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송별 상(送別 上)
  • 위 평사가 동곡 판관을 충원함에 보냄[送韋十六評事充同谷防禦判官]
메뉴닫기 메뉴열기

위 평사가 동곡 판관을 충원함에 보냄[送韋十六評事充同谷防禦判官]


韋十六 주001)
위십육평사(韋十六)
위(韋)는 성이고, 16은 같은 조부 아래 16번쨰 되는 자손을 말한다. 이름과 같이 쓰인다. 평사의 관직을 하다가 동곡의 방어판관으로 나가게 되는 인물이다. 두보와는 어렸을 적 친구이다.
評事 주002)
평사(評事)
관직명. 관리들의 범죄를 조사하고 재판하는 관리.
同谷 주003)
동곡(同谷)
지명으로, 군(郡)의 이름.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성현(成縣)에 해당한다.
防禦判官 주004)
방어판관(防禦判官)
관직명. 국방을 맡은 판관.
주005)
송위십육평사충동곡방어판관(送韋十六評事充同谷防禦判官)
위 16평사가 동곡의 방어판관을 충원하는 데 보낸다. 이 시는 지덕(至德) 2년(757)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봉상에 있었다.

송위십육평사충동곡방어판관
(위 평사가 동곡 판관을 충원함에 보냄)

昔沒賊中時 潛與子同遊【謂祿山之亂이라】

:녜 주006)
예. 옛날. 옛적.
盜賊ㅅ 가·온 주007)
도적(盜賊)ㅅ 가온
도적(盜賊)+ㅅ(관형격 조사)#가온[中]. 도적 가운데.
·:뎌실 ·제 주008)
뎌실 제
디[陷, 沒]-+-어(연결 어미)#시[有]-+-ㄹ(관형사형 어미)#제[時]. 꺼져 있을 때. 빠져 있을 때. 떨어져 있을 때.
마니 주009)
마니
만[靜, 潛]+-(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만히. 몰래. 다른 사람 몰래. 여기서는 ‘마니’를 ‘만다’의 어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다. ‘마니’ 자체를 더 이상 분석되지 않는 부사로 보기도 한다.
그듸·와 주010)
그듸와
그듸[君, 子]+와(공동격 조사). 그대와.
다··야 주011)
다야
다[與]+-(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더불어.
· 주012)

[一]#[處]. 함께. 동(同).
노·로라 주013)
노로라
놀[遊]-+-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놀도다. 놀았도다.

【한자음】 석몰적중시 잠여자동유안녹산의 난을 이른다.】
【언해역】 옛날 도적 가운데 떨어져 있을 때, 다른 사람 몰래 그대와 더불어 함께 놀았도다.

今歸行在所 王事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37ㄱ

有去留【言ㅣ 爲拾遺而留고 韋爲判官而去也ㅣ라 】

·이제 行在所 주014)
행재소(行在所)
임금이 왕궁을 떠나 멀리 거동할 때 일시적으로 머무는 곳 .
·애 도·라·와 주015)
도라와
돌[回]+아(연결 어미)#오[來]-+-아(연결 어미). 돌아와.
:님 :이레 주016)
님 이레
님 이레 : 님금[王, 皇帝]+ㅅ(관형격 조사)#일[事]+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임금의 일에.
·나가·며 머·므로·미 주017)
나가며 머므로미
나[出]-+가[去]-+-며(연결 어미)#머믈[留]-+-옴(명사형 어미)+이(대격 조사). 나가며 머묾이. 나가며 머무는 것이.
잇·도다 주018)
잇도다
잇[有]-+-도다(감탄 어미). 있도다.

【한자음】 금귀행재소 왕사유거류두보가 습유를 하며 머물고, 위(韋)가 판관을 하며 나가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이제 행재소(行在所)에 돌아와, 임금의 일에 나가며 머무는 것이 있도다.

偪側兵馬間 主憂急良籌

兵馬ㅅ 주019)
병마(兵馬)ㅅ
병마(兵馬)+ㅅ(관형격 조사). 병사와 말의.
·예 주020)
예
[間]+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이에.
어·려이 주021)
어려이
어렵[難, 偪]-+-이(부사 파생 접미사). 어렵게.
·니·니 주022)
니니
[走]-+니[行]-+--+-니(연결 어미). 다니니.
:님그·미 주023)
님그미
님금[王, 皇帝]+이(주격 조사). 임금이.
시·름·샤 주024)
시름샤
시름[憂]+-(동사 파생 접미사)-+-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시름하시어.
:됴 주025)
됴
둏[好, 良]-+-(관형사형 어미). 좋은.
籌策 주026)
주책(籌策)
이해와 손해를 계산하여 생각한 책략.
· ·리 주027)
리
[急]-+-이(부사 파생 접미사). 빨리. 빠르게.
··시놋·다 주028)
시놋다
[爲]-+-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놋다(감탄 어미). 하시는구나. 하시도다.

【한자음】 핍측병마간 주우급량주
【언해역】 병사와 말들 사이에 어렵게 다니니, 임금이 시름하시어 좋은 주책(籌策)을 빨리 하시는구나.

子雖軀幹小 老氣橫九州

그:듸 주029)
그듸
그대[君, 子].
비·록 ·모미 주030)
모미
몸[軀, 軀幹]+이(주격 조사). 몸이.
:져그·나 주031)
져그나
젹[小]-+-으 나(연결 어미). 작으나.
늘·근 氣運·이 주032)
늘근 기운(氣運)이
늙[老]-+-은(관형사형 어미)#기운(氣運)+이(주격 조사). 늙은 기운이. ‘늙은 기운’은 여기서 천하에 떨칠 기운으로 ‘노련한 기개’를 뜻한다.
九州·에 빗·겟도·다 주033)
빗겟도다
빗그[橫]-+-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빗겨 있도다. 충만해 있도다.

【한자음】 자수구간소 로기횡구주
【언해역】 그대 비록 몸이 작으나, 노련한 기개가 구주(九州)에 충만해 있도다.

挺身艱難際 張目視寇讐

艱難 주034)
간난(艱難)
간난(艱難)+-(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어려운. 어려움을 당하는. ‘간난(艱難)’은 우리말로는 흔히 ‘가난’으로 해석되나, 여기서는 ‘국난(國難)’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 주035)
예
[間]+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이에.
·모 주036)
모
몸[身]+(대격 조사). 몸을.
·혀·나 주037)
혀나
히/[挺]-+-어(연결 어미)#나[出]-+-아(연결 어미). 빼어내어. 빼어내고. 빼내고.
·누늘 · 주038)
누늘 
눈[眼, 目]+을(대격 조사)#[開, 張]-+-어(연결 어미). 눈을 떠. 눈을 떠서.
도· 주039)
도
도[盜, 寇]+(대격 조사). 도적을.
·보놋·다 주040)
보놋다
보[見, 視]-+-놋다(감탄 어미). 보는구나. 보도다.

