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방문(訪問)
  • 지나는 손을 찾다[過客相尋]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나는 손을 찾다[過客相尋]


過客相尋 주001)
과객상심(過客相尋)
지나가는 손을 살펴 찾다. 생활의 정취를 표현한 짧은 시로, 두보가 안정적인 시골 생활 중에 잔잔하게 손을 기다리는 정경을 묘사하고 있다. 지은 연도와 장소는 알 수 없다.

과객상심
(지나는 손을 찾다)

窮老眞無事 江山已定居

窮 주002)
궁(窮)
궁(窮)+-(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궁한. 가난한.
늘구메 주003)
늘구메
늙[老]-+-움(명사형 어미)+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늙음에.
眞實·로 :이리 :업수·니 주004)
이리 업수니
일[事]+이(주격 조사)#없[無]-+-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일이 없으니.
· :뫼헤 주005)
 뫼헤
[江]#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과 산에.
·마 주006)
마
이미[已].
사:롤 주007)
사롤
살[居]-+-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살.
· 주008)
[處]+ㄹ(대격 조사). 데를.
一定·호라 주009)
일정(一定)호라
일정(一定)+-(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정하도다. 확실히 정하도다.

【한자음】 궁로진무사 강산이정거
【언해역】 가난한 늙음에 진실로 일이 없으니, 강과 산에 이미 살 데를 정하도다.

地幽忘盥櫛 客至罷琴書

·히 주010)
히
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幽深·니 주011)
유심(幽深)니
유심(幽深)+-(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그윽하고 깊으니.
 시·스며 주012)
 시스며
[顔]#싯[洗, 盥(관:대야)]-+-으며(연결 어미). 낯 씻으며. 얼굴 씻으며.
머·리 비·수믈 주013)
머리 비수믈
머리[髮]#빗[櫛]-+-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머리 빗음을.
닛·고 주014)
닛고
닞[忘]-+-고(연결 어미). 잊고.
손 ·오나· 주015)
손 오나
손[客]#오[來]-+-나(연결 어미). 손 오거늘. 객이 오거늘.
거·믄고 :놀며 주016)
거믄고 놀며
거믄고[玄琴, 琴]#놀[奏, 彈]-+-며(연결 어미). 거문고 타며.
·글 닐·구믈 주017)
글 닐구믈
글[文]#닑[讀]-+-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글 읽음을.
마·로라 주018)
마로라
말[勿, 罷]-+-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말도다. 마는구나. 마는도다.

【한자음】 지유망관즐 객지파금서
【언해역】 땅이 깊고 그윽하니 얼굴 씻으며 머리 빗음을 잊고, 손 오거늘 거문고 타며 글 읽음을 마는도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11ㄱ

壁移筐果 呼兒間煮魚

·매 주019)
매
[壁]+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벽에.
거렛 주020)
거렛
걸[挂]-+-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걸어 있는. 걸고 있는. 걸어 놓은.
구러·겟 주021)
구러겟
구럭[筐(광)]+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광주리의. 망태기의.
果實·을 주022)
과실(果實)을
과실(果實)+을(대격 조사). 과실을. 과일을.
옮·겨 오·고 아· 블·러 주023)
아 블러
아[兒]#부르[呼]-+-어(연결 어미). 아이 불러.
·몬 주024)
몬
[煮]-+-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삶은.
고기 섯·거 주025)
고기 섯거
고기[魚]+(대격 조사)#[混, 間]-+-어(연결 어미). 고기를 섞어.
이받·노라 주026)
이받노라
이받[待接]-+-노라(감탄 어미). 대접하노라. 대접하도다.

【한자음】 괘벽이광과 호아간자어
【언해역】 바람에 걸어 놓은 광주리에 과일을 옮겨 오고, 아이 불러 삶은 고기를 섞어 대접하노라.

