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수기(酬寄)
  • 위소주가 보내온 시에 답하다[酬韋韶州見寄]
메뉴닫기 메뉴열기

위소주가 보내온 시에 답하다[酬韋韶州見寄]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15ㄴ

韋韶州 주001)
위소주(韋韶州)
위소주(韋韶州)는 위초(韋迢)를 말한다. 위초가 소주(韶州)의 자사(刺史)로 부임해 가고 있어, 그를 위소주(韋韶州)라고 부른 것이다.
見寄
주002)
수위소주견기(酬韋韶州見寄)
위소주가 보내 온 시에 답하다. 이 시는 대력(大曆) 4년(769)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위초(韋迢)는 소주(韶州)로 부임하는 도중에, 배를 상담(湘潭)에 대고, 담주(潭州, 지금의 장사시(長沙市))에 머물러 있는 두보에게 시를 써서 보냈다. 두보는 이 시를 써서 위초에게 답을 한 것이다.

수위소주견기
(위소주가 보내온 시에 답하다)

養拙江湖外 朝廷記憶#疏

江湖ㅅ 주003)
강호(江湖)ㅅ
강호(江湖)+ㅅ(관형격 조사). 강호의. 강과 호수의.
밧·긔 ·와 주004)
밧긔 와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오[來]+아(연결 어미). 밖에 와. 밖에 와서.
踈拙 주005)
소졸(踈拙)
소졸(踈拙)+-(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엉성하고 보잘것없는. 보잘것없는.
·모 주006)
모
몸[體]+(대격 조사). 몸을.
養·노·니 주007)
양(養)노니
양(養)+-(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양하니. 돌보니. 조섭하니.
朝廷·에셔 주008)
조정(朝廷)에셔
조정(朝廷)+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조정에서.
記錄·야 주009)
기록(記錄)야
기록(記錄)+-(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기록하여. 기록하면서.
·리 주010)
리
사[憶]+-(동사 파생 접미사)-+-ㄹ(미래 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생각할 사람이.
·드·므도·다 주011)
드므도다
드믈[踈, 稀]-+-도다(감탄 어미). 드물도다.

【한자음】 양졸강호외 조정기억소
【언해역】 강호(江湖)의 바깥에 와서 보잘것없는 몸을 돌보고 있으니, 조정(朝廷)에서 기록하여 생각하는 사람이 드물도다.

深慙長者轍 重得故人書【上句 言無人이 見過也ㅣ라】

長者· 주012)
장자(長者)
장자(長者)+(관형격 조사). 장자의. 장자(長子)는 덕망이 뛰어나고 경험이 많아 세상일에 익숙한 어른을 가리킨다. 경륜이 많은 어른의.
술·윗 자·최 주013)
술윗 자최
술위[車]+ㅅ(관형격 조사)#자최[迹]+(대격 조사). 수레의 자취를. 철(轍)을.
기·피 주014)
기피
깊[深]-+-이(부사 파생 접미사). 깊이.
붓·그리다·니 주015)
붓그리다니
붓그리[慙]-+-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부끄러워하였는데.
다·시 故人·의 주016)
고인(故人)의
고인(故人)+의(관형격 조사). 오랜 친구의.
書信·을 :어두·라 주017)
어두라
얻[得]-+-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얻도다. 얻는구나.

【한자음】 심참장자철 중득고인서【앞 구절은 아무도 찾아오지 않음을 말한다.】
【언해역】 경륜이 많은 어른의 수레 자취를 깊이 부끄러워하였는데, 다시 오랜 친구의 서신을 얻는구나.

白髮絲難理 新詩錦不如【上句 ㅣ 自謂오 下句 美詩다】

:셴 머·리 주018)
셴 머리
셰[白]+ㄴ(관형사형 어미)#머리[髮絲]+(보조사). 센 머리는.
:시 다·료·미 주019)
시 다료미
시(詩)+(대격 조사)#다리[理]-+-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시를 다스림이. 시를 지음이.
어·려운 ··니 주020)
어려운 니
어렵[難]-+-은(관형사형 어미)#[如]+-(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어려운 듯하니. 어려운 듯한데.
·새 ·그른 주021)
새 그른
새[新]#글[文, 詩]+은(보조사). 새 글은. 새로운 시는. 새로 보내온 시는.
錦繡·도 주022)
금수(錦繡)도
금수(錦繡)+도(보조사). 수 놓은 비단도.
·디 주023)
디
[如]-+-디(연결 어미). 같지.
:몯·리로·다 주024)
몯리로다
몯[不]+-(형용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도다(감탄 어미). 못하리로다. 못할 것이로다.

【한자음】 백발사난리 신시금부여【앞 구절은 두보가 자기를 이른 것이고, 뒷 구절은 위초의 시를 칭찬한 것이다.】
【언해역】 센 머리는 시를 다스림이 어려운 듯한데, 새로운 시는 수놓은 비단도 같지 못할 것이로다.