【한자음】 정신간난제 장목시구수
【언해역】 나라가 어려운 때에 몸을 빼내고 눈을 떠 도적을 보는구나.

朝廷壯其節 奉詔令參謀

朝廷·이 그 節介· 주041)
절개(節介)
절개(節介)+(대격 조사). 절조와 기개를.
健壯·히 주042)
건장(健壯)히
건장(健壯)+(형용사 파생 접미사)-+-이(주격 조사). 장쾌히.
너·겨 주043)
너겨
너기[看, 看做]-+-어(연결 어미). 여기어. 여겨.
詔命·을 주044)
조명(詔命)을
조명(詔命)+을(대격 조사). 조서로 된 임금의 명령을.
바·다 주045)
바다
받[受, 奉]-+-아(연결 어미). 받아.
:여·곰 주046)
여곰
하여금. ‘여곰, 야, 여, 여곰’ 등 다양한 형태로 쓰이었다.
幕府·엣 주047)
막부(幕府)엣
막부(幕府)+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막부의. 군부의. 진영의. 군부 진영의.
·· 주048)

[謀]+(대격 조사). 꾀를. 지략을. 전략을. 전략을 세우는 데. ‘꾀를’의 ‘를’을 진정한 대격 조사로 보면, 그 성분을 ‘참여케’의 논항으로 해석하기 어렵다. ‘꾀에’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꾀를 세우는 데’와 같이 부사적인 성분을 보충해야 한다. 주어진 문맥을 그대로 두고 해석하는 방법은 ‘꾀를’의 ‘를’을 주제화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參豫·케 주049)
참예(參豫)케
참예(參豫)+-(동사 파생 접미사)-+-게(연결 어미). 참예하게. 참여하게.
·도·다

【한자음】 조정장기절 봉조령참모
【언해역】 조정이 그 절조와 기개를 장쾌히 여겨, 임금의 명령을 받아 하여금 군부 진영의 전략을 세우는데 참여하게 하도다.

鑾輿駐鳳翔 同谷爲咽喉 西扼弱水道 南鎭枹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37ㄴ

罕陬【枹罕은 縣名이라】

鑾輿 주050)
난여(鑾輿)
임금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
鳳翔·애 주051)
봉상(鳳翔)애
봉상(鳳翔)+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봉상에. 봉상은 지명으로, 섬서성(陝西省) 보계(寶鷄) 동북부에 위치한다. 진(秦)나라 때에는 옹현(雍縣)이라고 하였고, 당(唐)나라 때 봉상현(鳳翔縣)으로 개칭하였다. 관중평원과 황투고원[黃土高原]의 과도지대에 있다. 봉상도는 봉상현의 중심 도읍을 가리킨다.
머·므·르시·니 주052)
머므르시니
머믈[留, 駐]-+-으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머무시니. 머무니. 주어가 ‘난여’ 즉 가마이기 때문에 현대어에서는 그에 대하여 ‘-시-’를 쓰는 것은 어색하다.
同谷 주053)
동곡(同谷)ㅅ
동곡(同谷)+ㅅ(관형격 조사). 동곡의. 동곡은 군(郡)의 이름으로,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성현(成縣)에 해당한다.
올·히 주054)
올히
올ㅎ[郡]+이(주격 조사). 고을이.
목·티 주055)
목티
목[咽喉]+이(보조사). 목같이.
외·얫도다 주056)
외얫도다
외[爲]-+-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되어 있도다.
西ㅅ 녀·그론 주057)
서(西)ㅅ녀그론
서(西)+ㅅ(관형격 조사). 녁[方]+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서녘으로는.
弱水ㅅ ·길흘 주058)
약수(弱水)ㅅ 길흘
약수(弱水)+ㅅ(관형격 조사)#길ㅎ[道]+을(대격 조사). 약수의 길을. 약수(弱水)는 예전의 강 이름이다. 문헌에는 ‘약수(弱水)’란 이름이 많이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감숙산(甘肅山)의 단강(丹江)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한성무 외(1997) 참조〉.
:눌렛·고 주059)
눌렛고
누르[扼]-+-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누르고 있고.
南녀·그론 주060)
남(南)녀그론
남(南)#녁[方]+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남녘으로는.
枹罕ㅅ ·모 주061)
포한(枹罕)ㅅ 모
포한(枹罕)+ㅅ(관형격 조사)#모ㅎ[陬(추)]+(대격 조사). 포한의 모퉁이를. 포한은 군(郡)의 이름으로, 감숙성 임하현(臨夏縣) 부근 지구에 해당한다.
鎭··얫·니라 주062)
진(鎭)얫니라
진(鎭)+-(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라(어말 어미). 누르고 있는 것이다.

【한자음】 난여주봉상 동곡위인후 서액약수도 남진포한추【포한(枹罕)은 현의 이름이다.】
【언해역】 임금의 가마가 봉상(鳳翔)에 머무니, 동곡 고을이 목과 같이 되어 있도다. 서녘으로는 약수(弱水)의 길을 누르고 있고, 남녘으로는 포한(枹罕)의 모퉁이를 누르고 있는 것이다.

此邦承平日 剽刦吏所羞【剽 强取也ㅣ라】

·이 올·히 주063)
이 올히
이[此]#올ㅎ[郡]+이(보조사). 이 고을이. ‘이 고을이’의 ‘이’는 ‘이 고을에서가’와 같이 ‘에서가’로 해석해야 자연스럽다. 이는 ‘이 고을이’의 ‘이’가 주제화의 기능을 가진 보조사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承平 주064)
승평(承平)
승평(承平)+-(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나라가 태평한.
나·래도 주065)
나래도
날[日]+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도(보조사). 날에도.
盜賊·의 ·리·튜미 주066)
리튜미
리[搏 ]-+티[打]-+-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갈겨 치는 것이. 강제로 빼앗는 것이. 강탈함이.
官吏·의 붓·그리·논 주067)
붓그리논
붓그리[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부끄러워하는.
·배니·라 주068)
배니라
바[所]#이(지정 형용사)-+-니라(어말 어미). 바인 것이다. 바이다.

