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삼신여래(三身如來)
  • 삼신여래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신여래 006


그리 혼 주001)
그리 혼:
그렇게 한. 그리(부사) -+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히 주002)
히:
땅이. ㅎ[地]+이(주격조사).
淸淨 주003)
청정(淸淨):
범어로 ‘Śuddhā’라고 한다.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을 이른다. 자성청정(自性淸淨)과 이구청정(離垢淸淨)의 두 종류가 있다.
法身 주004)
법신(法身):
범어로 ‘Dharma-kāya’라고 한다. 법계(法界)의 이(理)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을 이른다. 곧 빛깔도 형상도 없는 본체신(本體身)을 가리키는 말이다. 현실로 인간에 출현한 부처님 이상으로 영원한 불(佛)의 본체나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을 이르기도 한다.
毗盧遮那佛리라 주005)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리라: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이라고. 비로자나불+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리-’는 선행체언의 말음이 ‘ㄹ’이 거듭 적힌 것이다.
며 하히 주006)
하히:
하늘이. 하ㅎ[天]+이(주격조사).
圓滿 주007)
원만(圓滿):
모든 것에서 모나지 않고 두루 너그럽다는 뜻이다.
報身 주008)
보신(報身):
인위(因位)에서 지은 한이 없는 원(圓)과 행(行)의 과보로 나타나서 만덕(萬德)이 원만(圓滿)한 불신을 이른다. 흔히 자수용보신(自受用報身)과 타수용보신(他受用報身)의 2종으로 나눈다.
盧舍那佛리라 주009)
노사나불(盧舍那佛)리라:
노사나불(盧舍那佛)이라고. ‘노사나불’은 비로자나불의 다른 이름이다.
며 하과(→콰) 주010)
하콰:
하늘과. 하ㅎ[天]+과(접속조사). ‘하ᄂᆞᆯ과’는 ‘하ᄂᆞᆯ콰’의 오각이다.
콰 주011)
콰:
땅의. ㅎ[地]+과(접속조사).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왔으나 관형격조사는 생략되었다.
시예 주012)
시예:
사이에. 사이에서. 시[間]+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시’는 같은 책의 ‘’나 이후의 ‘이’ 등으로 보아 경상도방언형의 반영으로 보인다. ¶닐웻 사 모다 울쏘리 긋디 아니하더라〈석상 23:45〉. 져근덛 이예도 각여〈번소 8:11〉.
일훔과 주013)
일훔과:
이름과. 일훔[名]+과(접속조사).
얼굴 주014)
얼굴:
형상(形狀)을. 얼굴[形].
가진 주015)
가진:
가진. 가지-[持]+ㄴ(관형사형어미).
거슨 주016)
거슨:
것은. 것(의존명사)+은(관형사형어미).
일후미 주017)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千百億化身 釋迦牟尼佛리라 주018)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리라: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라고. ‘리-’는 한자로 적힌 선행체언의 말음 [ㄹ]이 거듭 적힌 중철 표기이다. 이 책에서는 15세기 문헌과는 달리 한자로 적은 말 다음에서도 이렇게 중철 표기를 했다.
니 주019)
니:
하느니.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그렇게 한 땅이 청정(淸淨) 법신(法身)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이라고 하며, 〈그렇게 한〉 하늘이 원만보신(圓滿報身) 노사나불(盧舍那佛)이라고 하며, 하늘과 땅의 사이에 이름과 형상(形狀)을 가진 것은 이름이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라고 하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리 혼:그렇게 한. 그리(부사) -+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2)
히:땅이. ㅎ[地]+이(주격조사).
주003)
청정(淸淨):범어로 ‘Śuddhā’라고 한다.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을 이른다. 자성청정(自性淸淨)과 이구청정(離垢淸淨)의 두 종류가 있다.
주004)
법신(法身):범어로 ‘Dharma-kāya’라고 한다. 법계(法界)의 이(理)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을 이른다. 곧 빛깔도 형상도 없는 본체신(本體身)을 가리키는 말이다. 현실로 인간에 출현한 부처님 이상으로 영원한 불(佛)의 본체나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을 이르기도 한다.
주005)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리라: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이라고. 비로자나불+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리-’는 선행체언의 말음이 ‘ㄹ’이 거듭 적힌 것이다.
주006)
하히:하늘이. 하ㅎ[天]+이(주격조사).
주007)
원만(圓滿):모든 것에서 모나지 않고 두루 너그럽다는 뜻이다.
주008)
보신(報身):인위(因位)에서 지은 한이 없는 원(圓)과 행(行)의 과보로 나타나서 만덕(萬德)이 원만(圓滿)한 불신을 이른다. 흔히 자수용보신(自受用報身)과 타수용보신(他受用報身)의 2종으로 나눈다.
주009)
노사나불(盧舍那佛)리라:노사나불(盧舍那佛)이라고. ‘노사나불’은 비로자나불의 다른 이름이다.
주010)
하콰:하늘과. 하ㅎ[天]+과(접속조사). ‘하ᄂᆞᆯ과’는 ‘하ᄂᆞᆯ콰’의 오각이다.
주011)
콰:땅의. ㅎ[地]+과(접속조사).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왔으나 관형격조사는 생략되었다.
주012)
시예:사이에. 사이에서. 시[間]+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시’는 같은 책의 ‘’나 이후의 ‘이’ 등으로 보아 경상도방언형의 반영으로 보인다. ¶닐웻 사 모다 울쏘리 긋디 아니하더라〈석상 23:45〉. 져근덛 이예도 각여〈번소 8:11〉.
주013)
일훔과:이름과. 일훔[名]+과(접속조사).
주014)
얼굴:형상(形狀)을. 얼굴[形].
주015)
가진:가진. 가지-[持]+ㄴ(관형사형어미).
주016)
거슨:것은. 것(의존명사)+은(관형사형어미).
주017)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018)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리라: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라고. ‘리-’는 한자로 적힌 선행체언의 말음 [ㄹ]이 거듭 적힌 중철 표기이다. 이 책에서는 15세기 문헌과는 달리 한자로 적은 말 다음에서도 이렇게 중철 표기를 했다.
주019)
니:하느니.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