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혜황(惠貺)
  • 낭중 위유하에게 보낸다[寄韋有夏郞中]
메뉴닫기 메뉴열기

낭중 위유하에게 보낸다[寄韋有夏郞中]


寄韋有夏郞中 주001)
낭중(郞中)
상서성(尙書省)의 관원으로, 시랑(侍郞) 아래의 고급 관원이다. 당시 두보는 검교(檢校)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을 하였다. 위유하(韋有夏)와 더불어 같이 상서성에 속한 관원이었다. 위유하가 두보에게, 주로 학질의 치료제가 되는 시호(柴胡)를 준 일이 있었는데, 두보는 이 시를 써서 그에 감사를 표하고 있다.
주002)
기위유하랑중(寄韋有夏郞中)
위유하(韋有夏) 낭중에게 보낸다. 이 시는 대력(大曆) 원년(766)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기주(夔州) 서각(西閣)에서 남의 집에 우거하고 있었다.

기위유하낭중

省郞憂病士 書信有柴胡【謂韋郞中이 憂甫之病야 送柴胡藥也 ㅣ라】

省郞·이 주003)
성랑(省郞)이
성랑(省郞)+이(주격 조사). 상서성(尙書省)의 낭중(郞中)이. 성(省) 사람이.
病 주004)
병(病)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병든.
士· 주005)
사(士)
사(士)+(대격 조사). 선비를. 관원(官員)을. 관리를.
시·름·야 주006)
시름야
시름[愁, 憂]+-(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시름하여. 걱정하여.
書信·에 주007)
서신(書信)에
서신(書信)+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서신에. 편지에.
柴胡藥 주008)
시호약(柴胡藥)
학질의 치료제가 되는 시호(柴胡)를 말한다. 시호는 중초약(中草葯)으로 학질에 효용이 있다고 한다.
·이 조·차 주009)
조차
좇[從]-+-아(연결 어미). 좇아. 따라. 함께.
잇도다 주010)
잇도다
잇[有]-+-도다(감탄 어미). 있도다. 있게 하였도다. 보냈다. ‘잇도다’에는 ‘-도-’에 거성이 예상되는 곳이나 찍히지 않고 있다.

【한자음】 성랑우병사 서신유시호위 낭중(郞中)이 두보의 병을 염려하여 시호(柴胡) 약을 보낸 것을 이른다.】
【언해역】 성(상서성) 사람이 병든 관리를 염려하여 편지에 시호약을 함께 보냈도다.

飮子頻通汗 懷君想報珠【言柴胡ㅣ 加煎爲飮子야 服之通汗也 ㅣ니라】

飮子ㅣ 주011)
음자(飮子)ㅣ
음자(飮子)+ㅣ(주격 조사). 마시는 것이. 복용하는 것이.
·조 주012)
조
자주[頻].
·미 주013)
미
[汗]+이(주격 조사). 땀이.
·차 주014)
차
[通]-+-아(연결 어미). 통하여.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기 때문에)〈훈언 1ㄴ〉.
·나·니 주015)
나니
나[發]-+--+-니(연결 어미). 나니.
그듸· 주016)
그듸
그듸[君]+(대격 조사). 그대를.
·야 주017)
야
[懷]+-(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생각하여.
구·슬로 갑고져 주018)
구슬로 갑고져
구슬[珠]+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갚[報]-+-고져(연결 어미). 구슬로 갚고자. 땀이 구슬처럼 나는 것과, 시가 아름다움의 결정인 것이 시를 구슬로 가리키는 비유를 성립시키고 있다.
·스·치노·라 주019)
스치노라
스치[想]-+-노라(감탄 어미). 생각하노라. 생각이 떠올랐노라.

【한자음】 음자빈통한 회군상보주시호(柴胡)가 넣고 다려 복용하는 것이 되니 복용하여 땀이 나게 하는 것이다.】
【언해역】 복용하는 것이 자주 땀이 통하여 나니, 그대를 생각하여 구슬로 갚고자 생각하노라.