【한자음】 차방승평일 표겁리소수【표(剽)는 강제로 가지는 것이다.】
【언해역】 이 고을이 태평한 날에도 도적이 강탈하는 것이 관리의 부끄러워하는 바인 것이다.

況乃胡未滅 控帶莽悠悠【此邦이 控引羌胡之地니라 悠悠 遠也ㅣ라】

··며 주069)
며
하물며[況].
:되 주070)
오랑캐. 여기서는 강족(羌族)을 가리킨다. 강족(羌族)은 중국 서방 변두리에 흩어져 있던 티베트 계통의 유목 민족으로, 후진(後秦)을 세우기도 하였다. 호족(胡族)은 중국에서 진·한 시대에 흉노를 가리켰으나, 당나라 때에는 서역의 여러 민족을 가리켰다고 한다.
:배디 주071)
배디
배[敗, 滅]-+-디(연결 어미). 물리치지. 제압하지. 평정하지.
아·니·야시·니 주072)
아니야시니
아니[不, 未]+-(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시[有]-+-니(연결 어미). 아니하고 있으니.
控帶·야 ·쇼미 주073)
공대(控帶)야 쇼미
공대(控帶)+-(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시[有]-+-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지역을 제압하고 있음이. 지역을 평정하는 것이.
·아라·히 주074)
아라히
아라[渺(묘), 緬(면), 莽(망)]+-(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아스라이. 아득히.
:머도·다 주075)
머도다
멀[遠]-+-도다(감탄 어미). 멀도다.

【한자음】 황내호미멸 공대망유유【이 지역이 강족(羌族)과 호족(胡族)를 평정해야 하는 땅이다. 유유는 먼 것이다.】
【언해역】 하물며 되를 제압하지 아니하고 있으니 이 지역을 평정하시는 것이 아득히 멀도다

府中韋使君 道足示懷柔 令姪才俊茂 二美又何求【令姪은 指判官니 言使君與判官으로 叔姪二人이 皆有美才也ㅣ라】

府中·엣 주076)
부중(府中)엣
부중(府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막부 중의. 진영 중의.
韋使君 주077)
위사군(韋使君)
위(韋)16의 숙부를 말한다. 숙부는 당시 동곡군(同谷郡)의 방어사(防禦使)를 맡고 있었다.
·은 道理ㅣ 주078)
도리(道理)ㅣ
도리(道理)+ㅣ(주격 조사). 도리가. 사람된 도리가. 사람됨이.
足·히 懷柔·호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38ㄱ

주079)
회유(懷柔)호
회유(懷柔)+-(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편안하고 부드러움을.
:뵈어· 주080)
뵈어
보[見, 示]-+-이(사동 파생 접미사)-+-거(연결 어미). 보이거늘.
·어딘 주081)
어딘
어딜[賢, 令]-+-ㄴ(관형사형 어미). 어진.
아· 아· 주082)
아아
아[姪?]+아[子, 兒]. 조카.
·죄 주083)
죄
재주.
俊茂니 주084)
준무(俊茂)니
준무(俊茂)+-(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재주와 학식이 뛰어나니.
·둘히 주085)
둘히
둘ㅎ[二]+이(주격 조사). 둘이.
아··답거니 주086)
아답거니
아답[美]-+-거니(연결 어미). 아름답거니. 아름다운데.
· 므·스글 주087)
므스글
므슥[何]+을(대격 조사). 무엇을.
求·리오 주088)
구(求)리오
구(求)+-(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구하리오. 구할 것인가.

【한자음】 부중위사군 도족시회유 령질재준무 이미우하구【어진 조카는 판관을 가리키니, 사군과 판관으로 숙부와 조카 두 사람이 모두 아름다운 재주를 가진 것을 말한다.】
【언해역】 막부 중의 위사군(韋使君)은 사람됨이 족히 편안하고 부드러움을 보이거늘 어진 조카의 재주 뛰어나니 둘이 아름다운데 또 무엇을 구할 것인가?

受詞太白脚 走馬仇池頭【太白山은 在鳳翔고 仇池 在同谷니 言判官이 受命太白山下而走馬向同谷也ㅣ라】

太白山ㅅ 바·래·셔 주089)
태백산(太白山)ㅅ 바래셔
태백산(太白山)+ㅅ(관형격 조사)#발[足]+애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태백산 발에서. 태백산 아래에서.
:말· 주090)
말
말[言, 詞]+(대격 조사). 말씀을. 명(命)을. 명령을.
듣·와 주091)
듣와
듣[聞]-+-(주체 겸양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듣사와. 듣삽고.
仇池ㅅ 머·리로 주092)
구지(仇池)ㅅ 머리로
구지(仇池)+ㅅ(관형격 조사)#머리[頭]+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구지의 머리로. 구지는 산 이름으로, 당나라 동곡군의 서쪽에 있었다.
· 주093)

[馬]+(대격 조사). 말을.
·이놋·다 주094)
이놋다
[走]-+-이(사동 파생 접미사)-+-놋다(감탄 어미). 달리도다.

【한자음】 수사태백각 주마구지두【태백산은 봉상(鳳翔)에 있고, 구지(仇池)는 동곡(同谷)에 있으니, 판관이 태백산 아래에서 명을 받고 동곡을 향하여 말을 달리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태백산 발에서(아래에서) 말씀(명)을 듣삽고, 구지(仇池)의 머리로 말을 달리도다.

古邑沙土裂 積陰霜雪稠【此下 敍彼地風俗다】

:녯 올· 주095)
녯 올
녜[古]+ㅅ(관형격 조사)#올ㅎ[邑]+(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옛 고을에.
沙土ㅣ 주096)
사토(沙土)ㅣ
사토(沙土)+ㅣ(주격 조사). 모래흙이.
··뎻고 주097)
뎻고
[裂]-+-어(연결 어미)#디[化, 爲]-+-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터져 있고. 터졌고.
답사 주098)
답사
답(접두사)-+샇[積]-+-(관형사형 어미). 첩첩이 쌓인. 층층이 쌓인.
陰氣·예 주099)
음기(陰氣)예
음기(陰氣)+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음기에.
서·리와 :눈괘 주100)
서리와 눈괘
서리[霜]+와(접속 조사)#눈[雪]+과(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서리와 눈이.
·하도·다 주101)
하도다
하[多, 稠]-+-도다(감탄 어미). 많도다.

【한자음】 고읍사토렬 적음상설조【이 아래는 저 땅의 풍속을 서술하다.】
【언해역】 옛 고을에 모래흙이 터져 있고, 첩첩이 쌓인 음기(陰氣)에 서리와 눈이 많도다.

