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수기(酬寄)
  • 상담을 일찍 출발하여 두보에게 보내다[早發湘潭寄杜員外院長] 【위초】
메뉴닫기 메뉴열기

상담을 일찍 출발하여 두보에게 보내다[早發湘潭寄杜員外院長] 【위초】


早發湘潭 주001)
상담(湘潭)
호남성(湖南省) 북동부의 상강(湘江) 하류의 도시. 16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당나라 때부터 ‘상담’이라 불렀다. 여기서 상담은 상담현(湘潭縣)을 가리킨다.
寄杜員外 주002)
원외(員外)
본래 정원(定員) 외의 관원(官員)을 말한다. 혹은 관리를 지낸 사람을 가리킨다. 후세에 돈으로 살 수도 있었기 때문에 부호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院長 주003)
원장(院長)
당나라 때에는 어사(御史)와 습유(拾遗)에 대한 별칭으로 쓰였다. 두보가 습유의 벼슬을 하였기 때문에, 두보에 대하여 ‘원장(院長)’이란 칭호를 쓴 것이다.
주004)
조발상담기두원외원장(早發湘潭寄杜員外院長)
상담을 일찍 출발하여 두원외원장에게 보내다. 여기서 두원외원장은 두보를 가리킨다. 원외는 관리를 지낸 사람을 가리키는데, 그를 ‘원장(院長)’이라 부른 것이다. 위초는 대력(大曆) 4년(769) 가을 소주(韶州) 자사로 부임해 가는 도중에, 배를 상담(湘潭)에 대고, 담주(潭州, 지금의 장사시(長沙市))에 머물러 있는 두보에게 이 시를 써서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韋迢 주005)
위초(韋迢)
당나라 때 장안 사람으로, 도관랑(都官郞)을 하였다. 영남절도행군사마(嶺南節度行軍司馬)를 하였고, 같은 주의 자사를 역임하였다. 두보와 가까웠다.

조발상담기두원외원장
(상담을 일찍 출발하여 두보에게 보내다)
【위초의 시】

北風昨夜雨 江上早來凉

北風·에 어·젯 바· 주006)
어젯 바
어제[昨日]+ㅅ(관형격 조사)#밤[夜.]+(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어젯 밤에.
·비 오·니 · 우·희 주007)
 우희
[江]#우ㅎ[上]+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 위에.
·일 주008)
일찍[早].
·서·호미 주009)
서호미
서[凉]+-(형용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서늘함이.
·오놋·다 주010)
오놋다
오[來]-+-놋다(감탄 어미). 오는구나. 오도다. 오는도다.

【한자음】 북풍작야우 강상조래량
【언해역】 북풍에 어젯밤에 비 오니, 강 위에 일찍 서늘함이 오는도다.

楚岫千峯翠 湘潭一葉黃【湘潭縣이 屬潭州다】

楚ㅅ 주011)
초(楚)ㅅ
초(楚)+ㅅ(관형격 조사). 초(楚) 지방의. 초(楚)는 중국 춘추 오패(春鞦五覇) 가운데 양자강(陽子江) 중류 지역을 차지한 나라. 뒤에 전국 칠웅의 하나가 되었으나 기원전 223년에 진(秦)에 망하였다.
:묏:부리· 주012)
묏부리
뫼[山]+ㅅ(관형격 조사)#부리[岫]+(보조사). 산부리는. 산꼭대기는. 산봉우리는.
·즈믄 峯·이 주013)
즈믄 봉(峯)이
즈믄[千]#봉(峯)+이(주격 조사). 천의 봉우리가.
프·르고 주014)
프르고
프르[翠]-+-고(연결 어미). 푸르고.
湘潭·앤 주015)
상담(湘潭)앤
상담(湘潭)+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상담에는. 상담은 호남성(湖南省) 북동부 상강(湘江) 하류의 도시 또는 현이다.
 ·니피 주016)
 니피
[一]#닢[葉]+이(주격 조사). 한 잎이.
누·르·렛도·다 주017)
누르렛도다
누를[黃]-+-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누르러 있도다. 누레져 있도다.

【한자음】 초수천봉취 상담일엽황【상담현이 담주에 속해 있다.】
【언해역】 초(楚)의 산부리는 천 개의 봉우리가 푸르고 상담(湘潭)에는 잎 하나가 누레져 있도다.

故人湖外少 白首尙爲郞

故人·이 주018)
고인(故人)이
고인(故人)+이(주격 조사). 오래 전부터 사귄 친구가. 오랜 친구가.
· 밧·긔 주019)
 밧긔
[江]#[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 밖에.
:져그·니 주020)
져그니
젹[少]-+-으니(연결 어미). 적으니.
:셴 주021)
셰[白]-+-ㄴ(관형사형 어미). 센.
머·리예 주022)
머리예
머리[頭髮, 首]+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머리에. 머리카락에.
·오히·려 郞·이 주023)
낭(郞)이
낭(郞)+이(주격 조사). 낭이. 젊은이가. 나이 어린 사람이.
외·옛도·다 주024)
외옛도다
외[爲]-+-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되어 있도다.

【한자음】 고인호외소 백수상위랑
【언해역】 오랜 친구가 강 밖에 적으니, 센 머리에 오히려 나이 어린 사람이 되어 있도다.

