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진여세계(眞如世界)
  • 허공(虛空)-식대(識大) 1
메뉴닫기 메뉴열기

허공(虛空)-식대(識大) 1


닐굽재 주001)
닐굽재:
일곱째는. 닐굽재[第七]+(보조사).
識大니 주002)
식대(識大)니:
식대이니. 식대(識大)+∅(서술격조사)+니(조건이나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식대’는 경계(境界)를 대하여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이 크다는 뜻이다.
識大라 주003)
식대(識大)라:
식대라고. 식대라. 식대(識大)+∅+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논 주004)
논:
하는.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 표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마 주005)
마:
말은. 말[言]+(보조사).
아 주006)
아:
아는 것이. 알-[識]+(관형사형어미).
거시 주007)
거시:
것이. 것(의존명사)+이(주격조사).
크닷 주008)
크닷:
크다는. 크-[大]+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여기서의 ‘ㅅ’은 평서형 종결어미의 뒤에 통합되어 인용절을 관형어로 만들어서 다음에 오는 체언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마리라 주009)
마리라:
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아다 주010)
아다:
안다고. 알-[識]+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호 주011)
호:
함은. 하는 것은. -(인용동사)+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그우레 주012)
그우레리:
말똥구리가. 그울[蜣蜋]+이(주격조사). 이 단어는 이 책보다 앞선 문헌에서는 ‘구우리’ 또는 ‘구으리’를 썼는데 이 책의 형태는 다른 데에서는 찾기 어렵다. 나중에는 ‘구을이’ 또는 ‘굴이’ 등으로 썼다. ¶구우리 여러 가짓 벌에 그 우희 모며〈법화 2:110〉. 구으릿  아랠 혀〈구간 3:21〉. 구을이〈한청 14:51〉. 굴이〈유씨물명 2〉.
 주013)
:
똥을. [便]+(목적격조사).


칠대만법:9ㄱ

주014)
야:
몽치어. 뭉치어. -[製丸]+아/야(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당시의 문헌에 ‘긔-’라는 단어도 보이는데, 사전에 따라서는 다른 단어로 처리한 경우도 있으나 ‘둥글게 만든다[製丸]’는 의미를 보인다는 점에서 같은 뜻을 가진 수의변이형에 지나지 않는다. ¶올 소로 바 긔여 먹더니〈월석 23:92〉. 디  의 알만 긔니〈구간 1:56〉.
해 주015)
해:
땅에. ㅎ[地]+애(부사격조사).
묻고 주016)
묻고:
묻고. 묻-[埋]+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17)
:
한. (수관형사). 한쪽.
그톄(→테) 주018)
그테:
끝에. 긑[末]+에(부사격조사). ‘그톄’는 ‘그테’의 오각이다.
알 주019)
알:
알을. 알ㅎ[卵]+(목적격조사).
스러 주020)
스러:
슬거든. 슬면. 슬-[産卵]+어(조건이나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어/어든’은 ‘거든’과 어간의 자동사, 타동사에 여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는 이른바 형태론적으로 조건이 지어진 이형태이다.
그 알히 이듬 주021)
이듬:
이듬해의. 이듬[明年/來年]+ㅅ(관형격조사).
보 주022)
보:
봄에. 봄[春]+/의(부사격조사). ‘봄’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3)
:
까서. 부화해서. -[孵化]+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24)
나:
나와. 태어나. 나-[出/生]+아(종속적 연결어미).
그  먹고 사라나거시니 주025)
사라나거시니:
살아나거니. 살아나 있거니. 사라나-+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설명, 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사라나-’는 ‘살-[生]+아(보조적 연결어미)#나-[出]’로 분석되는 합성어이다. 선어말어미 ‘-시-’의 기능에 대해서는 해명이 되지 않아 ‘비존대’란 이름을 붙였다. 논의가 필요한 내용이다. 혹 ‘이시-’의 어간 중 ‘이-’가 생략된 형태일 가능성도 있다.
智慧 주026)
지혜(智慧):
지혜는. ‘’은 보조사. ‘지혜’는 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어듸 가 주027)
어듸 가:
어디 가서. 어디에 가서. 어듸[何地](대명사) 가-[去]+아(종속적 연결어미).
어더 오며 주028)
어더 오며:
얻어 오며. 얻-[獲]+어(종속적 연결어미) 오-[來]+며(대등적 연결어미).
거믜 주029)
거믜:
거미가. 거믜[蜘蛛]+∅(주격조사).
그므를 주030)
그므를:
그물을. 그물[網]+을(목적격조사).