羌父豪猪靴 羌兒靑兕裘

:되 아·비 주102)
되 아비
되[羌族]#아비[父]+(보조사). 오랑캐아비는. 강족의 아비는.
:굴·근 도· 주103)
굴근 도
굵[厚, 豪]-+-은(관형사형 어미)#돝[猪]+ᄋᆡ(관형격 조사). 굵은 돼지의.
갓:훼·오 주104)
갓훼오
갖[皮]#훠[靴]#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가죽신이고. 갖신이고. 갖신이요.
:되 아· 주105)
되아
되[羌族]#아[兒]+(보조사). 되아이는. 오랑캐아이는. 강족의 아이는.
프·른 주106)
프른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묏· 주107)
묏
뫼[野]+ㅅ(관형격 조사)#쇼[牛]+(관형격 조사). 들소의.
갓·오시로·다 주108)
갓오시로다
갖[皮]-+옷[衣]#이(지정 형용사)-+-로(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가죽옷이로다. 갖옷이로다.

【한자음】 강부호저화 강아청시구
【언해역】 오랑캐 아비는 굵은 돼지의 갖신이고, 오랑캐 아이는 푸른 들소의 갖옷이로다.

吹角向月窟 蒼山旌旆愁【月窟은 指言西極다】

吹角·고 주109)
취각(吹角)고
취각(吹角)+-(동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뿔나팔을 불고.
月窟 주110)
월굴(月窟)
서극(西極). 서쪽 끝. 서쪽 가장자리. 서역 가운데서도 가장 먼 나라로 인식했다.
·로 向··니 주111)
향(向)니
향(向)+-(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향하니.
프른 :뫼헤 주112)
프른 뫼헤
프르[蒼]-+-ㄴ(관형사형 어미)#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푸른 산에.
旌旆 주113)
정패(旌旆)
정기(旌旗). 정(旌)과 기(旗)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旌)’은 깃대 끝에 새의 깃으로 꾸민 장목을 늘어뜨린 기를 말한다. ‘패(旆)’는 대장이 세우는 기를 말한다.
시·름외·도다 주114)
시름외도다
시름[愁]+-외(동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시름되도다.

【한자음】 취각향월굴 창산정패수【월굴은 서쪽 끝을 가리킨다.】
【언해역】 뿔나팔을 불고 서극으로 향하니, 푸른 산에 정기(旌旗) 시름되도다.

鳥驚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38ㄴ

出死樹 龍怒拔老湫

·새 :놀라 주·근 주115)
주근
죽[死]-+-은(관형사형 어미). 죽은.
남·긔·셔 주116)
남긔셔
나모/[木, 樹t]+의셔(출발점 표시의 부사격 조사). 나무에서. ‘의셔’는 처격 조사 ‘의’와 보조사 ‘셔’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라 주117)
라
[飛]-+-아(어말 어미). 날아. 날아서.
나·고 주118)
나고
나[出]-+-고(연결 어미). 나고. 나오고.
龍·이 怒야 주119)
노(怒)야
노(怒)+-(동사 파생 접미사)-+-야(어말 어미). 논하여.
오·란 주120)
오란
오라[久, 老]-+-ㄴ(관형사형 어미). 오랜.
모·새·셔 주121)
모새셔
못[淵, 湫]+애셔(출발점 표시의 부사격 조사). 못에서.
·혀 주122)
혀
히[拔]-+-어(연결 어미). 빼어.
·나놋·다 주123)
나놋다
나[出]-+-놋다(감탄 어미). 나는구나. 나오는구나.

【한자음】 조경출사수 룡노발로추
【언해역】 새가 놀라서 죽은 나무에서 날아 나오고, 용이 노하여 오랜 못에서 〈몸을〉 빼어 나오는구나.

古來無人境 今代橫戈矛

:녜로 :오매 주124)
녜로 오매
녜[古]+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오[來]-+-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예로부터 옴에. 예로부터.
:사 :업슨 주125)
사 업슨
사[人]#없[無]-+-은(관형사형 어미). 사람 없는.
·히러·니 주126)
히러니
ㅎ[地, 境]#이(지정 형용사)-+-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땅이었는데.
·이 代·예 주127)
이 대(代)예
이[此, 今]#대(代)+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이 대에. 우리 대에.
戈矛· 주128)
과모(戈矛)
과모(戈矛)+(대격 조사). 창(槍)을.
빗·겻도·다 주129)
빗겻도다
빗기[橫]-+-어(연결 어미)#시[有]-+-도다(감탄 어미). 빗겨 있도다. 빗기고 있도다.

【한자음】 고래무인경 금대횡과모
【언해역】 예로부터 사람 없는 땅이었는데, 우리 대에 창을 빗기고 있도다.

傷哉文儒士 憤激馳林丘【文儒士 指韋評事다】

슬프·다 ·글· 션· 주130)
글 션
글[文]+-(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선[士, 儒士]. 글하는 선비.
:애와·텨 주131)
애와텨
애와티[憤]-+-어(연결 어미). 분하여. 애타하여. 애타게. ¶慨 애와틸 씨라(개(慨)는 애를 태운다는 것이다.)
 니르와·다 주132)
 니르와다
[心]#니르왇[使起, 激]-+-아(어말 어미). 마음을 일으켜. 분기(奮起)하여.
林丘·로 주133)
임구(林丘)로
임구(林丘)+로(도달점 표시의 부사격 조사). 언덕으로. 언덕의. 요새로.
·여·가놋·다 주134)
여가놋다
[走]-+-이(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가[行, 馳]-+-놋다(감탄 어미). 달려가는구나. 달려가도다.

【한자음】 상재문유사 분격치림구【글하는 선비는 위평사를 가리킨다.】
【언해역】 슬프다, 글하는 선비 애타게 마음을 일으켜 요새로 달려가는구나.

中原正格鬪 後會何緣由

中原에·셔 주135)
중원(中原)에셔
중원(中原)+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중원에서.
正·히 주136)
정(正)히
제대로. 본격적으로.
사·호·니 주137)
사호니
사호[鬪]-+--+-니(연결 어미). 싸우니. 싸웠는데.
後·에 모·도 주138)
모도
몯[會]-+-옴(명사형 어미)+(보조사). 모임을. 모이는 것은.
어·느 말·리·오 주139)
어느 말리오
어느[何]#말[緣由]#이(지정 형용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어떤 연유일 것인가. 무슨 연유일 것인가.

