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방문(訪問)
  • 엄공이 한여름에 초당에 오시어 술안주를 대접하다[嚴公仲夏枉駕草堂兼携酒饌得寒字]
메뉴닫기 메뉴열기

엄공이 한여름에 초당에 오시어 술안주를 대접하다[嚴公仲夏枉駕草堂兼携酒饌得寒字]


嚴公 주001)
엄공(嚴公)
엄무(嚴武)를 친하게 높이는 말.
仲夏 주002)
중하(仲夏)
한여름. 여름이 한창인 때. 음력 5월을 말함.
枉駕 주003)
왕가(枉駕)
왕림(枉臨). 높은 사람이 자기 있는 곳을 찾아 줌을 높여 이르는 말.
草堂兼携酒饌得寒字 주004)
득한자(得寒字)
두 사람 사이에 운자(韻字)로 ‘한(寒)’을 뽑아 시를 쓰는 것을 말한다.
주005)
엄공중하왕가초당겸휴주찬득한자(嚴公仲夏枉駕草堂兼携酒饌得寒字)
엄공(엄무)이 여름이 한창인 때 초당에 왕림하였는데 술과 안주를 겸하였는데, 운자로 ‘한(寒)’ 자를 얻다. 이 시는 보응(寶應) 원년(762) 5월(음력)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성도의 초당(草堂)에 있었다. 식사를 하는 중간에 두 사람이 운자를 뽑아 시를 지었다. 두보가 뽑은 것이 ‘한(寒)’ 자였다.

엄공중하왕가초당겸휴주찬득한자
(엄공이 한여름에 초당에 오시어 술안주를 대접하다)

竹裏行廚洗玉盤 花邊立馬簇金鞍

대·숩 :소개 주006)
대숩 소개
대숩[竹林]#속[裏]+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대숲 속에. 대나무 숲 속에.
·녀·왓 주007)
녀왓
녀[行]-+-어(연결 어미)#오[來]-+-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가서 와 있는. 나가 와 있는. 나 있는.
브·븨셔 주008)
브븨셔
브[廚(주)]+의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부엌에서. ‘의셔’는 처격 조사 ‘의’ 뒤에 ‘시다’의 활용형인 ‘셔’가 온 구성이다. 다시 처격 조사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玉盤· 주009)
옥반(玉盤)
옥반(玉盤)+(대격 조사). 밥상을.
싯·니 주010)
싯니
싯[洗]-+-(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씻으니. 씻고.
곳 : 주011)
곳 
곳[花]#[邊]+(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꽃 가에.
· :셰니 주012)
 셰니
[馬]+(대격 조사)#셔[立]-+-이(사동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말을 세우니.
金 기·르매 주013)
금(金) 기르매
금(金)#기르마[鞍]+이(주격 조사). 금 안장이. 금기르마가. 기르마는 길마의 옛말이다.
모·댓도·다 주014)
모댓도다
몯[簇, 集]-+-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모아 있도다. 모여 있도다.

【한자음】 죽리행주세옥반 화변립마족금안
【언해역】 대나무 숲 속에 나 있는 부엌에서 밥상을 씻고, 꽃 가에 말을 세우니 금 길마(안장)가 모여 있도다.

非關使者徵求急 自識將軍禮數寬【顔闔이 守陋閭ㅣ어 魯君이 遣使徵之니라 此 言嚴公이 親來訪也ㅣ라 非如魯君之遣使徵之니라 】

使者ㅣ 주015)
사자(使者)ㅣ
사자(使者)+ㅣ(주격 조사). 사군(使君)이. 사신(使臣)이. 여기서 사신은 엄무(嚴武)를 가리킨다.
블·러 주016)
블러
부르[呼]-+-어(연결 어미). 불러.
:어두·믈 주017)
어두믈
얻[求]-+-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얻음을.
·리 주018)
리
르[急]-+-이(부사 파생 접미사). 빨리. 빠르게.
·호매 주019)
호매
[爲]-+-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함에. 하기 때문에.
關係·티 아·니·니 주020)
관계(關係)티 아니니
관계(關係)+-(동사 파생 접미사)-+-디(연결 어미)#아니[不]+-(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관계하지 않으니. 괘념치 않으니. 다른 것을 괘념치 않으니.
將軍·의 주021)
장군(將軍)의
장군(將軍)+의(관형격 조사). 장군의. 여기서 장군은 엄무를 말한다.
禮數ㅣ 주022)
예수(禮數)ㅣ
예수(禮數)+ㅣ(주격 조사). 사람 대접이. ‘예수’는 사람의 명예(名譽)와 지위(地位)에 상당한 예의(禮儀) 또는 신분과 계급에 따라 예우(禮遇)를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
어·위요· 주023)
어위요
어위[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넓고 큼을. 관대함을.
·내 :아노·라 주024)
내 아노라
나[我]+이(주격 조사)#알[知]-+-노라(감탄 어미). 내 아노라. 내가 아노라. 내가 알도다. ‘자식(自識)’에 대한 언해다.

