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
  • 혜황(惠貺)
  • 창고지기 맹씨가 술과 장 두 항아리를 가득 채워 늙은 남자에게 주는 것을 본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창고지기 맹씨가 술과 장 두 항아리를 가득 채워 늙은 남자에게 주는 것을 본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20ㄴ

孟倉曹 주001)
맹 창조(孟倉曹)ㅣ
맹 창조(孟倉曹)+ㅣ(주격 조사). 맹씨 창고지기가. 맹 창고지기가. 여기서 ‘맹씨’는 두보의 다른 시에 ‘맹십이(孟十二)’로 나타나는 사람이다.
步趾야 주002)
보지(步趾)야
보지(步趾)+-(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보행하여. 걸어.
領酒醬二物滿器야 주003)
영주장이물만기(領酒醬二物滿器)야
술과 장 두 물을 다루어 용기에 가득 채워.
見遺老夫다 주004)
견유노부(見遺老夫)다
늙은 남자에게 주는 것을 본다.
주005)
맹 창조(孟倉曹)ㅣ 보지(步趾)야 영주장이물만기(領酒醬二物滿器)야 견유노부(見遺老夫)다
맹 창고지기가 술과 장 두 물을 다루어 용기에 가득 채워 늙은 남자에게 주는 것을 본다. 이 시는 대력 2년(767)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어느 날, 맹십이(孟十二)가 자신이 직접 담근 술 한 항아리와, 자기가 직접 만든 장 한 항아리를 가지고, 걸어와서 두보의 집안 사람에게 전하는 것을 두보가 보고, 그 정성에 느낀 바가 있어, 이 시를 쓰게 된 것이다. 맹십이는 두보가 새로 사귄 사람이다.

맹 창조가 보지하여 영주장이물만기하여 견유노부한다

楚岸通秋屐 胡牀面夕畦

楚ㅅ 주006)
초(楚)ㅅ
초(楚)+ㅅ(관형격 조사). 초의. 초 지방의. 초(楚)는 중국 춘추 오패(春鞦五覇) 가운데 양자강(陽子江) 중류 지역을 차지한 나라. 뒤에 전국 칠웅의 하나가 되었고, 기원전 223년에 진(秦)에 망하였다.
두·들게 주007)
두들게
두듥[岸]+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둑에.
 격·지 주008)
 격지
[秋]+ㅅ(관형격 조사)#격지[屐(극)]. 가을의 나막신.
시·너 주009)
시너
신[履(이)]-+-어(연결 어미). 신어.
·차 ·오나· 주010)
차 오나
[通]-+-아(연결 어미)#오[來]-+-나(연결 어미). 통하여 오거늘. 사무쳐 오거늘. 꿰뚫고 오거늘. 곧장 오거늘.
胡牀 주011)
호상(胡牀)
휴대용 접의자. 직사각형 가죽 조각의 두 끝에 네모진 다리를 대어 접고 펼 수 있게 만든, 휴대하기 편리하게 만든 의자.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외출할 때 들려 가지고 다니면서 길에서 깔고 앉기도 하고 말을 탈 때에 디디기도 하였다.
·을 나죗 주012)
나죗
나죄[夕]+ㅅ(관형격 조사). 저녁의. ‘나죄’는 ‘나조’로도 나타난다. ‘나조’와 ‘나죄’는 이형태의 관계에 있다.
받이·러믈 주013)
받이러믈
밭[田]#이럼[畦]+을(대격 조사). 밭이랑을.
面·야 주014)
면(面)야
면(面)+-(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면하여. 향하여.
노·호라 주015)
노호라
놓[置]-+-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놓도다. 놓는도다.

【한자음】 초안통추극 호상면석휴
【언해역】 초(楚) 지방의 둑에 가을 나막신 신고 곧장 오거늘 휴대용 접의자를 저녁의 밭이랑을 향하여 놓도다.