親知天畔少 藥餌峽中無

親·히 :아논 주020)
아논
알[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아는.
:버디 주021)
버디
벋[友, 朋]+이(주격 조사). 벗이. 친구가.
하· : 주022)
하 
하[天]+ㅅ(관형격 조사)#[邊, 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하늘 가에. 황제 주변에.
:져그·니 주023)
져그니
젹[少]-+-으니(연결 어미). 적으니. 적은데.
藥餌· 주024)
약이(藥餌)
약이(藥餌)+(보조사). 약으로 먹는 음식은.
峽中·에 주025)
협중(峽中)에
협중(峽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두메에. 깊은 산골짜기에. 산골 사람들의 민속신앙은 약재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협중에 약재가 없는 것이다.
:업도·다 주026)
업도다
없[無]-+-도다(감탄 어미). 없도다.

【한자음】 친지천반소 약이협중무
【언해역】 친히 아는 벗이 황제 주변에 적은데, 약으로 먹는 음식은 깊은 산골짜기에 없도다.

歸楫生衣臥 春鷗洗翅呼ㅣ 未得歸니 楫이 生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21ㄴ

苔衣而臥야 不用也ㅣ라】

도·라갈 주027)
도라갈
돌[回]-+-아(연결 어미)#가[去]-+-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돌아갈. 귀(歸).
 주028)

[楫]+(보조사). 노는.
·오시 ·나 주029)
오시 나
옷[衣]+이(주격 조사)#나[生]-+-아(연결 어미). 옷이 나. 옷이 나서. 이끼가 끼어.
누·엣고 주030)
누엣고
눕[臥]-+-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누워 있고. 뒹굴고. ‘누엣고’는 ‘누웻고’로 쓰여야 할 것이나, 간략형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 ·며기· 주031)
 며기
봄[春]+ㅅ(관형격 조사)#며기[鷗.]+(보조사). 봄의 갈매기는.
·개· 주032)
개
개[翅]+(대격 조사). 날개를.
싯·고 주033)
싯고
싯[洗]-+-고(연결 어미). 씻고.
우르·놋다 주034)
우르놋다
우르[呼]-+-놋다(감탄 어미). 부르는구나. 소리치는구나.

【한자음】 귀즙생의와 춘구세시호두보가 돌아가는 것을 얻지 못하니, 노에 이끼옷이 끼어 뒹굴어서 쓰지 못하는 것이다.】
【언해역】 돌아갈 노[楫]는 이끼가 끼어 누워 있고, 봄의 갈매기는 날개를 씻고 부르는구나.

猶聞上急水 早作取平途

 ·믈로 주035)
 믈로
[急]-+-ㄴ(관형사형 어미)#믈[水]+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빠른 물로.
올·아:가 주036)
올아가
오[上]-+-아(연결 어미)#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올라감을.
·오:히·려 주037)
오히려
오히려. 도리어. 되려. ‘히’ 앞에 두 점이 있는 것과 같이 보이나, 다른 예들에 ‘히’에 상성을 가진 것이 없고, 세로 줄이 맞지 않으므로, 두 점은 잡티로 본다.
듣·노니 주038)
듣노니
듣[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들으니.
平 ·길 주039)
평(平) 길
평(平)+-(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길[途]. 평평한 길.
取·호 주040)
취(取)호
취(取)+-(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취함을. 취하는 것을.
·일 ·라 주041)
일 라
일[早]#[爲, 作]-+-라(명령 어미). 일찍 하라.

【한자음】 유문상급수 조작취평도
【언해역】 도리어 빠른 물로 올라감을 들으니, 평평한 길 취하는 것을 일찍 하라.