【한자음】 중원정격투 후회하연유
【언해역】 중원에서 본격적으로 싸웠는데, 후에 모이는 것은 무슨 연유일 것인가?

百年賦命定 豈料沈與浮

百年·에 주140)
백년(百年)에
백년(百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백년에.
:준 命·이 주141)
명(命)이
명(命)+이(주격 조사). 명이. 운명이.
一定··얏·니 주142)
일정(一定)얏니
일정한 것이니. 정해진 것이니.
:엇뎨 주143)
엇뎨
어찌[豈].
··며 주144)
며
[沈]-+-(조음소)며(연결 어미). 잠기며. 욕되며.
·며 주145)
며
[浮]-+-며(연결 어미). 뜨며. 영광되며.
·호 주146)
호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며(연결 어미). 함을. 하는 것을.
:혜리·오 주147)
혜리오
혜[思, 料]-+-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헤아릴 것인가. 생각할 것인가.

【한자음】 백년부명정 기료침여부
【언해역】 인생에 주어진 운명(運命)이 정해진 것이니, 어찌 잠기며 뜨며 하는 것(=욕되고 영광됨, 영욕)을 헤아릴 것인가?

且復戀良友 握手步道周

· ·어딘 :버들 주148)
어딘 버들
어딜[良]-+-ㄴ(관형사형 어미)#벋[友]+을(대격 조사). 어진 벗을.
思戀·야 주149)
사련(思戀)야
사련(思戀)+-(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생각하고 그리워하여. 사모하여. 잊지 못하여.
·소 자·바·셔 주150)
소 자바셔
손[手]+(대격 조사)#잡[握]-+-아셔(연결 어미). 손을 잡아서. 손을 잡고서.
·긼 구·븨·예 주151)
긼 구븨예
길[道]+ㅅ(관형격 조사)#구븨[周]+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길의 굽이에.
:건·니노·라 주152)
건니노라
걷[步]-+니[行]-+-노라(감탄 어미). 걸어가노라.

【한자음】 차부연량우 악수보도주
【언해역】 또 어진 벗을 잊지 못하여, 손을 잡고서 길의 굽이를 걸어가노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39ㄱ

兵遠壑淨 亦可縱冥搜【遠壑淨 言無寇盜之侵이라 冥搜 搜尋冥幽之地而遊賞也ㅣ라】

兵事· 주153)
병사(兵事)
병사(兵事)+(대격 조사). 군사에 관한 일을.
議論·야 주154)
의논(議論)야
논의하여.
:먼 묏:고리 주155)
먼 묏고리
멀[遠]-+-ㄴ(관형사형 어미)#뫼[山]+골[谷]+이(주격 조사). 먼 산골이.
·조커·든 주156)
조커든
좋[淨]-+-거든(연결 어미). 깨끗하거든. 깨끗하면. 조용하거든. 이는 도둑과 약탈자들의 침입이 없는 것을 말한다.
· 어·루 주157)
어루
가히.
冥搜·호 주158)
명수(冥搜)호
명수(冥搜)+-(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평화롭고 부드러운 것을 찾는 것을.
放縱·히 주159)
방종(放縱)히
방종(放縱)+-(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방종하게. 마음껏.
·리로·다

【한자음】 론병원학정 역가종명수【산골이 깨끗하다는 것은 도둑과 약탈자의 침입이 없는 것을 말한다. 명수(冥搜)는 그윽하고 부드러운 곳을 찾아가 감상하는 것이다.】
【언해역】 군사에 관한 일을 의논하는데 먼 산골이 깨끗하면, 또 가히 평화롭고 부드러운 것을 찾는 것을 마음껏 할 것이로다.

