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방문(訪問)
  • 서구소윤이 찾아오다)[徐九少尹見過]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구소윤이 찾아오다)[徐九少尹見過]


徐九少尹 주001)
소윤(少尹)
관직명. 부윤(府尹) 아래에 두어 부윤을 보좌하게 한 직책. 북송(北宋) 때는 경사(京師)인 개봉(開封)에 부윤을 두어 제반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는데, 그 지위는 상서(尙書)보다는 아래이고 시랑(侍郞)보다는 높았다. 그 아래에는 두 명의 소윤(少尹)이 있었으나, 항상 소윤을 둔 것은 아니다.
주002)
서구소윤(徐九少尹)
성은 서(徐)이고, 관직은 구소윤(九少尹)이었던 사람. 이름은 밝혀져 있지 않다.
見過
주003)
서구소윤견과(徐九少尹見過)
서구소윤이 찾아와 만나다. 서구소윤을 만나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 겨울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성도(成都)의 초당에 있었다. 성도 소윤(少尹) 서(徐) 모라는 사람이 선물을 가지고 방문하여 절을 하였다. 두보는 이 시를 써서 그에 대한 감사를 표시한 것이다.

서구소윤견과
(서구소윤이 찾아오다)

晩景孤村僻 行軍數騎來【唐이 以少尹로 爲行軍 주004)
행군(行軍)
군을 움직이는 지휘관.
長史 주005)
장사(長史)
진(秦)나라 때부터 있던 벼슬. 한(漢)나라 때는 상국(相國)이나 승상(丞相), 태위(太尉) 등의 저택 겸 집무실에 모두 ‘장사’를 두어 업무를 보조하게 하였다. 당나라 때 ‘장사’는 비교적 비중이 높은 주의 자사(刺史) 아래에 속하였는데, 종오품에 해당하는 벼슬로서 ‘별가(別駕)’라고도 불렸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다.
ㅣ라】

나죗 주006)
나죗
나죄[夕]+ㅅ(관형격 조사). 저녁의.
·비·체 주007)
비체
[日]+ㅅ(관형격 조사)#빛[光]+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햇빛에.
·외로왼 주008)
외로왼
외로외[孤]-+-ㄴ(관형사형 어미). 외로운. ‘외외-’로도 나타난다. ¶울어 외로왼 城을 바라 니니  눌와 다 디내니오(울며 외로운 성(城)을 따라다니니, 세월을 누구와 함께 지낼 것인가?)〈두시 21: 38ㄴ〉.
·히 주009)
히
ㅎ[村]+이(주격 조사). 마을이.
幽僻·니 주010)
유벽(幽僻)니
유벽(幽僻)+-(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한적하고 외지니.
行軍 :두 주011)
행군(行軍) 두
행군(行軍) #두[二, 三]. 군 지휘관 두셋.
 ·니 주012)
 니
[馬]]#[乘, 騎]-+-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말 탄 이.
·오놋·다 주013)
오놋다
오[來]-+-놋다(감탄 어미). 오는도다. 오도다. 오는구나.

【한자음】 만경고촌벽 행군수기래【당이 소윤(少尹)으로 하여금 군대를 지휘하는 장사를 삼았다.】
【언해역】 저녁 햇빛에 외로운 마을이 한적하고 외지니, 지휘관 두셋 말 탄 이가 오도다.

交新徒有喜 禮厚媿無才

·새 사·괴요·매 주014)
새 사괴요매
새[新]#사괴[交]-+-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새 사귐에. 새로운 사귐에.
갓 깃·부미 주015)
갓 깃부미
갓[徒]#깃[喜]-+-브(형용사 파생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오직 기쁨이.
이실 :·니로·다 주016)
이실 니로다
이시[有]-+-ㄹ(미래 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있을 뿐이로다.
·날 더·브러 주017)
날 더브러
나[我]+ㄹ(대격 조사)#더불어[與]. 날 더불어. 나에게.
禮數ㅣ 주018)
예수(禮數)ㅣ
예수(禮數)+이(주격 조사). 예의와 대우가. 예절이.
둗거·우니 주019)
둗거우니
둗겁[厚]-+-으나(연결 어미). 두꺼우니. 후하니.
·조 :업수·믈 주020)
조 업수믈
조[才]#없[無]-+-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재주 없음을.
붓그·리노·라 주021)
붓그리노라
붓그리[媿]-+-노라(감탄 어미). 부끄러워하노라.

【한자음】 교신도유희 례후괴무재
【언해역】 새로운 사귐에 오직 기쁨이 있을 뿐이로다. 나에게 예의와 대우가 후하니 재주 없음을 부끄러워하노라.

