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성적등지(惺寂等持)
  • 성적등지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성적등지 006


이러  주001)
이러틋 :
이렇듯 한. 이러-[如此]+(비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ㄴ(관형사형어미). ‘-’이 부사적 기능이 강하여 ‘이러틋’은 부사로 쓰였다.
緣慮心 주002)
연려심(緣慮心):
인연 속에서 일어나는 평소 마음의 상태를 이른다. 곧 외계(外界)의 사물을 보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총 8식(識)을 말한다.
져므나 새나 주003)
져므나 새나:
젊으나 새 사람이나. 졈-[靑]+으나(종속적 연결어미) 새[新]+나(종속적 연결어미). 어미 ‘-나 ~-나’는 어느 쪽이나 상관이 없음을 보이는 종속적 연결어미이다. ‘새[新]’는 중세국어 시기에 명사의 기능도 보인다.
그치디 아니야 주004)
그치디 아니야:
그치지 아니하여. 끊지 아니하여. 그치-[絶/斷]+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야(종속적 연결어미).
每常 주005)
매상(每常):
매양. 언제나. ‘每常’은 ‘매양’의 원말로 중세국어 시기에는 ‘’으로 적었다.
주006)
업(業):
범어로 ‘Karma’라고 한다. 전세(前世)에서 지은 악행(惡行)이나 선행(善行)으로 말미암아 현세(現世)에서 받는 응보(應報)를 이르는 말이다.
짓니 주007)
짓니:
짓느니. 짓-[作]+(직설법 선어말어미)+니(이유, 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緣慮心 그츨딘댄 주008)
그츨딘댄:
끊을진댄. 긏-[絶/斷]+을딘댄(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모로매 惺寂等持 주009)
성적등지(惺寂等持):
어지러운 잡념(雜念)과 미혹한 무기(無記)의 두 가지의 병(病)이 없어서 성성적적(惺惺寂寂)하며, 적적성성(寂寂惺惺)하여 아무데도 치우치지 않는 것이다. 성(惺)과 적(寂)이 평등(平等)하게 유지된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야 주010)
야:
하여야. -+야(보조적 연결어미)+(특수보조사).
릴 주011)
릴:
할 것이므로. 릴(보조동사).
過去에 어디르신 주012)
어디르신:
어지신. 어딜-[賢]+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중세국어 시기에는 ‘ㅅ’ 앞에서 ‘ㄹ’의 탈락이 없었다. 다만, ‘ㅿ’ 앞에서는 탈락했다.
善知識 주013)
선지식(善知識):
범어로는 ‘Kalyāṇamitra’라고 한다. 부처님이 말씀한 교법[佛法]을 설(說)하여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鏡)인 불도(佛道)에 들게 하는 덕(德)이 높은 승려(僧侶)를 이른다.
이 주014)
이:
이를. 이것을. 이[是]+(목적격조사).
힘서(→) 니시니라 주015)
힘 니시니라:
힘써서 이르신 것이다. 힘-[力用]+어(종속적 연결어미) 니-[謂]+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힘서’는 ‘힘ᄡᅥ’의 오각이다.
惺寂等持 緣慮心 디킐시라 주016)
디킐시라:
지키는 것이다. 디킈-[守]+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緣慮心 딕킈면 니로 주017)
니로:
일어나는. 닐-[起]+오/우(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三惡途 주018)
삼악도(三惡途):
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한다. 중생이 지난 날 범한 악업의 결과로 인해, 죽어서 가게 된다는 세 종류의 고통스러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途), 아귀도(餓鬼途), 축생도(畜生途) 등을 이른다.
지 줄 주019)
지 줄:
지을 것이. 지을 줄이. -[昨]+을(관형사형어미) 줄(의존명사).
업니리(→라) 주020)
업니라:
없느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업ᄂᆞ니리’는 ‘업ᄂᆞ니라’의 오각이다.
가비겐(→건)댄 주021)
가비건댄:
비유(譬喩)하건댄. 비유(譬喩)하면. 가비-[譬喩]+건댄(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가ᄌᆞᆯ비겐댄’은 ‘가ᄌᆞᆯ비건댄’의 오각이다.
世間애 주022)
세간(世間)애:
세간(世間)에서. ‘애’는 부사격조사.
사 주023)
사:
사람이. 사[人]+(관형격조사). 명사절이어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를 썼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과 관형절의 주어 자리에 주격조사를 쓰지 아니하고 관형격조사를 쓰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子息 길옴 주024)
자식(子息) 길옴:
자식 기름과. 자식을 기르는 것과. ‘길옴’은 ‘기/기르-[養育]+옴(명사형어미)’.