萬里皇華使 爲僚記腐儒【詩예 皇皇者華 遣使臣也ㅣ니 指韋다 腐儒 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萬里·옛 주042)
만리(萬里)옛
만리(萬里)+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만리에의. 만리의.
皇華使ㅣ 주043)
황화사(皇華使)ㅣ
황화사(皇華使)+ㅣ(주격 조사). 황화사가. 찬란한 사신이. 휘황찬란한 사신이. 으리으리한 사신이. 황화사(皇華使)는 시경(詩經)에 나오는 ‘황황자화(皇皇者華)’를 가리키는데, 이는 ‘찬란한 꽃’을 의미한다. 찬란한 꽃은 사신출사(使臣出使)로 사신이 출장을 가는 것을 말한다. ‘으리으리한 사신’은 위유하를 가리킨다.
僚友ㅣ·라 주044)
요우(僚友)ㅣ라
요우(僚友)#이(지정 형용사)-+-다(어말 어미). 동료 친구이다. 동료 친구이라.
·야 주045)
야
[謂, 云]-+-야(연결 어미). 하여.
서·근 주046)
서근
석[腐]-+-은(관형사형 어미). 썩은.
션· 주047)
션
션[士, 儒]+(대격 조사). 선비를.
記憶·놋·다 주048)
기억(記憶)놋다
기억(記憶)+-(동사 파생 접미사)-+-놋다(감탄 어미). 기억하는구나. 기억하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만리황화사 위료기부유【당시에 황황자화(皇皇者華)는 사신을 보내는 것이니 위유하를 가리킨다. 썩은 선비는 두보이다.】
【언해역】 만리(萬里)의 으리으리한 사신이 동료 친구라 하여 썩은 선비를 기억하는구나.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낭중(郞中) : 상서성(尙書省)의 관원으로, 시랑(侍郞) 아래의 고급 관원이다. 당시 두보는 검교(檢校) 공부 원외랑(工部員外郞)을 하였다. 위유하(韋有夏)와 더불어 같이 상서성에 속한 관원이었다. 위유하가 두보에게, 주로 학질의 치료제가 되는 시호(柴胡)를 준 일이 있었는데, 두보는 이 시를 써서 그에 감사를 표하고 있다.
주002)
기위유하랑중(寄韋有夏郞中) : 위유하(韋有夏) 낭중에게 보낸다. 이 시는 대력(大曆) 원년(766)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당시 두보는 기주(夔州) 서각(西閣)에서 남의 집에 우거하고 있었다.
주003)
성랑(省郞)이 : 성랑(省郞)+이(주격 조사). 상서성(尙書省)의 낭중(郞中)이. 성(省) 사람이.
주004)
병(病) : 병(病)+-(동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병든.
주005)
사(士) : 사(士)+(대격 조사). 선비를. 관원(官員)을. 관리를.
주006)
시름야 : 시름[愁, 憂]+-(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시름하여. 걱정하여.
주007)
서신(書信)에 : 서신(書信)+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서신에. 편지에.
주008)
시호약(柴胡藥) : 학질의 치료제가 되는 시호(柴胡)를 말한다. 시호는 중초약(中草葯)으로 학질에 효용이 있다고 한다.
주009)
조차 : 좇[從]-+-아(연결 어미). 좇아. 따라. 함께.
주010)
잇도다 : 잇[有]-+-도다(감탄 어미). 있도다. 있게 하였도다. 보냈다. ‘잇도다’에는 ‘-도-’에 거성이 예상되는 곳이나 찍히지 않고 있다.
주011)
음자(飮子)ㅣ : 음자(飮子)+ㅣ(주격 조사). 마시는 것이. 복용하는 것이.
주012)
조 : 자주[頻].
주013)
미 : [汗]+이(주격 조사). 땀이.
주014)
차 : [通]-+-아(연결 어미). 통하여.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기 때문에)〈훈언 1ㄴ〉.
주015)
나니 : 나[發]-+--+-니(연결 어미). 나니.
주016)
그듸 : 그듸[君]+(대격 조사). 그대를.
주017)
야 : [懷]+-(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생각하여.
주018)
구슬로 갑고져 : 구슬[珠]+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갚[報]-+-고져(연결 어미). 구슬로 갚고자. 땀이 구슬처럼 나는 것과, 시가 아름다움의 결정인 것이 시를 구슬로 가리키는 비유를 성립시키고 있다.
