미)+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씀에. 쓰는 것에.
· 주061)
또[復].
:누를 주062)
누를
누[誰]+를(대격 조사). 누구를.
·리·오 주063)
리오
[擇]-+-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가릴 것인가. 선택할 것인가.

【한자음】 해탑재견금 용재부택수【상공이 양감을, 진번(陳蕃)이 서치(徐稺) 주064)
진번(陳蕃)이 서치(徐稺)
진번은 후한(後漢) 때 낙안(樂安)과 예장(豫章)의 태수(太守)를 지낸 인물. 진번이 예장 태수로 있을 때 탑(榻: 의자)을 만들어 높이 매달아 두었다가, 높은 선비인 서치(徐稺)가 오면 그 탑을 내려서 앉게 하였다고 한다. 그가 가고 나면 다시 매달아 두고 그가 또 오기를 기다렸다고 한다.
를 기다려 의자를 푸는 것과 같이 기다리는 것을 말한다. 또 이제 능력 있는 사람을 써야 하는 때를 당하여 양감을 버리고 누구를 택할 것인가 하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의자 끄르는(=풀어내라는) 것을 다시 이제 볼 것이니, 능력 있는 사람을 씀에 또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況子已高位 爲郡得固辭

··며 주065)
며
하물며[況]. 더군다나. 게다가.
그:듸 ·마 주066)
그듸 마
그듸[君, 子]#하마[已]. 그대 이미.
位ㅣ 주067)
위(位)ㅣ
위(位)+ㅣ(주격 조사). 위가. 지위가.
노·니 주068)
노니
높[高]-+-니(연결 어미). 높으니.
올 ·요· 주069)
올 요
올[郡]#[爲]-+-욤(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고을 수령 하는 것을. 고을 다스리는 것을.
시·러곰 주070)
시러곰
싣[能]-+-어(연결 어미)+곰(보조사). 능히.
구·디 주071)
구디
굳[固]-+-이(부사 파생 접미사). 굳게. 굳이.
마·라리·아 주072)
마라리아
말[勿, 辭]-+-거(대상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가(의문 어미). 말겠는가. 사양할 것인가.

【한자음】 황자이고위 위군득고사
【언해역】 하물며 그대 이미 지위가 높으니, 고을 수령 하는 것을 능히 굳이 사양할 것인가?

難拒供給費 請哀漁奪私【言軍興之際예 吏因供給而侵奪下民이 如漁然니 楊監은 宜愼之니라】

供給·엣 주073)
공급(供給)엣
공급(供給)+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공급의.
虛費· 주074)
허비(虛費)
허비(虛費)+(대격 조사). 헛되게 쓰는 것을.
믈·리와·도미 주075)
믈리와도미
믈리[拒]-+-왇(강세 접사)-+-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물리침이. 물리치는 것이.
어·려우·니 주076)
어려우니
어렵[難]-+-으 니(연결 어미). 어려우니.
請· 주077)
청(請)
청(請)+-(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ㄴ(보조사). 청하는 것은. 청하기는.
:앗논 주078)
앗논
앗[奪]-+-(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앗는. 빼앗는.
私情·을 주079)
사정(私情)을
사정(私情)+을(대격 조사). 사사로운 사정(事情)을. 개인적인 사정(事情)을.
슬·피 너·기라 주080)
너기라
너기[看做]-+-라(명령 어미). 여기라.

【한자음】 난거공급비 청애어탈사【군(軍)이 일어나는 계제에 관리가 공급으로 인하여, 아래의 백성들을 범하여 빼앗는 것이 물고기가 그러한 것과 같으니, 양감은 의당 그것을 삼가야 하는 것을 말함이다.】
【언해역】 공급에 따르는 헛된 쓰임을 물리치는 것이 어려우니, 청하기는, 빼앗는 사사로운 사정(事情)을 슬피 여기라.

