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방문(訪問)
  • 빈객이 오다[賓至]
메뉴닫기 메뉴열기

빈객이 오다[賓至]


賓至 주001)
빈지(賓至)
손이 이르다. 빈객이 오다. 이 시는 상원(上元) 원년(760)에 지은 것이라 한다. 이 시기는 두보의 초당(草堂)이 다 지어진 후이다. 시에서 그려지고 있는 손은 대개 지위가 비교적 높은 사람이다. 글을 서로 주고받는 사이이다. 시에 나타난 감정이 담담한데, 이는 객에 대한 감정이다.

빈지
(빈객이 오다)

患氣經時久 臨江卜宅新【患氣 甫有肺疾이니라】

肺氣· 주002)
폐기(肺氣)
폐기(肺氣)+(대격 조사). 폐기종을. 폐 질병을. 폐 질환을.
알·호미 주003)
알호미
앓[患]+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앓은 것이.
時ㅣ 주004)
시(時)ㅣ
시(時)+ㅣ(주격 조사). 시간이.
:디·나 오·라니 주005)
디나 오라니
디나[經]-+-아(연결 어미)#오라[久]-+-니(연결 어미). 지나 오래니. 지나서 오래니. 오래 지나니.
· 臨·야 주006)
임(臨)야
임(臨)+-(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임하여.
주007)
 임(臨)야
[江]+(대격 조사)#임(臨)+-(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강을 임하여.
卜築 주008)
복축(卜築)
복축(卜築)+-(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살 만한 곳을 가려서 집을 지은.
지·비 주009)
지비
집[家, 宅]+이(주격 조사). 집이.
·새·롭도·다 주010)
새롭도다
새[新]+-롭(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새롭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한자음】 환기경시구 림강복택신【환기(患氣)는 두보가 폐질환을 가진 것이다.】
【언해역】 폐 질병을 앓은 것이 시간이 오래 지내니, 강을 임하여 살 만한 곳에 지은 집이 새롭도다.

喧卑方避俗 #疏快頗宜(宜)人

수워·리고 주011)
수워리고
수워리[喧(훤)]-+-고(연결 어미). 떠들썩하고.
가온 주012)
가온
갑[低, 卑]-+-(관형사형 어미). 낮은. 천한. 비천한. ¶上聲은 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라(상성은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다.)〈훈언 13ㄴ〉.
· 주013)

(處, 의존 명사)+(대격 조사). 데를. 뒤에 있는 ‘속인(俗人)을’ 성분과 함께 대격 중출 구성을 이룬다. 앞에 오는 ‘을/를’ 성분을 역주자는 ‘을/를’ 주제로 본다.
뵈야·로 주014)
뵈야로
바야흐로[方].
俗人· 避·호니 주015)
속인(俗人) 피(避)호니
속인을 피하니.
훤야 주016)
훤야
훤[#疏快]-+-(형용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훤하여. 확 트여.
모 주017)
모
자못[頗].
:사:게 주018)
사게
사[人]+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람에게.
:됴토·다 주019)
됴토다
둏[好, 宜]-+-도다(감탄 어미). 좋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감탄 선어말 어미 ‘-도-’와 어말 어미 ‘-다’의 결합을 감탄 어미로 재구조화하는 것이다. ‘宜’는 ‘宜’와 같은 한자로 여겨진다.

【한자음】 훤비방피속 소쾌파의인
【언해역】 떠들어 대고 비천한 곳을 바야흐로 속인을 피하니, 확 트여 자못 사람에게 좋도다.

有客過茅宇 呼兒正葛巾

잇 주020)
잇
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있는. 어떤.
소니 주021)
소니
손[客]+이(주격 조사). 손이. 객이.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11ㄴ

:새지븨 주022)
새지븨
새[茅]#집[家, 宇]+의(처격 조사). 새집에. 띠집에.
:디나오나· 주023)
디나오나
디나[過]-+-아(연결 어미)#오[來]-+-나[연결 어미). 지나오거늘. 찾아오거늘.
아· 블·러 주024)
아 블러
아[我, 兒]#부르[呼]-+-어(연결 어미). 아이 불러.
·츩 곳·가 주025)
츩 곳가
츩[葛]#곳갈[巾]+(대격 조사). 칡 고깔을.
고·티라 주026)
고티라
고티[改, 正]-+-라(명령 어미). 고치라.
·노·라 주027)
노라
[爲, 謂]-+-노라(감탄 어미). 하노라. 하도다.

【한자음】 유객과모우 호아정갈건
【언해역】 어떤 손이 띠집에 찾아오거늘, 아이 불러 칡 고깔을 고치라 하도다.