賞靜憐雲竹 忘歸步月臺

寂靜·호 주022)
적정(寂靜)호
적정(寂靜)+-(형용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적막하고 고요함을.
賞玩·야 주023)
상완(賞玩)야
상완(賞玩)+-(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좋아하고 즐겨.
구루·멧 ·대 주024)
구루멧 대
구룸[雲]+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대(臺)+(대격 조사). 구름에의 대나무를. 구름의 대나무를. 높은 곳의 대나무를.
憐愛·고 주025)
연애(憐愛)고
연애(憐愛)+-(동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불쌍하게 생각하여 사랑하고. 불쌍하게 생각하여. 가련하게 생각하여.
도·라:가 주026)
도라가
돌[回]-+-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돌아감을. 돌아가는 것을. 귀(歸).
니·저 주027)
니저
닞[忘]-+-어(연결 어미). 잊어. 잊고.
: 비·췬 주028)
 비췬
[月]#비취[照]-+-ㄴ(관형사형 어미). 달 비친.
臺·예셔 주029)
대(臺)예셔
대(臺)+예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대(臺)에서. 대(臺)는 높고 평평한 곳을 가리킨다. ‘예셔’는 원래 처격 조사가 보조사 ‘셔’를 가진 구성이다.
·건·니놋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9ㄴ

:다
주030)
건니놋다
걷[步]-+니[行]-+-놋다(감탄 어미). 거닐도다.

【한자음】 상정련운죽 망귀보월대
【언해역】 적막하고 고요함을 보고 즐겨 높은 곳의 대나무를 가련하게 생각하여 돌아감을 잊고, 달 비친 대(臺)에서 거닐도다.