라 주031)
라:
만들어. -[製]+아(종속적 연결어미).
주032)
펴:
펴서. 펴-[伸]+어(종속적 연결어미).
衆生 주033)
중생(衆生):
중생(衆生)을. ‘’은 목적격조사. 여기서의 ‘중생’은 날 파리와 같은 거미줄에 걸리는 곤충 등을 이른다.
잡거시니 주034)
잡거시니:
잡거니. 잡-[捕獲]+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工巧 주035)
공교(工巧):
공교(工巧)는. ‘’은 보조사. ‘공교’는 솜씨 등이 재치 있고 교묘하다는 뜻이다.
어듸 가 어더 오며 듀화 주036)
듀화:
규화(葵花)는. 해바라기는. ‘’은 보조사. 여기서 ‘듀화’는 식물 ‘해바라기’를 가리키는데, 당시의 문헌에서는 ‘접시꽃’과 ‘해바라기’를 일러 ‘규화’라고 했다. 그런데 이 책에서만 유일하게 ‘듀화’라 부르고 있다.
누니 주037)
누니:
눈이. 눈[眼]+이(주격조사).
업거시니 주038)
업거시니:
없거니. 없-[無]+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므스글 주039)
므스글:
무엇을. 므슥[何](대명사)+을(목적격조사).
가지고셔 주040)
가지고셔:
가지고서. 가지-[持]+고(대등적 연결어미)+셔(보조사). 보조사 ‘셔’는 어미 ‘-고, -아/어’ 등의 아래에 쓰이어 그 말뜻을 분명하게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 ‘-고셔’는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차례로 이어질 때, 한 동작을 끝내고 다른 동작으로 이어가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 주041)
:
해를. [日]+(목적격조사).
조차 주042)
조차:
좇아. 좇-[隨/追]+아(종속적 연결어미).
도라오며 주043)
도라오며:
돌아오며. 도라오-[歸來]+며(대등적 연결어미). ‘도라오-’는 ‘돌-[廻]+아(보조적 연결어미)#오-[來]’로 분석되는 합성어이다.
반 주044)
반:
파초가. 반츄[芭蕉]+ㅣ(주격조사). 당시에는 ‘반쵸’가 주로 쓰였다, ‘반츄’로 표기된 것은 이 책이 유일하다. ¶반쵸 즛디허  즙〈구간 1:97〉. 반쵸 디허 자연니 난 즙 서 되와〈우역방 9〉.
업거시니 주045)
업거시니:
없거니. 없-[無]+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므스글 因야 주046)
인(因)야:
인(因)하여. 말미암아. 인(因)-+야(이유, 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울엣 주047)
울엣:
우레의. 천둥의. 울에[天動]+ㅅ(관형격조사).
소리 듣고 開뇨 주048)
개(開)뇨:
개화(開花)하느냐. 피느냐. 개(開)-+(직설법선어말어미)+뇨(‘라’체의 1, 3인칭 설명 의문형 종결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뇨’는 ‘-니 오’의 축약형이다. ‘-오’는 ‘-니-’가 ‘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에서 문법화한 것이기 때문에 의문형 종결어미 ‘-고’의 [ㄱ]이 약화된 표기이다.
元(→宛)然 주049)
완연(宛然):
완연(宛然)한. 뚜렷한. ‘元然’은 ‘宛然’의 잘못이다.
佛性이 아니 잇 히 주050)
히:
땅이. ㅎ[地]+이(주격조사).
업스니라 주051)
업스니라:
없느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으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迷惑 주052)
미혹(迷惑):
미혹(迷惑)한. ‘미혹(迷惑)’은 사(事)와 이(理)의 잘못됨과 사리에 밝지 못한 것을 이른다. 곧 정신이 헷갈려 갈팡질팡 헤맴이다.
衆生 주053)
중생(衆生):
중생은. ‘’은 보조사. ‘중생(衆生)’은 범어 ‘Sattva(薩埵)’를 옮긴 말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여러 생을 윤회한다.’ ‘여럿이 함께 산다.’ ‘많은 연(緣)이 화합하여 비로소 생(生)한다.’ 등의 뜻이 있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
아로미 주054)
아로미:
앎이. 식(識)이. 알-[識]+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서 주055)
업서:
없어서. 없어. 없-[無]+어(이유, 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낫분 주056)
낫분:
나뿐. 나만이. 나[我]+(단독 접미사).