自鉏稀菜甲 小摘爲情親【言蔬雖不多나 爲客小摘니 足見重客也ㅣ니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내 ·욘 주028)
내 욘
나[我, 自]+이(주격 조사)#[鉏]-+-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내가 김을 맨.
드믄 주029)
드믄
드믈[稀]-+-ㄴ(관형사형 어미). 드문.
菜甲· 주030)
채갑(菜甲)
채갑(菜甲)+(대격 조사). 나물의 처음 싹을.
:져기 주031)
져기
젹[小]+이(부사격 조사). 조금.
·더 주032)
더
[摘]-+-어(연결 어미). 뜯어.
이바·도 주033)
이바도
이받[寄]-+-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대접함은. 대접하는 것은.
·디 주034)
디
[意, 情]+이(주격 조사). 뜻이.
親·호 주035)
친(親)호
친(親)+-(형용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친함을. 친한 것을.
爲··얘니라 주036)
위(爲)얘니라
위(爲)+-(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이(지정 형용사)-+-니라(어말 어미). 위하여인 것이다. ‘-니라’는 동명사 어미 ‘-ㄴ’ 뒤에 지정 형용사 ‘이-’의 활용형이 온 구성이 재구조화된 것이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자서희채갑 소적위정친【채소가 비록 많지 않으나 손을 위하여 조금 따니 손이 다시 오는 것을 보는 데 족한 것을 말한다.】
【언해역】 내가 김을 맨 드믄 채소 싹을 조금 뜯어 대접함은 그 뜻이 친함을 위하여인 것이다.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빈지(賓至) : 손이 이르다. 빈객이 오다. 이 시는 상원(上元) 원년(760)에 지은 것이라 한다. 이 시기는 두보의 초당(草堂)이 다 지어진 후이다. 시에서 그려지고 있는 손은 대개 지위가 비교적 높은 사람이다. 글을 서로 주고받는 사이이다. 시에 나타난 감정이 담담한데, 이는 객에 대한 감정이다.
주002)
폐기(肺氣) : 폐기(肺氣)+(대격 조사). 폐기종을. 폐 질병을. 폐 질환을.
주003)
알호미 : 앓[患]+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앓은 것이.
주004)
시(時)ㅣ : 시(時)+ㅣ(주격 조사). 시간이.
주005)
디나 오라니 : 디나[經]-+-아(연결 어미)#오라[久]-+-니(연결 어미). 지나 오래니. 지나서 오래니. 오래 지나니.
주006)
임(臨)야 : 임(臨)+-(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임하여.
주007)
 임(臨)야 : [江]+(대격 조사)#임(臨)+-(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강을 임하여.
주008)
복축(卜築) : 복축(卜築)+-(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살 만한 곳을 가려서 집을 지은.
주009)
지비 : 집[家, 宅]+이(주격 조사). 집이.
주010)
새롭도다 : 새[新]+-롭(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새롭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다.
주011)
수워리고 : 수워리[喧(훤)]-+-고(연결 어미). 떠들썩하고.
주012)
가온 : 갑[低, 卑]-+-(관형사형 어미). 낮은. 천한. 비천한. ¶上聲은 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라(상성은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다.)〈훈언 13ㄴ〉.
주013)
 : (處, 의존 명사)+(대격 조사). 데를. 뒤에 있는 ‘속인(俗人)을’ 성분과 함께 대격 중출 구성을 이룬다. 앞에 오는 ‘을/를’ 성분을 역주자는 ‘을/를’ 주제로 본다.
주014)
뵈야로 : 바야흐로[方].
주015)
속인(俗人) 피(避)호니 : 속인을 피하니.
주016)
훤야 : 훤[#疏快]-+-(형용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훤하여. 확 트여.
주017)
모 : 자못[頗].
주018)
사게 : 사[人]+게(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사람에게.
주019)
됴토다 : 둏[好, 宜]-+-도다(감탄 어미). 좋도다. ‘-도다’를 감탄 어미로 분석하는 것은 감탄 선어말 어미 ‘-도-’와 어말 어미 ‘-다’의 결합을 감탄 어미로 재구조화하는 것이다. ‘宜’는 ‘宜’와 같은 한자로 여겨진다.
주020)
잇 : 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있는. 어떤.
주021)
소니 : 손[客]+이(주격 조사). 손이. 객이.
주022)
새지븨 : 새[茅]#집[家, 宇]+의(처격 조사). 새집에. 띠집에.
주023)
디나오나 : 디나[過]-+-아(연결 어미)#오[來]-+-나[연결 어미). 지나오거늘. 찾아오거늘.
주024)
아 블러 : 아[我, 兒]#부르[呼]-+-어(연결 어미). 아이 불러.
주025)
츩 곳가 : 츩[葛]#곳갈[巾]+(대격 조사). 칡 고깔을.
주026)
고티라 : 고티[改, 正]-+-라(명령 어미). 고치라.
주027)
노라 : [爲, 謂]-+-노라(감탄 어미). 하노라. 하도다.
주028)
내 욘 : 나[我, 自]+이(주격 조사)#[鉏]-+-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내가 김을 맨.
주029)
드믄 : 드믈[稀]-+-ㄴ(관형사형 어미). 드문.
주030)
채갑(菜甲) : 채갑(菜甲)+(대격 조사). 나물의 처음 싹을.
주031)
져기 : 젹[小]+이(부사격 조사). 조금.
주032)
더 : [摘]-+-어(연결 어미). 뜯어.
주033)
이바도 : 이받[寄]-+-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대접함은. 대접하는 것은.
주034)
디 : [意, 情]+이(주격 조사). 뜻이.
주035)
친(親)호 : 친(親)+-(형용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친함을. 친한 것을.
주036)
위(爲)얘니라 : 위(爲)+-(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이(지정 형용사)-+-니라(어말 어미). 위하여인 것이다. ‘-니라’는 동명사 어미 ‘-ㄴ’ 뒤에 지정 형용사 ‘이-’의 활용형이 온 구성이 재구조화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