干戈未甚息 紀綱正所持

干戈ㅣ 주081)
간과(干戈)ㅣ
간과(干戈)+ㅣ(주격 조사). 방패와 창이. ‘방패와 창’은 전쟁을 말한다.
甚·히 주082)
심(甚)히
심(甚)+-(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심히. 심하게.
긋·디 주083)
긋디
긋[息]-+-디(연결 어미). 그치지.
아·니·니 紀綱·을 주084)
기강(紀綱)을
기강(紀綱)+을(대격 조사). 기강을.
正·히 가·져 주085)
정(正)히 가져[持]
정(正)+-(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바르게 가지고.
·숄 ·디니·라 주086)
숄 디니라
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의존 명사)#이(지정 형용사)-+-니라(어말 어미). 있을 것이니라. ‘-니라’는 동명사 어미 ‘-ㄴ’ 뒤에 지정 형용사 ‘이-’의 활용형이 재구조화된 것이다.

【한자음】 간과미심식 기강정소지
【언해역】 방패와 창이 심히 그치지 아니하니, 기강(紀綱)을 바르게 가지고 있을 것이니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23ㄴ

泛舟巨石橫 登陸草露滋 山門日易夕 當念居者思【此 言入蜀道路之險難야서 勉楊監의 當念居者之恩야 益以愼其行也ㅣ니 居者 ㅣ 自謂니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 ·워 주087)
 워
[船, 舟]#[浮, 泛]-+-이우(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 배 띄워.
:가매 주088)
가매
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암(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감에.
·큰 :돌히 주089)
큰 돌히
크[大, 巨]-+-ㄴ(관형사형 어미)#돌ㅎ[石]+이(주격 조사). 큰 돌이.
빗·겟고 주090)
빗겟고
빗그[橫]-+-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빗겨 있고. 가로질러 있고.
무·트로 주091)
무트로
뭍[陸]+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뭍으로. 육지로.
올·아:가매 주092)
올아가매
올[登]-+-아(연결 어미)#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올라감에.
·프렛 주093)
프렛
플[草]+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풀에의. 풀의.
이·스리 주094)
이스리
이슬[露]+이(주격 조사). 이슬이.
저·젯고 주095)
저젯고
젖[霑, 滋]-+-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젖어 있고.
山門·에 주096)
산문(山門)에
산문(山門)+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산의 어귀에.
· :수·이 주097)
 수이
[日]#숩[易]-+-이(부사 파생 접미사). 해 쉬. 해가 쉬. 해가 쉽게.
나조·히 주098)
나조히
나조ㅎ[夕]+이(주격 조사). 저녁이.
외·니 주099)
외니
외[化]-+--+-니(연결 어미). 되나니.
잇 :사· 주100)
잇 사
잇[有, 居]-+-(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사[人, 者]+(관형격 조사). 있는 사람의.
·호 주101)
호
[思]+-(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생각함을. 생각하는 것을.
반·기 주102)
반기
반드시[必, 當].
念·라 주103)
염(念)라
염(念)+-(동사 파생 접미사)-+-라(명령 어미). 생각하라. 염두에 두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범주거석횡 등륙초로자 산문일역석 당념거자사【이는 촉에 들어가는 길이 험난하여서 양감이 마땅히 사는 사람의 생각을 염두에 두어야 그 행동을 신중히 하여 유익한 것을 말함이니, 사는 사람은 두보가 스스로 이르는 것이다.】
【언해역】 배 띄워 감에 큰 돌이 가로질러 있고, 육지로 올라감에 풀에 이슬이 젖어 있고, 산 어귀에 해 쉬 저녁이 되니, 사는 사람의 생각하는 것을 반드시 염두에 두라.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전중(殿中) : 궁 안.
주002)
양감(楊監) : 궁중의 양감은 서성 봉상(鳳翔) 사람인 양염(楊炎)을가리킨다. 당시 양염은 전중감(殿中監)의 직을 맡고 있었다. 문장이 웅장하고 화려하였다고 한다. 덕종이 즉위하자 재상 최우보의 천거로 문하시랑에 오르고, 양세법(兩稅法)을 발의하고 조용조(租庸調) 제도를 수정하여 세상 사람들을 이롭게 하였다고 한다.