아노라 주057)
아노라:
아노라. 안다. 알-[識]+(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니라 주058)
니라:
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일곱째는 식대(識大)이니, 식대라고 하는 말은 아는 것이 크다는 말이다. 안다고 함은 말똥구리가 똥을 뭉치어 땅에 묻고 한 끝에 알을 슬면 그 알이 이듬해의 봄에 까고 나와 그 똥을 먹고 살아나거니, 그 지혜는 어디에 가서 얻어 오며, 거미가 그물을 만들어 펴서 중생(衆生)을 잡거니 그 공교(工巧)함은 어디 가서 얻어 오며, 규화(葵花, 해바라기)는 눈이 없으니 무엇을 가지고서 해를 좇아 돌아오며, 파초(芭蕉)는 귀가 없거니 무엇으로 말미암아 우레의 소리를 듣고 개화(開花)하느냐? 완연(宛然)한 불성(佛性)이 있지 아니한 땅이 없느니라. 미혹(迷惑)한 중생은 앎이 없어서 나만이 안다고 하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굽재:일곱째는. 닐굽재[第七]+(보조사).
주002)
식대(識大)니:식대이니. 식대(識大)+∅(서술격조사)+니(조건이나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식대’는 경계(境界)를 대하여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이 크다는 뜻이다.
주003)
식대(識大)라:식대라고. 식대라. 식대(識大)+∅+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04)
논:하는.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 표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05)
마:말은. 말[言]+(보조사).
주006)
아:아는 것이. 알-[識]+(관형사형어미).
주007)
거시:것이. 것(의존명사)+이(주격조사).
주008)
크닷:크다는. 크-[大]+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여기서의 ‘ㅅ’은 평서형 종결어미의 뒤에 통합되어 인용절을 관형어로 만들어서 다음에 오는 체언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주009)
마리라: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0)
아다:안다고. 알-[識]+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1)
호:함은. 하는 것은. -(인용동사)+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12)
그우레리:말똥구리가. 그울[蜣蜋]+이(주격조사). 이 단어는 이 책보다 앞선 문헌에서는 ‘구우리’ 또는 ‘구으리’를 썼는데 이 책의 형태는 다른 데에서는 찾기 어렵다. 나중에는 ‘구을이’ 또는 ‘굴이’ 등으로 썼다. ¶구우리 여러 가짓 벌에 그 우희 모며〈법화 2:110〉. 구으릿  아랠 혀〈구간 3:21〉. 구을이〈한청 14:51〉. 굴이〈유씨물명 2〉.
주013)
:똥을. [便]+(목적격조사).
주014)
야:몽치어. 뭉치어. -[製丸]+아/야(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당시의 문헌에 ‘긔-’라는 단어도 보이는데, 사전에 따라서는 다른 단어로 처리한 경우도 있으나 ‘둥글게 만든다[製丸]’는 의미를 보인다는 점에서 같은 뜻을 가진 수의변이형에 지나지 않는다. ¶올 소로 바 긔여 먹더니〈월석 23:92〉. 디  의 알만 긔니〈구간 1:56〉.
주015)
해:땅에. ㅎ[地]+애(부사격조사).
주016)
묻고:묻고. 묻-[埋]+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17)
:한. (수관형사). 한쪽.
주018)
그테:끝에. 긑[末]+에(부사격조사). ‘그톄’는 ‘그테’의 오각이다.
주019)
알:알을. 알ㅎ[卵]+(목적격조사).
주020)
스러:슬거든. 슬면. 슬-[産卵]+어(조건이나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어/어든’은 ‘거든’과 어간의 자동사, 타동사에 여부에 따라 선택이 달라지는 이른바 형태론적으로 조건이 지어진 이형태이다.
주021)
이듬:이듬해의. 이듬[明年/來年]+ㅅ(관형격조사).
주022)
보:봄에. 봄[春]+/의(부사격조사). ‘봄’은 처소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3)
:까서. 부화해서. -[孵化]+아(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24)
나:나와. 태어나. 나-[出/生]+아(종속적 연결어미).
주025)
사라나거시니:살아나거니. 살아나 있거니. 사라나-+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설명, 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사라나-’는 ‘살-[生]+아(보조적 연결어미)#나-[出]’로 분석되는 합성어이다. 선어말어미 ‘-시-’의 기능에 대해서는 해명이 되지 않아 ‘비존대’란 이름을 붙였다. 논의가 필요한 내용이다. 혹 ‘이시-’의 어간 중 ‘이-’가 생략된 형태일 가능성도 있다.
주026)
지혜(智慧):지혜는. ‘’은 보조사. ‘지혜’는 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주027)
어듸 가:어디 가서. 어디에 가서. 어듸[何地](대명사) 가-[去]+아(종속적 연결어미).