題詩得秀句 札翰時相投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그를 ·서 주160)
그를 서
글[文, 詩]+을(대격 조사)#스[書, 題]-+-어(연결 어미). 글을 써(詩). 시를 써.
:됴 句· 주161)
됴 구(句)
둏[好, 秀]-+-(관형사형 어미)#구(句)+(대격 조사). 좋은 구절을.
:어더·든 주162)
어더든
얻[得]-+-어든(연결 어미). 얻거든.
·글워· 주163)
글워
글월[札翰]+(대격 조사). 글월을. 편지를. 서찰을.
時·로 주164)
시(時)로
시(時)+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때로.
서르 주165)
서르
서로[相].
더·뎌 보·내라 주166)
더뎌 보내라
더디[投]-+-어(연결 어미)#보내[送]-+-라(명령 어미). 던져 보내라. 부쳐 보내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제시득수구 찰한시상투
【언해역】 시를 써서 좋은 구절을 얻거든, 서신을 때로 서로 부쳐 보내라.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위십육평사(韋十六) : 위(韋)는 성이고, 16은 같은 조부 아래 16번쨰 되는 자손을 말한다. 이름과 같이 쓰인다. 평사의 관직을 하다가 동곡의 방어판관으로 나가게 되는 인물이다. 두보와는 어렸을 적 친구이다.
주002)
평사(評事) : 관직명. 관리들의 범죄를 조사하고 재판하는 관리.
주003)
동곡(同谷) : 지명으로, 군(郡)의 이름.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성현(成縣)에 해당한다.
주004)
방어판관(防禦判官) : 관직명. 국방을 맡은 판관.
주005)
송위십육평사충동곡방어판관(送韋十六評事充同谷防禦判官) : 위 16평사가 동곡의 방어판관을 충원하는 데 보낸다. 이 시는 지덕(至德) 2년(757)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봉상에 있었다.
주006)
녜 : 예. 옛날. 옛적.
주007)
도적(盜賊)ㅅ 가온 : 도적(盜賊)+ㅅ(관형격 조사)#가온[中]. 도적 가운데.
주008)
뎌실 제 : 디[陷, 沒]-+-어(연결 어미)#시[有]-+-ㄹ(관형사형 어미)#제[時]. 꺼져 있을 때. 빠져 있을 때. 떨어져 있을 때.
주009)
마니 : 만[靜, 潛]+-(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가만히. 몰래. 다른 사람 몰래. 여기서는 ‘마니’를 ‘만다’의 어간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았다. ‘마니’ 자체를 더 이상 분석되지 않는 부사로 보기도 한다.
주010)
그듸와 : 그듸[君, 子]+와(공동격 조사). 그대와.
주011)
다야 : 다[與]+-(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더불어.
주012)
 : [一]#[處]. 함께. 동(同).
주013)
노로라 : 놀[遊]-+-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놀도다. 놀았도다.
주014)
행재소(行在所) : 임금이 왕궁을 떠나 멀리 거동할 때 일시적으로 머무는 곳 .
주015)
도라와 : 돌[回]+아(연결 어미)#오[來]-+-아(연결 어미). 돌아와.
주016)
님 이레 : 님 이레 : 님금[王, 皇帝]+ㅅ(관형격 조사)#일[事]+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임금의 일에.
주017)
나가며 머므로미 : 나[出]-+가[去]-+-며(연결 어미)#머믈[留]-+-옴(명사형 어미)+이(대격 조사). 나가며 머묾이. 나가며 머무는 것이.
주018)
잇도다 : 잇[有]-+-도다(감탄 어미). 있도다.
주019)
병마(兵馬)ㅅ : 병마(兵馬)+ㅅ(관형격 조사). 병사와 말의.
주020)
예 : [間]+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이에.
주021)
어려이 : 어렵[難, 偪]-+-이(부사 파생 접미사). 어렵게.
주022)
니니 : [走]-+니[行]-+--+-니(연결 어미). 다니니.
주023)
님그미 : 님금[王, 皇帝]+이(주격 조사). 임금이.
주024)
시름샤 : 시름[憂]+-(동사 파생 접미사)-+-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시름하시어.
주025)
됴 : 둏[好, 良]-+-(관형사형 어미). 좋은.
주026)
주책(籌策) : 이해와 손해를 계산하여 생각한 책략.
주027)
리 : [急]-+-이(부사 파생 접미사). 빨리. 빠르게.
주028)
시놋다 : [爲]-+-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놋다(감탄 어미). 하시는구나. 하시도다.
주029)
그듸 : 그대[君, 子].
주030)
모미 : 몸[軀, 軀幹]+이(주격 조사). 몸이.
주031)
져그나 : 젹[小]-+-으 나(연결 어미). 작으나.
주032)
늘근 기운(氣運)이 : 늙[老]-+-은(관형사형 어미)#기운(氣運)+이(주격 조사). 늙은 기운이. ‘늙은 기운’은 여기서 천하에 떨칠 기운으로 ‘노련한 기개’를 뜻한다.
주033)
빗겟도다 : 빗그[橫]-+-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빗겨 있도다. 충만해 있도다.
주034)
간난(艱難) : 간난(艱難)+-(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어려운. 어려움을 당하는. ‘간난(艱難)’은 우리말로는 흔히 ‘가난’으로 해석되나, 여기서는 ‘국난(國難)’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주035)
예 : [間]+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이에.
주036)
모 : 몸[身]+(대격 조사). 몸을.
주037)
혀나 : 히/[挺]-+-어(연결 어미)#나[出]-+-아(연결 어미). 빼어내어. 빼어내고. 빼내고.
주038)
누늘  : 눈[眼, 目]+을(대격 조사)#[開, 張]-+-어(연결 어미). 눈을 떠. 눈을 떠서.
주039)
도 : 도[盜, 寇]+(대격 조사). 도적을.
주040)
보놋다 : 보[見, 視]-+-놋다(감탄 어미). 보는구나. 보도다.
주041)
절개(節介) : 절개(節介)+(대격 조사). 절조와 기개를.
주042)
건장(健壯)히 : 건장(健壯)+(형용사 파생 접미사)-+-이(주격 조사). 장쾌히.
주043)
너겨 : 너기[看, 看做]-+-어(연결 어미). 여기어. 여겨.
주044)
조명(詔命)을 : 조명(詔命)+을(대격 조사). 조서로 된 임금의 명령을.
주045)
바다 : 받[受, 奉]-+-아(연결 어미). 받아.
주046)
여곰 : 하여금. ‘여곰, 야, 여, 여곰’ 등 다양한 형태로 쓰이었다.
주047)
막부(幕府)엣 : 막부(幕府)+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막부의. 군부의. 진영의. 군부 진영의.
주048)
 : [謀]+(대격 조사). 꾀를. 지략을. 전략을. 전략을 세우는 데. ‘꾀를’의 ‘를’을 진정한 대격 조사로 보면, 그 성분을 ‘참여케’의 논항으로 해석하기 어렵다. ‘꾀에’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꾀를 세우는 데’와 같이 부사적인 성분을 보충해야 한다. 주어진 문맥을 그대로 두고 해석하는 방법은 ‘꾀를’의 ‘를’을 주제화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주049)
참예(參豫)케 : 참예(參豫)+-(동사 파생 접미사)-+-게(연결 어미). 참예하게. 참여하게.
주050)
난여(鑾輿) : 임금이 거둥할 때 타고 다니던 가마.
주051)