何當看花蘂 欲發照江梅【欲徐少尹으로 復來賞梅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어·느 저·긔 주031)
어느 저긔
어느[何]#적[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언제.
곳:부리· 주032)
곳부리
곶[花]#부리[冠, 蘂]+(대격 조사). 꽃부리를. 꽃부리는 꽃잎 전체를 이른다. 꽃받침과 함께 꽃술을 보호한다.
·와 ·보실·고 주033)
와 보실고
오[來]-+-아(연결 어미)#보[見, 看]-+-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ㄹ고(의문 어미). 와 보실까. 의문 어미 ‘-ㄹ고’는 ‘-ㄹ(미래 관형사형 어미)-+-고(보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매 주034)
매
[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에.
·비·취·옛 주035)
비취옛
비취[照]-+-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비취어 있는. 비치고 있는.
梅花·ㅣ 주036)
매화(梅花)ㅣ
매화(梅花)+이(주격 조사). 매화가. 매화꽃이.
·프고·져 주037)
프고져
프[開, 發]-+-고져(연결 어미). 피고자.
··다 주038)
다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한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하당간화예 욕발조강매【서소윤으로 하여금 다시 와서 매화를 감상하기를 바라는 것이다.】
【언해역】 언제 꽃부리를 와 보실까, 강에 비쳐 있는 매화가 피려고 한다.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윤(少尹) : 관직명. 부윤(府尹) 아래에 두어 부윤을 보좌하게 한 직책. 북송(北宋) 때는 경사(京師)인 개봉(開封)에 부윤을 두어 제반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는데, 그 지위는 상서(尙書)보다는 아래이고 시랑(侍郞)보다는 높았다. 그 아래에는 두 명의 소윤(少尹)이 있었으나, 항상 소윤을 둔 것은 아니다.
주002)
서구소윤(徐九少尹) : 성은 서(徐)이고, 관직은 구소윤(九少尹)이었던 사람. 이름은 밝혀져 있지 않다.
주003)
서구소윤견과(徐九少尹見過) : 서구소윤이 찾아와 만나다. 서구소윤을 만나다. 이 시는 상원(上元) 2년(761) 겨울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성도(成都)의 초당에 있었다. 성도 소윤(少尹) 서(徐) 모라는 사람이 선물을 가지고 방문하여 절을 하였다. 두보는 이 시를 써서 그에 대한 감사를 표시한 것이다.
주004)
행군(行軍) : 군을 움직이는 지휘관.
주005)
장사(長史) : 진(秦)나라 때부터 있던 벼슬. 한(漢)나라 때는 상국(相國)이나 승상(丞相), 태위(太尉) 등의 저택 겸 집무실에 모두 ‘장사’를 두어 업무를 보조하게 하였다. 당나라 때 ‘장사’는 비교적 비중이 높은 주의 자사(刺史) 아래에 속하였는데, 종오품에 해당하는 벼슬로서 ‘별가(別駕)’라고도 불렸으나 실질적인 권한은 없었다.
주006)
나죗 : 나죄[夕]+ㅅ(관형격 조사). 저녁의.
주007)
비체 : [日]+ㅅ(관형격 조사)#빛[光]+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햇빛에.
주008)
외로왼 : 외로외[孤]-+-ㄴ(관형사형 어미). 외로운. ‘외외-’로도 나타난다. ¶울어 외로왼 城을 바라 니니  눌와 다 디내니오(울며 외로운 성(城)을 따라다니니, 세월을 누구와 함께 지낼 것인가?)〈두시 21: 38ㄴ〉.
주009)
히 : ㅎ[村]+이(주격 조사). 마을이.
주010)
유벽(幽僻)니 : 유벽(幽僻)+-(형용사 파생 접미사)-+-니(연결 어미). 한적하고 외지니.
주011)
행군(行軍) 두 : 행군(行軍) #두[二, 三]. 군 지휘관 두셋.
주012)
 니 : [馬]]#[乘, 騎]-+-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말 탄 이.
주013)
오놋다 : 오[來]-+-놋다(감탄 어미). 오는도다. 오도다. 오는구나.
주014)
새 사괴요매 : 새[新]#사괴[交]-+-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새 사귐에. 새로운 사귐에.
주015)
갓 깃부미 : 갓[徒]#깃[喜]-+-브(형용사 파생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오직 기쁨이.
주016)
이실 니로다 : 이시[有]-+-ㄹ(미래 관형사형 어미)#(의존 명사)#이(지정 형용사)-+-로다(감탄 어미). 있을 뿐이로다.
주017)
날 더브러 : 나[我]+ㄹ(대격 조사)#더불어[與]. 날 더불어. 나에게.
주018)
예수(禮數)ㅣ : 예수(禮數)+이(주격 조사). 예의와 대우가. 예절이.
주019)
둗거우니 : 둗겁[厚]-+-으나(연결 어미). 두꺼우니. 후하니.
주020)
조 업수믈 : 조[才]#없[無]-+-움(명사형 어미)+을(대격 조사). 재주 없음을.
주021)
붓그리노라 : 붓그리[媿]-+-노라(감탄 어미). 부끄러워하노라.
주022)
적정(寂靜)호 : 적정(寂靜)+-(형용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적막하고 고요함을.
주023)
상완(賞玩)야 : 상완(賞玩)+-(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좋아하고 즐겨.
주024)
구루멧 대 : 구룸[雲]+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대(臺)+(대격 조사). 구름에의 대나무를. 구름의 대나무를. 높은 곳의 대나무를.
주025)
연애(憐愛)고 : 연애(憐愛)+-(동사 파생 접미사)-+-고(연결 어미). 불쌍하게 생각하여 사랑하고. 불쌍하게 생각하여. 가련하게 생각하여.
주026)
도라가 : 돌[回]-+-아(연결 어미)#가[去]-+-아(연결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돌아감을. 돌아가는 것을. 귀(歸).
주027)
니저 : 닞[忘]-+-어(연결 어미). 잊어. 잊고.
주028)
 비췬 : [月]#비취[照]-+-ㄴ(관형사형 어미). 달 비친.
주029)
대(臺)예셔 : 대(臺)+예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대(臺)에서. 대(臺)는 높고 평평한 곳을 가리킨다. ‘예셔’는 원래 처격 조사가 보조사 ‘셔’를 가진 구성이다.
주030)
건니놋다 : 걷[步]-+니[行]-+-놋다(감탄 어미). 거닐도다.
주031)
어느 저긔 : 어느[何]#적[時]+의(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언제.
주032)
곳부리 : 곶[花]#부리[冠, 蘂]+(대격 조사). 꽃부리를. 꽃부리는 꽃잎 전체를 이른다. 꽃받침과 함께 꽃술을 보호한다.
주033)
와 보실고 : 오[來]-+-아(연결 어미)#보[見, 看]-+-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ㄹ고(의문 어미). 와 보실까. 의문 어미 ‘-ㄹ고’는 ‘-ㄹ(미래 관형사형 어미)-+-고(보조사)’가 재구조화된 것이다.
주034)
매 : [江]+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강에.
주035)
비취옛 : 비취[照]-+-어(연결 어미)#잇[有]-+-(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비취어 있는. 비치고 있는.
주036)
매화(梅花)ㅣ : 매화(梅花)+이(주격 조사). 매화가. 매화꽃이.
주037)
프고져 : 프[開, 發]-+-고져(연결 어미). 피고자.
주038)
다 : [爲]-+-(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