주028)
어더 오며:얻어 오며. 얻-[獲]+어(종속적 연결어미) 오-[來]+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9)
거믜:거미가. 거믜[蜘蛛]+∅(주격조사).
주030)
그므를:그물을. 그물[網]+을(목적격조사).
주031)
라:만들어. -[製]+아(종속적 연결어미).
주032)
펴:펴서. 펴-[伸]+어(종속적 연결어미).
주033)
중생(衆生):중생(衆生)을. ‘’은 목적격조사. 여기서의 ‘중생’은 날 파리와 같은 거미줄에 걸리는 곤충 등을 이른다.
주034)
잡거시니:잡거니. 잡-[捕獲]+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35)
공교(工巧):공교(工巧)는. ‘’은 보조사. ‘공교’는 솜씨 등이 재치 있고 교묘하다는 뜻이다.
주036)
듀화:규화(葵花)는. 해바라기는. ‘’은 보조사. 여기서 ‘듀화’는 식물 ‘해바라기’를 가리키는데, 당시의 문헌에서는 ‘접시꽃’과 ‘해바라기’를 일러 ‘규화’라고 했다. 그런데 이 책에서만 유일하게 ‘듀화’라 부르고 있다.
주037)
누니:눈이. 눈[眼]+이(주격조사).
주038)
업거시니:없거니. 없-[無]+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39)
므스글:무엇을. 므슥[何](대명사)+을(목적격조사).
주040)
가지고셔:가지고서. 가지-[持]+고(대등적 연결어미)+셔(보조사). 보조사 ‘셔’는 어미 ‘-고, -아/어’ 등의 아래에 쓰이어 그 말뜻을 분명하게 나타내 주는 기능을 한다. ‘-고셔’는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차례로 이어질 때, 한 동작을 끝내고 다른 동작으로 이어가는 뜻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이다.
주041)
:해를. [日]+(목적격조사).
주042)
조차:좇아. 좇-[隨/追]+아(종속적 연결어미).
주043)
도라오며:돌아오며. 도라오-[歸來]+며(대등적 연결어미). ‘도라오-’는 ‘돌-[廻]+아(보조적 연결어미)#오-[來]’로 분석되는 합성어이다.
주044)
반:파초가. 반츄[芭蕉]+ㅣ(주격조사). 당시에는 ‘반쵸’가 주로 쓰였다, ‘반츄’로 표기된 것은 이 책이 유일하다. ¶반쵸 즛디허  즙〈구간 1:97〉. 반쵸 디허 자연니 난 즙 서 되와〈우역방 9〉.
주045)
업거시니:없거니. 없-[無]+거(확인법 선어말어미)+시(비존대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46)
인(因)야:인(因)하여. 말미암아. 인(因)-+야(이유, 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47)
울엣:우레의. 천둥의. 울에[天動]+ㅅ(관형격조사).
주048)
개(開)뇨:개화(開花)하느냐. 피느냐. 개(開)-+(직설법선어말어미)+뇨(‘라’체의 1, 3인칭 설명 의문형 종결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뇨’는 ‘-니 오’의 축약형이다. ‘-오’는 ‘-니-’가 ‘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에서 문법화한 것이기 때문에 의문형 종결어미 ‘-고’의 [ㄱ]이 약화된 표기이다.
주049)
완연(宛然):완연(宛然)한. 뚜렷한. ‘元然’은 ‘宛然’의 잘못이다.
주050)
히:땅이. ㅎ[地]+이(주격조사).
주051)
업스니라:없느니라. 없는 것이다. 없-[無]+으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52)
미혹(迷惑):미혹(迷惑)한. ‘미혹(迷惑)’은 사(事)와 이(理)의 잘못됨과 사리에 밝지 못한 것을 이른다. 곧 정신이 헷갈려 갈팡질팡 헤맴이다.
주053)
중생(衆生):중생은. ‘’은 보조사. ‘중생(衆生)’은 범어 ‘Sattva(薩埵)’를 옮긴 말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여러 생을 윤회한다.’ ‘여럿이 함께 산다.’ ‘많은 연(緣)이 화합하여 비로소 생(生)한다.’ 등의 뜻이 있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
주054)
아로미:앎이. 식(識)이. 알-[識]+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55)
업서:없어서. 없어. 없-[無]+어(이유, 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56)
낫분:나뿐. 나만이. 나[我]+(단독 접미사).
주057)
아노라:아노라. 안다. 알-[識]+(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인칭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58)
니라: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