주003)
상공(相公) : 재상을 높이는 말로, 여기서는 검남절도사 두홍점(杜鴻漸)을 가리킨다.
주004)
송전중양감부촉견상공(送殿中楊監赴蜀見相公) : 궁 안의 양감이 촉에 부임하여 재상을 만난 것에 보낸다. 이 시는 대력(大曆) 원년 (766)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대력 원년 2월, 두홍점(杜鴻漸)이 황문시랑의 평장사(平章事)로 촉(蜀)으로 가게 된 것이다. 제목 중의 ‘상공(相公)’은 두홍점(杜鴻漸)을 가리킨다. 양감(楊監)은 전에 성도에 가서 두홍점을 방문하여 만난 일이 있다. 두보는 그의 떠남에 제하여 이 시를 지은 것이다. 아울러 상대에게 맡은 바 일에 진력하여 백성을 사랑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주005)
가 : 가[去]-+-(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가는.
주006)
므른 : 믈[水]+은(보조사). 물은.
주007)
도라올 : 돌[回]-+-아(연결 어미)#오[來]-+-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돌아올.
주008)
믌겨리 : 믈[水]+결[波]+이(주격 조사). 물결이.
주009)
긋고 : 긋[絶]-+-고(연결 어미). 끊고.
주010)
폇 : 펴[伸, 洩(예: 퍼지다)]-+-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퍼져 있는.
주011)
구루믄 : 구룸[雲]+은(보조사). 구름은.
주012)
일정(一定) : 일정(一定)+-(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일정한. 정해진.
주013)
 : (樣姿)+이(주격 조사). 양자가. 모양이.
주014)
업스니라 : 없[無]-+-으니라(어말 어미). 없는 것이다. ‘-니라’는 동명사 어미 ‘-ㄴ’ 뒤에 지정 형용사 ‘이-’의 활용형이 온 구성이 어말 어미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업스니라’의 ‘라’에는 거성의 성조가 예상되나, 찍히지 않고 있다.
주015)
인생(人生)애 : 인생(人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인생에. 인생에 있어서.
주016)
세간(世間)애 : 세간(世間)+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세상에.
주017)
이셔 : 이시[在]-+-어(연결 어미). 있어. 있어서.
주018)
모락 흐르락 : 몯[聚]-+-락(연결 어미)#흗[散]-+-으락(연결 어미). 모일락 흐트락.
주019)
호미 : [爲]-+-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함이.
주020)
 아니 한 : [亦]#아니[不]#하[多]-+-ㄴ(관형사형 어미). 또 아니 많은. 또 잠깐. 또 잠시(暫時).
주021)
로다 : [時]#이(지정 형용사)-+-도다(감탄 어미). 때이로다. ‘’가 ‘’로 쓰인 것이다.
주022)
 아니 한 로다 : 또 많지 않은 때이로다.
주023)
여희엿다가 : 여희[離別]-+-어(연결 어미)#잇[有]-+-다가(연결 어미). 여의어 있다가. 이별해 있다가. 떨어져 있다가.
주024)
서르 : 서로[相].
주025)
맛보니 : 맞[對, 逢]-+보[見]-+-니(연결 어미). 만나니. ¶나그내 모미 녯 버들 맛보니 興心 베푸믄 林泉으로브테로다(나그네 몸이 옛 벗을 만나니, 흥겨운 마음을 베푸는 것은 수풀과 샘으로부터이로다.)〈두시(초) 10:13ㄴ〉.
주026)
그리디웨 : 그리[那然]+[爲]-+-디웨(연결 어미). 그리하지마는. 그러하지마는. 그러한 것이지마는.
주027)
어느 : 어찌[豈].
주028)
족(足)히 : 족(足)+-(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족히. 충분히. 만족할 만하게.
주029)
기약(期約)리오 : 기약(期約)+-(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기약하리오. 기약할 것인가.
주030)
그듸 : 그듸[君, 子]+(대격 조사). 그대를.
주031)
  : [淸]-+-(관형사형 어미).#[秋]+ㅅ(관형격 조사). 맑은 가을의.
주032)
나조 : 나조ㅎ[夕, 暮]+(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저녁에.
주033)
보내요니 : 보내[送]-+-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보내니.
주034)
풍물(風物)에 : 풍물(風物)+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경치에.
주035)
나 한 : 나[年]#하[多]-+-ㄴ(관형사형 어미). 나이 많은. 장년(長年).
주036)