雖無南過鴈 看取北來魚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비·록 南·으로 :디나·갈 주025)
디나갈
디나[過]-+-아(연결 어미)#가[去]-+-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지나갈.
그려·기 :업스·나 주026)
그려기 업스나
그려기[鴈]#없[無]-+-으나(연결 어미). 기러기 없으나.
北·으로 올 고·기 주027)
고기
고기[魚]+(대격 조사). 고기를.
:보리·라
주028)
북(北)으로 올 고기 보리라
이 구절의 출전은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이라는 고악부(古樂府)이다. “손이 원방으로부터 와, 쌍잉어를 나에게 주었다. 아이를 불러 잉어를 끓이게 하였는데, 뱃속에서 길이가 한 척이나 되는 흰 책이 나왔다.”고 한다. 이는 두보가 위초(韋迢)의 시가 남에서 오리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한성무 외(1997:1196) 참조〉.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수무남과안 간취북래어
【언해역】 비록 남으로 지나갈 기러기 없으나, 북으로 올 고기를 보리라.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위소주(韋韶州) : 위소주(韋韶州)는 위초(韋迢)를 말한다. 위초가 소주(韶州)의 자사(刺史)로 부임해 가고 있어, 그를 위소주(韋韶州)라고 부른 것이다.
주002)
수위소주견기(酬韋韶州見寄) : 위소주가 보내 온 시에 답하다. 이 시는 대력(大曆) 4년(769)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위초(韋迢)는 소주(韶州)로 부임하는 도중에, 배를 상담(湘潭)에 대고, 담주(潭州, 지금의 장사시(長沙市))에 머물러 있는 두보에게 시를 써서 보냈다. 두보는 이 시를 써서 위초에게 답을 한 것이다.
주003)
강호(江湖)ㅅ : 강호(江湖)+ㅅ(관형격 조사). 강호의. 강과 호수의.
주004)
밧긔 와 : [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오[來]+아(연결 어미). 밖에 와. 밖에 와서.
주005)
소졸(踈拙) : 소졸(踈拙)+-(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엉성하고 보잘것없는. 보잘것없는.
주006)
모 : 몸[體]+(대격 조사). 몸을.
주007)
양(養)노니 : 양(養)+-(동사 파생 접미사)-+-(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양하니. 돌보니. 조섭하니.
주008)
조정(朝廷)에셔 : 조정(朝廷)+에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조정에서.
주009)
기록(記錄)야 : 기록(記錄)+-(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기록하여. 기록하면서.
주010)
리 : 사[憶]+-(동사 파생 접미사)-+-ㄹ(미래 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생각할 사람이.
주011)
드므도다 : 드믈[踈, 稀]-+-도다(감탄 어미). 드물도다.
주012)
장자(長者) : 장자(長者)+(관형격 조사). 장자의. 장자(長子)는 덕망이 뛰어나고 경험이 많아 세상일에 익숙한 어른을 가리킨다. 경륜이 많은 어른의.
주013)
술윗 자최 : 술위[車]+ㅅ(관형격 조사)#자최[迹]+(대격 조사). 수레의 자취를. 철(轍)을.
주014)
기피 : 깊[深]-+-이(부사 파생 접미사). 깊이.
주015)
붓그리다니 : 붓그리[慙]-+-더(회상 시제 선어말 어미/단절의 인식 양태 선어말 어미)-+-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부끄러워하였는데.
주016)
고인(故人)의 : 고인(故人)+의(관형격 조사). 오랜 친구의.
주017)
어두라 : 얻[得]-+-우(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얻도다. 얻는구나.
주018)
셴 머리 : 셰[白]+ㄴ(관형사형 어미)#머리[髮絲]+(보조사). 센 머리는.
주019)
시 다료미 : 시(詩)+(대격 조사)#다리[理]-+-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시를 다스림이. 시를 지음이.
주020)
어려운 니 : 어렵[難]-+-은(관형사형 어미)#[如]+-(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어려운 듯하니. 어려운 듯한데.
주021)
새 그른 : 새[新]#글[文, 詩]+은(보조사). 새 글은. 새로운 시는. 새로 보내온 시는.
주022)
금수(錦繡)도 : 금수(錦繡)+도(보조사). 수 놓은 비단도.
주023)
디 : [如]-+-디(연결 어미). 같지.
주024)
몯리로다 : 몯[不]+-(형용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도다(감탄 어미). 못하리로다. 못할 것이로다.
주025)
디나갈 : 디나[過]-+-아(연결 어미)#가[去]-+-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지나갈.
주026)
그려기 업스나 : 그려기[鴈]#없[無]-+-으나(연결 어미). 기러기 없으나.
주027)
고기 : 고기[魚]+(대격 조사). 고기를.
주028)
북(北)으로 올 고기 보리라 : 이 구절의 출전은 〈음마장성굴행(飮馬長城窟行)〉이라는 고악부(古樂府)이다. “손이 원방으로부터 와, 쌍잉어를 나에게 주었다. 아이를 불러 잉어를 끓이게 하였는데, 뱃속에서 길이가 한 척이나 되는 흰 책이 나왔다.”고 한다. 이는 두보가 위초(韋迢)의 시가 남에서 오리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한성무 외(1997:1196)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