相憶無南鴈 何時有報章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서르 ·호매 주025)
서르 호매
서르[相]#[思, 憶]+-(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서로 생각함에.
南·으로 올 그려·기 :업스·니 주026)
그려기 업스니
그려기[鴈]#없[無]-+-으니(연결 어미). 기러기 없으니.
어·느 저·긔 주027)
어느 저긔
어느[何]#적[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어느 때에. 언제.
알·욀 주028)
알욀
알외[報]-+-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아뢸. 알릴. 보낼.
·글워·리 주029)
글워리
글[文, 章]+월[←발]+이(주격 조사). 글월이. 글이나 문장이.
이실·고 주030)
이실고
이시[有]-+-ㄹ고(의문 어미). 있을까. 있을 것인가.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상억무남안 하시유보장
【언해역】 서로 생각함에 남으로 올 기러기 없으니, 언제 아뢸 글월이 있을 것인가?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상담(湘潭) : 호남성(湖南省) 북동부의 상강(湘江) 하류의 도시. 16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당나라 때부터 ‘상담’이라 불렀다. 여기서 상담은 상담현(湘潭縣)을 가리킨다.
주002)
원외(員外) : 본래 정원(定員) 외의 관원(官員)을 말한다. 혹은 관리를 지낸 사람을 가리킨다. 후세에 돈으로 살 수도 있었기 때문에 부호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주003)
원장(院長) : 당나라 때에는 어사(御史)와 습유(拾遗)에 대한 별칭으로 쓰였다. 두보가 습유의 벼슬을 하였기 때문에, 두보에 대하여 ‘원장(院長)’이란 칭호를 쓴 것이다.
주004)
조발상담기두원외원장(早發湘潭寄杜員外院長) : 상담을 일찍 출발하여 두원외원장에게 보내다. 여기서 두원외원장은 두보를 가리킨다. 원외는 관리를 지낸 사람을 가리키는데, 그를 ‘원장(院長)’이라 부른 것이다. 위초는 대력(大曆) 4년(769) 가을 소주(韶州) 자사로 부임해 가는 도중에, 배를 상담(湘潭)에 대고, 담주(潭州, 지금의 장사시(長沙市))에 머물러 있는 두보에게 이 시를 써서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005)
위초(韋迢) : 당나라 때 장안 사람으로, 도관랑(都官郞)을 하였다. 영남절도행군사마(嶺南節度行軍司馬)를 하였고, 같은 주의 자사를 역임하였다. 두보와 가까웠다.
주006)
어젯 바 : 어제[昨日]+ㅅ(관형격 조사)#밤[夜.]+(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어젯 밤에.
주007)
 우희 : [江]#우ㅎ[上]+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 위에.
주008)
일 : 일찍[早].
주009)
서호미 : 서[凉]+-(형용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서늘함이.
주010)
오놋다 : 오[來]-+-놋다(감탄 어미). 오는구나. 오도다. 오는도다.
주011)
초(楚)ㅅ : 초(楚)+ㅅ(관형격 조사). 초(楚) 지방의. 초(楚)는 중국 춘추 오패(春鞦五覇) 가운데 양자강(陽子江) 중류 지역을 차지한 나라. 뒤에 전국 칠웅의 하나가 되었으나 기원전 223년에 진(秦)에 망하였다.
주012)
묏부리 : 뫼[山]+ㅅ(관형격 조사)#부리[岫]+(보조사). 산부리는. 산꼭대기는. 산봉우리는.
주013)
즈믄 봉(峯)이 : 즈믄[千]#봉(峯)+이(주격 조사). 천의 봉우리가.
주014)
프르고 : 프르[翠]-+-고(연결 어미). 푸르고.
주015)
상담(湘潭)앤 : 상담(湘潭)+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상담에는. 상담은 호남성(湖南省) 북동부 상강(湘江) 하류의 도시 또는 현이다.
주016)
 니피 : [一]#닢[葉]+이(주격 조사). 한 잎이.
주017)
누르렛도다 : 누를[黃]-+-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누르러 있도다. 누레져 있도다.
주018)
고인(故人)이 : 고인(故人)+이(주격 조사). 오래 전부터 사귄 친구가. 오랜 친구가.
주019)
 밧긔 : [江]#[外]+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 밖에.
주020)
져그니 : 젹[少]-+-으니(연결 어미). 적으니.
주021)
셴 : 셰[白]-+-ㄴ(관형사형 어미). 센.
주022)
머리예 : 머리[頭髮, 首]+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머리에. 머리카락에.
주023)
낭(郞)이 : 낭(郞)+이(주격 조사). 낭이. 젊은이가. 나이 어린 사람이.
주024)
외옛도다 : 외[爲]-+-어(연결 어미)#잇[有]-+-도다(감탄 어미). 되어 있도다.
주025)
서르 호매 : 서르[相]#[思, 憶]+-(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서로 생각함에.
주026)
그려기 업스니 : 그려기[鴈]#없[無]-+-으니(연결 어미). 기러기 없으니.
주027)
어느 저긔 : 어느[何]#적[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어느 때에. 언제.
주028)
알욀 : 알외[報]-+-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아뢸. 알릴. 보낼.
주029)
글워리 : 글[文, 章]+월[←발]+이(주격 조사). 글월이. 글이나 문장이.
주030)
이실고 : 이시[有]-+-ㄹ고(의문 어미). 있을까. 있을 것인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