사미 : 사[人]+이(주격 조사). 사람이.
주037)
슬프도다 : 슬프[悲]-+-도다(감탄 어미). 슬프도다. 슬프구나.
주038)
호준(豪俊)은 : 호준(豪俊)+은(보조사). 호걸과 준재는. 호걸 준재(俊才)는.
주039)
훈업(勳業) 일우미 : 훈업(勳業)#이[成]-+-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공훈 이룸이. 공훈 이루는 것이.
주040)
귀(貴)니 : 귀(貴)+-(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귀하니. 귀중하니.
주041)
나라히 조 : 나라ㅎ[國, 邦家]+이(주격 조사)#조[頻]. 나라가 자주. 주격 조사 ‘이’가 상성을 가졌는데, 매우 드믄 일이다. 흔히 나타나는 것은 평성이고, 때로 거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있다.
주042)
군사(軍師) : 군사(軍師)+(대격 조사). 출사를. 출병을.
주043)
내시놋다 : 내[出]-+-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놋다(감탄 어미). 나가게 하시는구나. ‘-놋다’는 본래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ㅅ 사이시옷)-+-다(종결 어미)’가 결합된 것이다.
주044)
혈유(孑遺) : 약간의 나머지. 외톨이.
주045)
반(半)맛 : 반(半)+마(보조사)+ㅅ(관형격 조사). 반 정도의. 반 만한.
주046)
가지니도 : 가지[持]-+-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도(보조사). 가진 사람도.
주047)
기니 : 깉[遺]-+-(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남긴 것.
주048)
업닷 : 없[無]-+-다(어말 어미)+ㅅ(관형격 조사). 없다는.
주049)
상공(相公) : 상공(相公)+이(주격 조사). 상공이. 상공은 재상을 높이는 말. 여기서 상공은 두홍점(杜鴻漸)을 가리킨다.
주050)
양익(梁益)에 : 양익(梁益)+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양익에. 지명으로, 양주(梁州)와 익주(益州)를 합쳐 부르는 이름. 오늘날 섬서성의 넓은 지역으로 사천성, 운남성과 귀주를 아우른다. 익주(益州)는 지금의 사천성(四川省)에 해당하는 곳으로, 후에 성도(成都)를 흔히 이렇게 불렀다고 한다.
주051)
진(鎭)시니 : 진(鎭)+-(동사 파생 접미사)-+-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진을 치시니.
주052)
군중(軍中)ㅅ 이리 : 군중(軍中)+ㅅ(관형격 조사)#일[事]+이(주격 조사). 군 가운뎃 일이. 군에서의 일이.
주053)
져고마도 : 져고마[少]+도(보조사). 조금도.
주054)
기투미 : 깉[遺]-+-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남김이. 남기는 것이.
주055)
업도다 : 없[無]-+-도다(감탄 어미). 없도다.
주056)
탑(榻) : 평상(平牀). 의자.
주057)
글우믈 : 그르[解]-+-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끄름을. 끄르는 것을.
주058)
보리로소니 : 보[見]-+-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도(감탄 선어말 어미)-+-소(간접화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볼 것이니. 볼 것이 분명하니.
주059)
조 : 조[才]+(대격 조사). 재주를.
주060)
메 : [用]-+-움(명사형 어미)+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씀에. 쓰는 것에.
주061)
 : 또[復].
주062)
누를 : 누[誰]+를(대격 조사). 누구를.
주063)
리오 : [擇]-+-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가릴 것인가. 선택할 것인가.
주064)
진번(陳蕃)이 서치(徐稺) : 진번은 후한(後漢) 때 낙안(樂安)과 예장(豫章)의 태수(太守)를 지낸 인물. 진번이 예장 태수로 있을 때 탑(榻: 의자)을 만들어 높이 매달아 두었다가, 높은 선비인 서치(徐稺)가 오면 그 탑을 내려서 앉게 하였다고 한다. 그가 가고 나면 다시 매달아 두고 그가 또 오기를 기다렸다고 한다.
주065)
며 : 하물며[況]. 더군다나. 게다가.
주066)
그듸 마 : 그듸[君, 子]#하마[已]. 그대 이미.
주067)
위(位)ㅣ : 위(位)+ㅣ(주격 조사). 위가. 지위가.
주068)
노니 : 높[高]-+-니(연결 어미). 높으니.
주069)
올 요 : 올[郡]#[爲]-+-욤(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고을 수령 하는 것을. 고을 다스리는 것을.