【한자음】 비관사자징구급 자식장군례수관【안합(顔闔)이 누추한 마을을 지키고 있었는데(살고 있었는데) 노군이 사신을 보내어 그를 불러들였다. 이는 엄공이 친히 내방한 것을 말함이라, 노군(魯君)이 사신을 보내어 불러들인 것과 같지 않은 것이다.】
【언해역】 사자(使者)가 블러 구하는 것을 빨리 하는 것에 괘념치 아니하니, 장군의 사람 대접이 넓고 큼을 내가 아노라.

百年地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7ㄴ

僻柴門迥 五月江深草閣寒

百年·에 주025)
백년(百年)에
백년(百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백년에. 백 년 동안. 오랫동안.
·히 주026)
히
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幽僻·니 주027)
유벽(幽僻)니
유벽(幽僻)+-(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한적하고 외지니.
柴門·이 주028)
시문(柴門)이
시문(柴門)+이(주격 조사). 사립문이.
:아라·고 주029)
아라고
아라[迥(형)]+-(형용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아스라하고. 멀고.
五月·에 주030)
오월(五月)에
오월(五月)+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오월에. 여기서 5월은 음력 5월이다. 한여름에 해당한다.
·미 기·프니 주031)
미 기프니
[江]+이(주격 조사)#깊[深]-+-으니(연결 어미). 강이 깊으니.
草閣·이 주032)
초각(草閣)이
초각(草閣)+이(주격 조사). 지붕을 풀로 이은 집이.
·서늘·도·다 주033)
서늘도다
서늘[寒]+-(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서늘하도다.

【한자음】 백년지벽시문형 오월강심초각한
【언해역】 오랫동안 땅이 한적하고 외지니 사립문이 아스라하고, 5월에 강이 깊으니 풀로 지붕을 이은 집이 서늘하도다.