주019)
스치노라 : 스치[想]-+-노라(감탄 어미). 생각하노라. 생각이 떠올랐노라.
주020)
아논 : 알[知]-+-(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아는.
주021)
버디 : 벋[友, 朋]+이(주격 조사). 벗이. 친구가.
주022)
하  : 하[天]+ㅅ(관형격 조사)#[邊, 畔]+(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하늘 가에. 황제 주변에.
주023)
져그니 : 젹[少]-+-으니(연결 어미). 적으니. 적은데.
주024)
약이(藥餌) : 약이(藥餌)+(보조사). 약으로 먹는 음식은.
주025)
협중(峽中)에 : 협중(峽中)+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두메에. 깊은 산골짜기에. 산골 사람들의 민속신앙은 약재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협중에 약재가 없는 것이다.
주026)
업도다 : 없[無]-+-도다(감탄 어미). 없도다.
주027)
도라갈 : 돌[回]-+-아(연결 어미)#가[去]-+-ㄹ(미래 관형사형 어미). 돌아갈. 귀(歸).
주028)
 : [楫]+(보조사). 노는.
주029)
오시 나 : 옷[衣]+이(주격 조사)#나[生]-+-아(연결 어미). 옷이 나. 옷이 나서. 이끼가 끼어.
주030)
누엣고 : 눕[臥]-+-어(연결 어미)#잇[有]-+-고(연결 어미). 누워 있고. 뒹굴고. ‘누엣고’는 ‘누웻고’로 쓰여야 할 것이나, 간략형의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주031)
 며기 : 봄[春]+ㅅ(관형격 조사)#며기[鷗.]+(보조사). 봄의 갈매기는.
주032)
개 : 개[翅]+(대격 조사). 날개를.
주033)
싯고 : 싯[洗]-+-고(연결 어미). 씻고.
주034)
우르놋다 : 우르[呼]-+-놋다(감탄 어미). 부르는구나. 소리치는구나.
주035)
 믈로 : [急]-+-ㄴ(관형사형 어미)#믈[水]+로(조격 조사, 부사격 조사). 빠른 물로.
주036)
올아가 : 오[上]-+-아(연결 어미)#가[去]-+-아(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ㅁ(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올라감을.
주037)
오히려 : 오히려. 도리어. 되려. ‘히’ 앞에 두 점이 있는 것과 같이 보이나, 다른 예들에 ‘히’에 상성을 가진 것이 없고, 세로 줄이 맞지 않으므로, 두 점은 잡티로 본다.
주038)
듣노니 : 듣[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들으니.
주039)
평(平) 길 : 평(平)+-(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길[途]. 평평한 길.
주040)
취(取)호 : 취(取)+-(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대격 조사). 취함을. 취하는 것을.
주041)
일 라 : 일[早]#[爲, 作]-+-라(명령 어미). 일찍 하라.
주042)
만리(萬里)옛 : 만리(萬里)+예(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만리에의. 만리의.
주043)
황화사(皇華使)ㅣ : 황화사(皇華使)+ㅣ(주격 조사). 황화사가. 찬란한 사신이. 휘황찬란한 사신이. 으리으리한 사신이. 황화사(皇華使)는 시경(詩經)에 나오는 ‘황황자화(皇皇者華)’를 가리키는데, 이는 ‘찬란한 꽃’을 의미한다. 찬란한 꽃은 사신출사(使臣出使)로 사신이 출장을 가는 것을 말한다. ‘으리으리한 사신’은 위유하를 가리킨다.
주044)
요우(僚友)ㅣ라 : 요우(僚友)#이(지정 형용사)-+-다(어말 어미). 동료 친구이다. 동료 친구이라.
주045)
야 : [謂, 云]-+-야(연결 어미). 하여.
주046)
서근 : 석[腐]-+-은(관형사형 어미). 썩은.
주047)
션 : 션[士, 儒]+(대격 조사). 선비를.
주048)
기억(記憶)놋다 : 기억(記憶)+-(동사 파생 접미사)-+-놋다(감탄 어미). 기억하는구나. 기억하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