時聞繫舟楫 及此問吾廬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네 주027)
너[汝]+이(주격 조사). 네가. ‘네’는 방점이 상성으로 되어 있어 주격으로 해석된다.
 ·야·쇼 주028)
 야쇼
[舟]#[繫]-+-아(연결 어미)#시[有]-+-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배 매고 있음을.
時·로 주029)
시(時)로
시(時)+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시시로. 때로.
듣·다니 주030)
듣다니
듣[聞]-+-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들었는데.
예 미·처 ·와 주031)
예 미처 와
예[此]#및[及]-+-어(연결 어미)#오[來]-+-아(연결 어미). 여기에 미쳐 와.
내 지·블 주032)
내 지블
나[我, 吾]+ᄋᆡ(관형격 조사)#집[家, 廬(려: 오두막)]+을(대격 조사). 나의 집을.
:묻·다 주033)
묻다
묻[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묻는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시문계주즙 급차문오려
【언해역】 네가 배 매는 것을 때로 들었는데, 여기 미쳐 와서 나의 집을 묻는다.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과객상심(過客相尋) : 지나가는 손을 살펴 찾다. 생활의 정취를 표현한 짧은 시로, 두보가 안정적인 시골 생활 중에 잔잔하게 손을 기다리는 정경을 묘사하고 있다. 지은 연도와 장소는 알 수 없다.
주002)
궁(窮) : 궁(窮)+-(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궁한. 가난한.
주003)
늘구메 : 늙[老]-+-움(명사형 어미)+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늙음에.
주004)
이리 업수니 : 일[事]+이(주격 조사)#없[無]-+-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일이 없으니.
주005)
 뫼헤 : [江]#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과 산에.
주006)
마 : 이미[已].
주007)
사롤 : 살[居]-+-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살.
주008)
 : [處]+ㄹ(대격 조사). 데를.
주009)
일정(一定)호라 : 일정(一定)+-(동사 파생 접미사)-+-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정하도다. 확실히 정하도다.
주010)
히 : 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주011)
유심(幽深)니 : 유심(幽深)+-(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그윽하고 깊으니.
주012)
 시스며 : [顔]#싯[洗, 盥(관:대야)]-+-으며(연결 어미). 낯 씻으며. 얼굴 씻으며.
주013)
머리 비수믈 : 머리[髮]#빗[櫛]-+-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머리 빗음을.
주014)
닛고 : 닞[忘]-+-고(연결 어미). 잊고.
주015)
손 오나 : 손[客]#오[來]-+-나(연결 어미). 손 오거늘. 객이 오거늘.
주016)
거믄고 놀며 : 거믄고[玄琴, 琴]#놀[奏, 彈]-+-며(연결 어미). 거문고 타며.
주017)
글 닐구믈 : 글[文]#닑[讀]-+-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글 읽음을.
주018)
마로라 : 말[勿, 罷]-+-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말도다. 마는구나. 마는도다.
주019)
매 : [壁]+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벽에.
주020)
거렛 : 걸[挂]-+-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걸어 있는. 걸고 있는. 걸어 놓은.
주021)
구러겟 : 구럭[筐(광)]+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광주리의. 망태기의.
주022)
과실(果實)을 : 과실(果實)+을(대격 조사). 과실을. 과일을.
주023)
아 블러 : 아[兒]#부르[呼]-+-어(연결 어미). 아이 불러.
주024)
몬 : [煮]-+-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삶은.
주025)
고기 섯거 : 고기[魚]+(대격 조사)#[混, 間]-+-어(연결 어미). 고기를 섞어.
주026)
이받노라 : 이받[待接]-+-노라(감탄 어미). 대접하노라. 대접하도다.
주027)
네 : 너[汝]+이(주격 조사). 네가. ‘네’는 방점이 상성으로 되어 있어 주격으로 해석된다.
주028)
 야쇼 : [舟]#[繫]-+-아(연결 어미)#시[有]-+-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배 매고 있음을.
주029)
시(時)로 : 시(時)+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시시로. 때로.
주030)
듣다니 : 듣[聞]-+-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들었는데.
주031)
예 미처 와 : 예[此]#및[及]-+-어(연결 어미)#오[來]-+-아(연결 어미). 여기에 미쳐 와.
주032)
내 지블 : 나[我, 吾]+ᄋᆡ(관형격 조사)#집[家, 廬(려: 오두막)]+을(대격 조사). 나의 집을.
주033)
묻다 : 묻[問]-+-(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묻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