籍糟分汁滓 甕醬落提携【籍糟 以茅로 覆藉而沛之야 分汁滓也ㅣ라】

쥐여미 주016)
쥐여미
쥐여미[籍糟(적조)]+(대격 조사). 지게미를. 지게미는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를 말한다.
주017)
[榨取(자취), 藉(자), 籍(자)]-+-아(연결 어미). 짜. 짜서.
汁과 주018)
즙(汁)과
즙(汁)+과(접속 조사). 즙과.
즈·와 주019)
즈와
즛의/의[滓]+와(접속 조사)+(보조사). 찌꺼기와를. 여기서 ‘’은 대격 조사가 아니라 주제를 나타내는 보조사로 본다. ¶다 이리 서르 어즈려 여러 듣글 {즛의} 니와 씨 일후미 濁이라(다섯 일이 서로 어즈럽혀져 여러 티끌 찌꺼기를 일으키는 것이 이름이 탁(濁)이다.)〈법화 1:189ㄱ〉.
주020)
쥐여미  汁과 즈·와
지게미를 짜서 즙과 찌꺼기를. 이에는 ‘’과 ‘과’에 거성이 예상되는 곳이지만, 거성이 찍히지 않고 있다.
·호·도소·니 주021)
호도소니
호[分]-+-도(감탄 선어말 어미)-+-소(간접화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나누는 것이니.
도· 주022)
도
독[甕(옹)]+(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독의.
醬·은 주023)
장(醬)은
장(醬)+은(보조사). 장은.
자·바다·가 주024)
자바다가
잡[提携]-+-아(연결 어미)+다가(보조사). 잡아다가. 들어다가.
디·여 주025)
디여
디[落]-+-어(연결 어미). 떨어지게. 따라.
논·다 주026)
논다
놓[置]-+-(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놓는다.

【한자음】 적조분즙재 옹장락제휴【적조(籍糟)는 띠로 덮고 짜서 흘려 즙과 찌꺼기를 나누는 것이다.】
【언해역】 지게미를 짜서 즙과 찌꺼기를 나누는 것이니, 독의 장(醬)은 들어다가 떨어지게 놓는다.

飯糲添香味 朋來有醉泥

구·즌 주027)
구즌
궂[糲(현미), 惡]-+-은(관형사형 어미). 궂은. 거친.
·바·배 주028)
바배
[米]+ㅅ(관형격 조사)#밥[飯]+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쌀밥에.
·곳다·온 주029)
곳다온
곳[花]+-답(형용사 파생 접미사)-+-은(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마시 주030)
마시
맛[味]+이(주격 조사). 맛이.
더으·니 주031)
더으니
더으[加]-+-니(연결 어미). 더하니.
։벋 주032)
벗[벋[友, 朋].
։오매 주033)
오매
오[來]-+-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옴에. 오매.
泥蟲·티 주034)
니충(泥蟲)티
니충(泥蟲)+이(보조사). 흙벌레같이.
醉·호미 주035)
취(醉)호미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취함이. 취하는 것이. 취하는 일이.
이시·리로·다 주036)
이시리로다
이시[有]-+-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도다(감탄 어미). 있을 것이로다.

【한자음】 반려첨향미 붕래유취니
【언해역】 거친 쌀밥에 꽃다운 맛이 더하니, 벗 옴에 흙벌레같이 취하는 일이 있을 것이로다.

理生那免俗 方法報山妻【言酒醬造法을 告其家人也ㅣ라 】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분류두공부시언해 권22:21ㄱ