봉상(鳳翔)애 : 봉상(鳳翔)+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봉상에. 봉상은 지명으로, 섬서성(陝西省) 보계(寶鷄) 동북부에 위치한다. 진(秦)나라 때에는 옹현(雍縣)이라고 하였고, 당(唐)나라 때 봉상현(鳳翔縣)으로 개칭하였다. 관중평원과 황투고원[黃土高原]의 과도지대에 있다. 봉상도는 봉상현의 중심 도읍을 가리킨다.
주052)
머므르시니 : 머믈[留, 駐]-+-으시(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머무시니. 머무니. 주어가 ‘난여’ 즉 가마이기 때문에 현대어에서는 그에 대하여 ‘-시-’를 쓰는 것은 어색하다.
주053)
동곡(同谷)ㅅ : 동곡(同谷)+ㅅ(관형격 조사). 동곡의. 동곡은 군(郡)의 이름으로,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성현(成縣)에 해당한다.
주054)
올히 : 올ㅎ[郡]+이(주격 조사). 고을이.
주055)
목티 : 목[咽喉]+이(보조사). 목같이.
주056)
외얫도다 : 외[爲]-+-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되어 있도다.
주057)
서(西)ㅅ녀그론 : 서(西)+ㅅ(관형격 조사). 녁[方]+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서녘으로는.
주058)
약수(弱水)ㅅ 길흘 : 약수(弱水)+ㅅ(관형격 조사)#길ㅎ[道]+을(대격 조사). 약수의 길을. 약수(弱水)는 예전의 강 이름이다. 문헌에는 ‘약수(弱水)’란 이름이 많이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감숙산(甘肅山)의 단강(丹江)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한성무 외(1997) 참조〉.
주059)
눌렛고 : 누르[扼]-+-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누르고 있고.
주060)
남(南)녀그론 : 남(南)#녁[方]+으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남녘으로는.
주061)
포한(枹罕)ㅅ 모 : 포한(枹罕)+ㅅ(관형격 조사)#모ㅎ[陬(추)]+(대격 조사). 포한의 모퉁이를. 포한은 군(郡)의 이름으로, 감숙성 임하현(臨夏縣) 부근 지구에 해당한다.
주062)
진(鎭)얫니라 : 진(鎭)+-(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라(어말 어미). 누르고 있는 것이다.
주063)
이 올히 : 이[此]#올ㅎ[郡]+이(보조사). 이 고을이. ‘이 고을이’의 ‘이’는 ‘이 고을에서가’와 같이 ‘에서가’로 해석해야 자연스럽다. 이는 ‘이 고을이’의 ‘이’가 주제화의 기능을 가진 보조사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064)
승평(承平) : 승평(承平)+-(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나라가 태평한.
주065)
나래도 : 날[日]+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도(보조사). 날에도.
주066)
리튜미 : 리[搏 ]-+티[打]-+-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갈겨 치는 것이. 강제로 빼앗는 것이. 강탈함이.
주067)
붓그리논 : 붓그리[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부끄러워하는.
주068)
배니라 : 바[所]#이(지정 형용사)-+-니라(어말 어미). 바인 것이다. 바이다.
주069)
며 : 하물며[況].
주070)
되 : 오랑캐. 여기서는 강족(羌族)을 가리킨다. 강족(羌族)은 중국 서방 변두리에 흩어져 있던 티베트 계통의 유목 민족으로, 후진(後秦)을 세우기도 하였다. 호족(胡族)은 중국에서 진·한 시대에 흉노를 가리켰으나, 당나라 때에는 서역의 여러 민족을 가리켰다고 한다.
주071)
배디 : 배[敗, 滅]-+-디(연결 어미). 물리치지. 제압하지. 평정하지.
주072)
아니야시니 : 아니[不, 未]+-(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시[有]-+-니(연결 어미). 아니하고 있으니.
주073)
공대(控帶)야 쇼미 : 공대(控帶)+-(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시[有]-+-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지역을 제압하고 있음이. 지역을 평정하는 것이.
주074)
아라히 : 아라[渺(묘), 緬(면), 莽(망)]+-(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아스라이. 아득히.
주075)
머도다 : 멀[遠]-+-도다(감탄 어미). 멀도다.
주076)
부중(府中)엣 : 부중(府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막부 중의. 진영 중의.
주077)
위사군(韋使君) : 위(韋)16의 숙부를 말한다. 숙부는 당시 동곡군(同谷郡)의 방어사(防禦使)를 맡고 있었다.
주078)
도리(道理)ㅣ : 도리(道理)+ㅣ(주격 조사). 도리가. 사람된 도리가. 사람됨이.
주079)
회유(懷柔)호 : 회유(懷柔)+-(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편안하고 부드러움을.
주080)
뵈어 : 보[見, 示]-+-이(사동 파생 접미사)-+-거(연결 어미). 보이거늘.
주081)
어딘 : 어딜[賢, 令]-+-ㄴ(관형사형 어미). 어진.
주082)
아아 : 아[姪?]+아[子, 兒]. 조카.
주083)
죄 : 재주.
주084)
준무(俊茂)니 : 준무(俊茂)+-(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재주와 학식이 뛰어나니.
주085)
둘히 : 둘ㅎ[二]+이(주격 조사). 둘이.
주086)
아답거니 : 아답[美]-+-거니(연결 어미). 아름답거니. 아름다운데.
주087)
므스글 : 므슥[何]+을(대격 조사). 무엇을.
주088)
구(求)리오 : 구(求)+-(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구하리오. 구할 것인가.
주089)
태백산(太白山)ㅅ 바래셔 : 태백산(太白山)+ㅅ(관형격 조사)#발[足]+애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태백산 발에서. 태백산 아래에서.
주090)
말 : 말[言, 詞]+(대격 조사). 말씀을. 명(命)을. 명령을.
주091)
듣와 : 듣[聞]-+-(주체 겸양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듣사와. 듣삽고.
주092)
구지(仇池)ㅅ 머리로 : 구지(仇池)+ㅅ(관형격 조사)#머리[頭]+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구지의 머리로. 구지는 산 이름으로, 당나라 동곡군의 서쪽에 있었다.
주093)
 : [馬]+(대격 조사). 말을.
주094)
이놋다 : [走]-+-이(사동 파생 접미사)-+-놋다(감탄 어미). 달리도다.
주095)
녯 올 : 녜[古]+ㅅ(관형격 조사)#올ㅎ[邑]+(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옛 고을에.
주096)
사토(沙土)ㅣ : 사토(沙土)+ㅣ(주격 조사). 모래흙이.
주097)
뎻고 : [裂]-+-어(연결 어미)#디[化, 爲]-+-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터져 있고. 터졌고.
주098)
답사 : 답(접두사)-+샇[積]-+-(관형사형 어미). 첩첩이 쌓인. 층층이 쌓인.
주099)
음기(陰氣)예 : 음기(陰氣)+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음기에.
주100)
서리와 눈괘 : 서리[霜]+와(접속 조사)#눈[雪]+과(접속 조사)+이(주격 조사). 서리와 눈이.
주101)
하도다 : 하[多, 稠]-+-도다(감탄 어미). 많도다.
주102)