看弄漁舟移白日 老農何有磬交懽【言嚴公이 弄漁舟야 以盡白日也ㅣ라 老農은 ㅣ 自謂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고·기잡 · 주034)
고기잡 
고기[魚]#잡[擭, 漁]-+-(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舟]. 고기 잡는 배.
놀·요 주035)
놀요
놀[戱, 弄]-+-이(사동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놀림을. 놀리는 것을. 희롱하는 것을.
·보노·라 ·야 주036)
보노라 야
보[見, 看]-+-(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爲]-+-야(연결 어미). 보느라 하여. 보느라고.
白日·이 주037)
백일(白日)이
백일(白日)+이(주격 조사). 쨍쨍한 해가. 하루해가.
올·마기(가)록 주038)
올마 기(가)록
옮[移]-+-아(연결 어미)#가[去]-+-록(연결 어미). 옮아가도록. 옮겨가도록. ‘기록’은 ‘가록’의 잘못이다.
·시란·:만 주039)
시란만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란만(연결 어미). 하실망정.
늘·근 주040)
늘근
늙[老]-+-은(관형사형 어미). 늙은.
녀·름:짓 ·노 주041)
녀름짓 노
녀름[農事]#짓[作, 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놈[者]+(보조사). 농사짓는 놈은.
므·슷 거·시 이·셔 주042)
므슷 거시 이셔
므슷[何]#것(의존 명사)+이(주격 조사)#이시[有]-+-어(연결 어미). 무슨 것이 있어. 무엇이 있어.
서르 ·즐교· 주043)
서르 즐교
서르[相, 交]#즐기[懽(환)]-+-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서로 즐기는 것을.
:다·리오 주044)
다리오
다[磬(경)]+-(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다하리오. 다할 것인가.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간롱어주이백일 로농하유경교환【엄공이 고기잡는 배를 타고 놀면서 온종일 보낸 것을 말한다. 늙은 농부란 두보가 자신을 이른 것이다.】
【언해역】 고기잡는 배 놀리는 것을 보느라고 하루해가 옮아가도록 하실망정, 농사짓는 늙은 놈은 무엇이 있어 서로 즐기는 것을 다할 것인가?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엄공(嚴公) : 엄무(嚴武)를 친하게 높이는 말.
주002)
중하(仲夏) : 한여름. 여름이 한창인 때. 음력 5월을 말함.
주003)
왕가(枉駕) : 왕림(枉臨). 높은 사람이 자기 있는 곳을 찾아 줌을 높여 이르는 말.
주004)
득한자(得寒字) : 두 사람 사이에 운자(韻字)로 ‘한(寒)’을 뽑아 시를 쓰는 것을 말한다.
주005)
엄공중하왕가초당겸휴주찬득한자(嚴公仲夏枉駕草堂兼携酒饌得寒字) : 엄공(엄무)이 여름이 한창인 때 초당에 왕림하였는데 술과 안주를 겸하였는데, 운자로 ‘한(寒)’ 자를 얻다. 이 시는 보응(寶應) 원년(762) 5월(음력)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성도의 초당(草堂)에 있었다. 식사를 하는 중간에 두 사람이 운자를 뽑아 시를 지었다. 두보가 뽑은 것이 ‘한(寒)’ 자였다.
주006)
대숩 소개 : 대숩[竹林]#속[裏]+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대숲 속에. 대나무 숲 속에.
주007)
녀왓 : 녀[行]-+-어(연결 어미)#오[來]-+-아(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가서 와 있는. 나가 와 있는. 나 있는.
주008)
브븨셔 : 브[廚(주)]+의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부엌에서. ‘의셔’는 처격 조사 ‘의’ 뒤에 ‘시다’의 활용형인 ‘셔’가 온 구성이다. 다시 처격 조사로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09)
옥반(玉盤) : 옥반(玉盤)+(대격 조사). 밥상을.
주010)
싯니 : 싯[洗]-+-(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씻으니. 씻고.
주011)
곳  : 곳[花]#[邊]+(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꽃 가에.
주012)
 셰니 : [馬]+(대격 조사)#셔[立]-+-이(사동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말을 세우니.
주013)
금(金) 기르매 : 금(金)#기르마[鞍]+이(주격 조사). 금 안장이. 금기르마가. 기르마는 길마의 옛말이다.
주014)
모댓도다 : 몯[簇, 集]-+-아(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모아 있도다. 모여 있도다.
주015)
사자(使者)ㅣ : 사자(使者)+ㅣ(주격 조사). 사군(使君)이. 사신(使臣)이. 여기서 사신은 엄무(嚴武)를 가리킨다.
주016)
블러 : 부르[呼]-+-어(연결 어미). 불러.
주017)
어두믈 : 얻[求]-+-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얻음을.
주018)
리 : 르[急]-+-이(부사 파생 접미사). 빨리. 빠르게.
주019)
호매 : [爲]-+-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함에. 하기 때문에.
주020)
관계(關係)티 아니니 : 관계(關係)+-(동사 파생 접미사)-+-디(연결 어미)#아니[不]+-(동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관계하지 않으니. 괘념치 않으니. 다른 것을 괘념치 않으니.
주021)
장군(將軍)의 : 장군(將軍)+의(관형격 조사). 장군의. 여기서 장군은 엄무를 말한다.
주022)
예수(禮數)ㅣ : 예수(禮數)+ㅣ(주격 조사). 사람 대접이. ‘예수’는 사람의 명예(名譽)와 지위(地位)에 상당한 예의(禮儀) 또는 신분과 계급에 따라 예우(禮遇)를 달리하는 것을 말한다.
주023)
어위요 : 어위[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넓고 큼을. 관대함을.
주024)
내 아노라 : 나[我]+이(주격 조사)#알[知]-+-노라(감탄 어미). 내 아노라. 내가 아노라. 내가 알도다. ‘자식(自識)’에 대한 언해다.
주025)
백년(百年)에 : 백년(百年)+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백년에. 백 년 동안. 오랫동안.
주026)
히 : ㅎ[地]+이(주격 조사). 땅이.
주027)
유벽(幽僻)니 : 유벽(幽僻)+-(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한적하고 외지니.
주028)
시문(柴門)이 : 시문(柴門)+이(주격 조사). 사립문이.
주029)
아라고 : 아라[迥(형)]+-(형용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아스라하고. 멀고.
주030)
오월(五月)에 : 오월(五月)+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오월에. 여기서 5월은 음력 5월이다. 한여름에 해당한다.
주031)
미 기프니 : [江]+이(주격 조사)#깊[深]-+-으니(연결 어미). 강이 깊으니.
주032)
초각(草閣)이 : 초각(草閣)+이(주격 조사). 지붕을 풀로 이은 집이.
주033)
서늘도다 : 서늘[寒]+-(형용사 파생 접미사)-+-도다(감탄 어미). 서늘하도다.
주034)
고기잡  : 고기[魚]#잡[擭, 漁]-+-(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舟]. 고기 잡는 배.
주035)
놀요 : 놀[戱, 弄]-+-이(사동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놀림을. 놀리는 것을. 희롱하는 것을.
주036)
보노라 야 : 보[見, 看]-+-(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爲]-+-야(연결 어미). 보느라 하여. 보느라고.
주037)
백일(白日)이 : 백일(白日)+이(주격 조사). 쨍쨍한 해가. 하루해가.
주038)
올마 기(가)록 : 옮[移]-+-아(연결 어미)#가[去]-+-록(연결 어미). 옮아가도록. 옮겨가도록. ‘기록’은 ‘가록’의 잘못이다.
주039)
시란만 : [爲]-+-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란만(연결 어미). 하실망정.
주040)
늘근 : 늙[老]-+-은(관형사형 어미). 늙은.
주041)
녀름짓 노 : 녀름[農事]#짓[作, 耕]-+-(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놈[者]+(보조사). 농사짓는 놈은.
주042)
므슷 거시 이셔 : 므슷[何]#것(의존 명사)+이(주격 조사)#이시[有]-+-어(연결 어미). 무슨 것이 있어. 무엇이 있어.
주043)
서르 즐교 : 서르[相, 交]#즐기[懽(환)]-+-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서로 즐기는 것을.
주044)
다리오 : 다[磬(경)]+-(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다하리오. 다할 것인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