사·롤 :일 주037)
사롤 일
살[生]-+-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미래 관형사형 어미)#일[事]. 살 일.
다료· 주038)
다료
다리[理]-+-옴(명사형 어미)+(보조사). 다스림을. 다스리는 것을. 역주자가 여기서 ‘’을 보조사로 주석한 것은 문제의 ‘’이 중목적어 구성의 앞 성분에 나타나 주제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어·느 주039)
어느
어느[那]. 어찌.
俗· 주040)
속(俗)
속(俗)+(대격 조사). 속을. 속세를. 속세의 일을.
免리오 주041)
면(免)리오
면(免)+-(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면하리오. 면할 것인가.
方法·을 :뫼헷 주042)
뫼헷
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산에의. 산의.
:겨집 더·브러 주043)
겨집더브러
겨집[女, 妻]+더브러(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계집에게. 처에게. 아내에게. ‘더브러’는 부사젹 조사의 하나인 여격 조사로 재구조화한 것으로 본다.
알·외노·라 주044)
알외노라
알외[報]-+-노라(감탄 어미). 아뢰노라. 알리노라. 알리도다. ‘알외-’는 17세기 중반에 와서 존귀한 인물에게 알리는 뜻을 가진 ‘아뢰-’가 되었다. 1637년 〈권념요록〉에 나타나는 예가 이러한 뜻의 ‘아뢰-’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쳥노니 우리 음신을 안노슉 젼야 아뢰쇼셔 야. 왕랑이 답야 허락(그대에게 청하니, 우리들 소식을 안노숙께 전하여 아뢰소서 하거늘 왕랑이 대답하여 허락한대)〈권념 10ㄱ〉.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이생나면속 방법보산처【술과 장 만드는 법을 그 집안사람에게 알리는 것을 말한다.】
【언해역】 살 일 다스림을 어찌 세속의 일을 면할 것인가? 방법을 산의 아내에게 알리노라.
Ⓒ 역자 | 임홍빈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맹 창조(孟倉曹)ㅣ : 맹 창조(孟倉曹)+ㅣ(주격 조사). 맹씨 창고지기가. 맹 창고지기가. 여기서 ‘맹씨’는 두보의 다른 시에 ‘맹십이(孟十二)’로 나타나는 사람이다.
주002)
보지(步趾)야 : 보지(步趾)+-(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보행하여. 걸어.
주003)
영주장이물만기(領酒醬二物滿器)야 : 술과 장 두 물을 다루어 용기에 가득 채워.
주004)
견유노부(見遺老夫)다 : 늙은 남자에게 주는 것을 본다.
주005)
맹 창조(孟倉曹)ㅣ 보지(步趾)야 영주장이물만기(領酒醬二物滿器)야 견유노부(見遺老夫)다 : 맹 창고지기가 술과 장 두 물을 다루어 용기에 가득 채워 늙은 남자에게 주는 것을 본다. 이 시는 대력 2년(767) 가을에 지어진 것이라 한다. 어느 날, 맹십이(孟十二)가 자신이 직접 담근 술 한 항아리와, 자기가 직접 만든 장 한 항아리를 가지고, 걸어와서 두보의 집안 사람에게 전하는 것을 두보가 보고, 그 정성에 느낀 바가 있어, 이 시를 쓰게 된 것이다. 맹십이는 두보가 새로 사귄 사람이다.
주006)
초(楚)ㅅ : 초(楚)+ㅅ(관형격 조사). 초의. 초 지방의. 초(楚)는 중국 춘추 오패(春鞦五覇) 가운데 양자강(陽子江) 중류 지역을 차지한 나라. 뒤에 전국 칠웅의 하나가 되었고, 기원전 223년에 진(秦)에 망하였다.
주007)
두들게 : 두듥[岸]+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둑에.
주008)
 격지 : [秋]+ㅅ(관형격 조사)#격지[屐(극)]. 가을의 나막신.
주009)
시너 : 신[履(이)]-+-어(연결 어미). 신어.
주010)
차 오나 : [通]-+-아(연결 어미)#오[來]-+-나(연결 어미). 통하여 오거늘. 사무쳐 오거늘. 꿰뚫고 오거늘. 곧장 오거늘.
주011)
호상(胡牀) : 휴대용 접의자. 직사각형 가죽 조각의 두 끝에 네모진 다리를 대어 접고 펼 수 있게 만든, 휴대하기 편리하게 만든 의자.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외출할 때 들려 가지고 다니면서 길에서 깔고 앉기도 하고 말을 탈 때에 디디기도 하였다.
주012)
나죗 : 나죄[夕]+ㅅ(관형격 조사). 저녁의. ‘나죄’는 ‘나조’로도 나타난다. ‘나조’와 ‘나죄’는 이형태의 관계에 있다.
주013)
받이러믈 : 밭[田]#이럼[畦]+을(대격 조사). 밭이랑을.
주014)
면(面)야 : 면(面)+-(동사 파생 접미사)-+-야(연결 어미). 면하여. 향하여.