야 주025)
야:
같아서. -[如]+야(종속적 연결어미).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이렇듯 한 연려심(緣慮心)이 젊으나 새 사람이나 끊어지지 아니하여 매양 이 업(業)을 짓느니라. 연려심을 끊을진댄 모름지기 성적등지(惺寂等持)를 하여야 할 것이므로, 과거에 어지신 선지식(善知識)들이 이를 힘써서 말씀하신 것이다. 성적등지는 연려심을 지키는 것이다. 연려심을 지키면 일어나는 삼악도(三惡途)를 지을 것이 없느니라. 비유하건댄 세간(世間)에서 사람이 자식을 기르는 것과 같다.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러틋 :이렇듯 한. 이러-[如此]+(비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ㄴ(관형사형어미). ‘-’이 부사적 기능이 강하여 ‘이러틋’은 부사로 쓰였다.
주002)
연려심(緣慮心):인연 속에서 일어나는 평소 마음의 상태를 이른다. 곧 외계(外界)의 사물을 보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총 8식(識)을 말한다.
주003)
져므나 새나:젊으나 새 사람이나. 졈-[靑]+으나(종속적 연결어미) 새[新]+나(종속적 연결어미). 어미 ‘-나 ~-나’는 어느 쪽이나 상관이 없음을 보이는 종속적 연결어미이다. ‘새[新]’는 중세국어 시기에 명사의 기능도 보인다.
주004)
그치디 아니야:그치지 아니하여. 끊지 아니하여. 그치-[絶/斷]+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야(종속적 연결어미).
주005)
매상(每常):매양. 언제나. ‘每常’은 ‘매양’의 원말로 중세국어 시기에는 ‘’으로 적었다.
주006)
업(業):범어로 ‘Karma’라고 한다. 전세(前世)에서 지은 악행(惡行)이나 선행(善行)으로 말미암아 현세(現世)에서 받는 응보(應報)를 이르는 말이다.
주007)
짓니:짓느니. 짓-[作]+(직설법 선어말어미)+니(이유, 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8)
그츨딘댄:끊을진댄. 긏-[絶/斷]+을딘댄(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9)
성적등지(惺寂等持):어지러운 잡념(雜念)과 미혹한 무기(無記)의 두 가지의 병(病)이 없어서 성성적적(惺惺寂寂)하며, 적적성성(寂寂惺惺)하여 아무데도 치우치지 않는 것이다. 성(惺)과 적(寂)이 평등(平等)하게 유지된다고 하여 이렇게 이른다.
주010)
야:하여야. -+야(보조적 연결어미)+(특수보조사).
주011)
릴:할 것이므로. 릴(보조동사).
주012)
어디르신:어지신. 어딜-[賢]+으시(존경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중세국어 시기에는 ‘ㅅ’ 앞에서 ‘ㄹ’의 탈락이 없었다. 다만, ‘ㅿ’ 앞에서는 탈락했다.
주013)
선지식(善知識):범어로는 ‘Kalyāṇamitra’라고 한다. 부처님이 말씀한 교법[佛法]을 설(說)하여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고통의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鏡)인 불도(佛道)에 들게 하는 덕(德)이 높은 승려(僧侶)를 이른다.
주014)
이:이를. 이것을. 이[是]+(목적격조사).
주015)
힘 니시니라:힘써서 이르신 것이다. 힘-[力用]+어(종속적 연결어미) 니-[謂]+시(존경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힘서’는 ‘힘ᄡᅥ’의 오각이다.
주016)
디킐시라:지키는 것이다. 디킈-[守]+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7)
니로:일어나는. 닐-[起]+오/우(선어말어미)+(관형사형어미).
주018)
삼악도(三惡途):삼악취(三惡趣)라고도 한다. 중생이 지난 날 범한 악업의 결과로 인해, 죽어서 가게 된다는 세 종류의 고통스러운 세계, 곧 지옥도(地獄途), 아귀도(餓鬼途), 축생도(畜生途) 등을 이른다.
주019)
지 줄:지을 것이. 지을 줄이. -[昨]+을(관형사형어미) 줄(의존명사).
주020)
업니라:없느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업ᄂᆞ니리’는 ‘업ᄂᆞ니라’의 오각이다.
주021)
가비건댄:비유(譬喩)하건댄. 비유(譬喩)하면. 가비-[譬喩]+건댄(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가ᄌᆞᆯ비겐댄’은 ‘가ᄌᆞᆯ비건댄’의 오각이다.
주022)
세간(世間)애:세간(世間)에서. ‘애’는 부사격조사.
주023)
사:사람이. 사[人]+(관형격조사). 명사절이어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조사를 썼다.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절과 관형절의 주어 자리에 주격조사를 쓰지 아니하고 관형격조사를 쓰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주024)
자식(子息) 길옴:자식 기름과. 자식을 기르는 것과. ‘길옴’은 ‘기/기르-[養育]+옴(명사형어미)’.
주025)
야:같아서. -[如]+야(종속적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