주070)
시러곰 : 싣[能]-+-어(연결 어미)+곰(보조사). 능히.
주071)
구디 : 굳[固]-+-이(부사 파생 접미사). 굳게. 굳이.
주072)
마라리아 : 말[勿, 辭]-+-거(대상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가(의문 어미). 말겠는가. 사양할 것인가.
주073)
공급(供給)엣 : 공급(供給)+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공급의.
주074)
허비(虛費) : 허비(虛費)+(대격 조사). 헛되게 쓰는 것을.
주075)
믈리와도미 : 믈리[拒]-+-왇(강세 접사)-+-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물리침이. 물리치는 것이.
주076)
어려우니 : 어렵[難]-+-으 니(연결 어미). 어려우니.
주077)
청(請) : 청(請)+-(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ㄴ(보조사). 청하는 것은. 청하기는.
주078)
앗논 : 앗[奪]-+-(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앗는. 빼앗는.
주079)
사정(私情)을 : 사정(私情)+을(대격 조사). 사사로운 사정(事情)을. 개인적인 사정(事情)을.
주080)
너기라 : 너기[看做]-+-라(명령 어미). 여기라.
주081)
간과(干戈)ㅣ : 간과(干戈)+ㅣ(주격 조사). 방패와 창이. ‘방패와 창’은 전쟁을 말한다.
주082)
심(甚)히 : 심(甚)+-(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심히. 심하게.
주083)
긋디 : 긋[息]-+-디(연결 어미). 그치지.
주084)
기강(紀綱)을 : 기강(紀綱)+을(대격 조사). 기강을.
주085)
정(正)히 가져[持] : 정(正)+-(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바르게 가지고.
주086)
숄 디니라 : 시[有]-+-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의존 명사)#이(지정 형용사)-+-니라(어말 어미). 있을 것이니라. ‘-니라’는 동명사 어미 ‘-ㄴ’ 뒤에 지정 형용사 ‘이-’의 활용형이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87)
 워 : [船, 舟]#[浮, 泛]-+-이우(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 배 띄워.
주088)
가매 : 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암(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감에.
주089)
큰 돌히 : 크[大, 巨]-+-ㄴ(관형사형 어미)#돌ㅎ[石]+이(주격 조사). 큰 돌이.
주090)
빗겟고 : 빗그[橫]-+-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빗겨 있고. 가로질러 있고.
주091)
무트로 : 뭍[陸]+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뭍으로. 육지로.
주092)
올아가매 : 올[登]-+-아(연결 어미)#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올라감에.
주093)
프렛 : 플[草]+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풀에의. 풀의.
주094)
이스리 : 이슬[露]+이(주격 조사). 이슬이.
주095)
저젯고 : 젖[霑, 滋]-+-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젖어 있고.
주096)
산문(山門)에 : 산문(山門)+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산의 어귀에.
주097)
 수이 : [日]#숩[易]-+-이(부사 파생 접미사). 해 쉬. 해가 쉬. 해가 쉽게.
주098)
나조히 : 나조ㅎ[夕]+이(주격 조사). 저녁이.
주099)
외니 : 외[化]-+--+-니(연결 어미). 되나니.
주100)
잇 사 : 잇[有, 居]-+-(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사[人, 者]+(관형격 조사). 있는 사람의.
주101)
호 : [思]+-(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생각함을. 생각하는 것을.
주102)
반기 : 반드시[必, 當].
주103)
염(念)라 : 염(念)+-(동사 파생 접미사)-+-라(명령 어미). 생각하라. 염두에 두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