주015)
노호라 : 놓[置]-+-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라(어말 어미). 놓도다. 놓는도다.
주016)
쥐여미 : 쥐여미[籍糟(적조)]+(대격 조사). 지게미를. 지게미는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를 말한다.
주017)
 : [榨取(자취), 藉(자), 籍(자)]-+-아(연결 어미). 짜. 짜서.
주018)
즙(汁)과 : 즙(汁)+과(접속 조사). 즙과.
주019)
즈와 : 즛의/의[滓]+와(접속 조사)+(보조사). 찌꺼기와를. 여기서 ‘’은 대격 조사가 아니라 주제를 나타내는 보조사로 본다. ¶다 이리 서르 어즈려 여러 듣글 {즛의} 니와 씨 일후미 濁이라(다섯 일이 서로 어즈럽혀져 여러 티끌 찌꺼기를 일으키는 것이 이름이 탁(濁)이다.)〈법화 1:189ㄱ〉.
주020)
쥐여미  汁과 즈·와 : 지게미를 짜서 즙과 찌꺼기를. 이에는 ‘’과 ‘과’에 거성이 예상되는 곳이지만, 거성이 찍히지 않고 있다.
주021)
호도소니 : 호[分]-+-도(감탄 선어말 어미)-+-소(간접화의 선어말 어미)-+-니(연결 어미). 나누는 것이니.
주022)
도 : 독[甕(옹)]+(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독의.
주023)
장(醬)은 : 장(醬)+은(보조사). 장은.
주024)
자바다가 : 잡[提携]-+-아(연결 어미)+다가(보조사). 잡아다가. 들어다가.
주025)
디여 : 디[落]-+-어(연결 어미). 떨어지게. 따라.
주026)
논다 : 놓[置]-+-(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다(어말 어미). 놓는다.
주027)
구즌 : 궂[糲(현미), 惡]-+-은(관형사형 어미). 궂은. 거친.
주028)
바배 : [米]+ㅅ(관형격 조사)#밥[飯]+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쌀밥에.
주029)
곳다온 : 곳[花]+-답(형용사 파생 접미사)-+-은(관형사형 어미). 꽃다운.
주030)
마시 : 맛[味]+이(주격 조사). 맛이.
주031)
더으니 : 더으[加]-+-니(연결 어미). 더하니.
주032)
벋 : 벗[벋[友, 朋].
주033)
오매 : 오[來]-+-옴(명사형 어미)+애(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 옴에. 오매.
주034)
니충(泥蟲)티 : 니충(泥蟲)+이(보조사). 흙벌레같이.
주035)
취(醉)호미 : 취(醉)+-(동사 파생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취함이. 취하는 것이. 취하는 일이.
주036)
이시리로다 : 이시[有]-+-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도다(감탄 어미). 있을 것이로다.
주037)
사롤 일 : 살[生]-+-오(확실성의 양태 선어말 어미)-+-ㄹ(미래 관형사형 어미)#일[事]. 살 일.
주038)
다료 : 다리[理]-+-옴(명사형 어미)+(보조사). 다스림을. 다스리는 것을. 역주자가 여기서 ‘’을 보조사로 주석한 것은 문제의 ‘’이 중목적어 구성의 앞 성분에 나타나 주제의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주039)
어느 : 어느[那]. 어찌.
주040)
속(俗) : 속(俗)+(대격 조사). 속을. 속세를. 속세의 일을.
주041)
면(免)리오 : 면(免)+-(동사 파생 접미사)-+-리(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고(의문 어미). 면하리오. 면할 것인가.
주042)
뫼헷 : 뫼ㅎ[山]+에(처격 조사, 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 산에의. 산의.
주043)
겨집더브러 : 겨집[女, 妻]+더브러(여격 조사, 부사격 조사). 계집에게. 처에게. 아내에게. ‘더브러’는 부사젹 조사의 하나인 여격 조사로 재구조화한 것으로 본다.
주044)
알외노라 : 알외[報]-+-노라(감탄 어미). 아뢰노라. 알리노라. 알리도다. ‘알외-’는 17세기 중반에 와서 존귀한 인물에게 알리는 뜻을 가진 ‘아뢰-’가 되었다. 1637년 〈권념요록〉에 나타나는 예가 이러한 뜻의 ‘아뢰-’를 가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쳥노니 우리 음신을 안노슉 젼야 아뢰쇼셔 야. 왕랑이 답야 허락(그대에게 청하니, 우리들 소식을 안노숙께 전하여 아뢰소서 하거늘 왕랑이 대답하여 허락한대)〈권념 10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