되 아비 : 되[羌族]#아비[父]+(보조사). 오랑캐아비는. 강족의 아비는.
주103)
굴근 도 : 굵[厚, 豪]-+-은(관형사형 어미)#돝[猪]+ᄋᆡ(관형격 조사). 굵은 돼지의.
주104)
갓훼오 : 갖[皮]#훠[靴]#이[지정 형용사)-+-고(연결 어미). 가죽신이고. 갖신이고. 갖신이요.
주105)
되아 : 되[羌族]#아[兒]+(보조사). 되아이는. 오랑캐아이는. 강족의 아이는.
주106)
프른 : 프르[靑]-+-ㄴ(관형사형 어미). 푸른.
주107)
묏 : 뫼[野]+ㅅ(관형격 조사)#쇼[牛]+(관형격 조사). 들소의.
주108)
갓오시로다 : 갖[皮]-+옷[衣]#이(지정 형용사)-+-로(감탄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가죽옷이로다. 갖옷이로다.
주109)
취각(吹角)고 : 취각(吹角)+-(동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뿔나팔을 불고.
주110)
월굴(月窟) : 서극(西極). 서쪽 끝. 서쪽 가장자리. 서역 가운데서도 가장 먼 나라로 인식했다.
주111)
향(向)니 : 향(向)+-(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향하니.
주112)
프른 뫼헤 : 프르[蒼]-+-ㄴ(관형사형 어미)#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푸른 산에.
주113)
정패(旌旆) : 정기(旌旗). 정(旌)과 기(旗)를 아울러 이르는 말. ‘정(旌)’은 깃대 끝에 새의 깃으로 꾸민 장목을 늘어뜨린 기를 말한다. ‘패(旆)’는 대장이 세우는 기를 말한다.
주114)
시름외도다 : 시름[愁]+-외(동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시름되도다.
주115)
주근 : 죽[死]-+-은(관형사형 어미). 죽은.
주116)
남긔셔 : 나모/[木, 樹t]+의셔(출발점 표시의 부사격 조사). 나무에서. ‘의셔’는 처격 조사 ‘의’와 보조사 ‘셔’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117)
라 : [飛]-+-아(어말 어미). 날아. 날아서.
주118)
나고 : 나[出]-+-고(연결 어미). 나고. 나오고.
주119)
노(怒)야 : 노(怒)+-(동사 파생 접미사)-+-야(어말 어미). 논하여.
주120)
오란 : 오라[久, 老]-+-ㄴ(관형사형 어미). 오랜.
주121)
모새셔 : 못[淵, 湫]+애셔(출발점 표시의 부사격 조사). 못에서.
주122)
혀 : 히[拔]-+-어(연결 어미). 빼어.
주123)
나놋다 : 나[出]-+-놋다(감탄 어미). 나는구나. 나오는구나.
주124)
녜로 오매 : 녜[古]+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오[來]-+-ㅁ(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예로부터 옴에. 예로부터.
주125)
사 업슨 : 사[人]#없[無]-+-은(관형사형 어미). 사람 없는.
주126)
히러니 : ㅎ[地, 境]#이(지정 형용사)-+-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땅이었는데.
주127)
이 대(代)예 : 이[此, 今]#대(代)+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이 대에. 우리 대에.
주128)
과모(戈矛) : 과모(戈矛)+(대격 조사). 창(槍)을.
주129)
빗겻도다 : 빗기[橫]-+-어(연결 어미)#시[有]-+-도다(감탄 어미). 빗겨 있도다. 빗기고 있도다.
주130)
글 션 : 글[文]+-(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선[士, 儒士]. 글하는 선비.
주131)
애와텨 : 애와티[憤]-+-어(연결 어미). 분하여. 애타하여. 애타게. ¶慨 애와틸 씨라(개(慨)는 애를 태운다는 것이다.)
주132)
 니르와다 : [心]#니르왇[使起, 激]-+-아(어말 어미). 마음을 일으켜. 분기(奮起)하여.
주133)
임구(林丘)로 : 임구(林丘)+로(도달점 표시의 부사격 조사). 언덕으로. 언덕의. 요새로.
주134)
여가놋다 : [走]-+-이(사동 파생 접미사)-+-어(연결 어미)#가[行, 馳]-+-놋다(감탄 어미). 달려가는구나. 달려가도다.
주135)
중원(中原)에셔 : 중원(中原)+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중원에서.
주136)
정(正)히 : 제대로. 본격적으로.
주137)
사호니 : 사호[鬪]-+--+-니(연결 어미). 싸우니. 싸웠는데.
주138)
모도 : 몯[會]-+-옴(명사형 어미)+(보조사). 모임을. 모이는 것은.
주139)
어느 말리오 : 어느[何]#말[緣由]#이(지정 형용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어떤 연유일 것인가. 무슨 연유일 것인가.
주140)
백년(百年)에 : 백년(百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백년에.
주141)
명(命)이 : 명(命)+이(주격 조사). 명이. 운명이.
주142)
일정(一定)얏니 : 일정한 것이니. 정해진 것이니.
주143)
엇뎨 : 어찌[豈].
주144)
며 : [沈]-+-(조음소)며(연결 어미). 잠기며. 욕되며.
주145)
며 : [浮]-+-며(연결 어미). 뜨며. 영광되며.
주146)
호 : [爲]-+-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며(연결 어미). 함을. 하는 것을.
주147)
혜리오 : 혜[思, 料]-+-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헤아릴 것인가. 생각할 것인가.
주148)
어딘 버들 : 어딜[良]-+-ㄴ(관형사형 어미)#벋[友]+을(대격 조사). 어진 벗을.
주149)
사련(思戀)야 : 사련(思戀)+-(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생각하고 그리워하여. 사모하여. 잊지 못하여.
주150)
소 자바셔 : 손[手]+(대격 조사)#잡[握]-+-아셔(연결 어미). 손을 잡아서. 손을 잡고서.
주151)
긼 구븨예 : 길[道]+ㅅ(관형격 조사)#구븨[周]+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길의 굽이에.
주152)
건니노라 : 걷[步]-+니[行]-+-노라(감탄 어미). 걸어가노라.
주153)
병사(兵事) : 병사(兵事)+(대격 조사). 군사에 관한 일을.
주154)
의논(議論)야 : 논의하여.
주155)
먼 묏고리 : 멀[遠]-+-ㄴ(관형사형 어미)#뫼[山]+골[谷]+이(주격 조사). 먼 산골이.
주156)
조커든 : 좋[淨]-+-거든(연결 어미). 깨끗하거든. 깨끗하면. 조용하거든. 이는 도둑과 약탈자들의 침입이 없는 것을 말한다.
주157)
어루 : 가히.
주158)
명수(冥搜)호 : 명수(冥搜)+-(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평화롭고 부드러운 것을 찾는 것을.
주159)
방종(放縱)히 : 방종(放縱)+-(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 파생 접미사). 방종하게. 마음껏.
주160)
그를 서 : 글[文, 詩]+을(대격 조사)#스[書, 題]-+-어(연결 어미). 글을 써(詩). 시를 써.
주161)
됴 구(句) : 둏[好, 秀]-+-(관형사형 어미)#구(句)+(대격 조사). 좋은 구절을.
주162)
어더든 : 얻[得]-+-어든(연결 어미). 얻거든.
주163)
글워 : 글월[札翰]+(대격 조사). 글월을. 편지를. 서찰을.
주164)
시(時)로 : 시(時)+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때로.
주165)
서르 : 서로[相].
주166)
더뎌 보내라 : 더디[投]-+-어(연결 어미)#보내[送]-+-라(명령 어미). 던져 보내라. 부쳐 보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