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진여세계(眞如世界)
  • 땅의 만물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땅의 만물 1


이 주001)
이:
이를. 이[是]+(목적격조사).
衆生이 주002)
중생(衆生)이:
중생(衆生)이. 중생들이. ‘이’는 주격조사. ‘중생’은 범어 ‘Sattva(薩埵)’를 옮긴 말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른다. ‘여러 생을 윤회한다.’ ‘여럿이 함께 산다.’ ‘많은 연(緣)이 화합하여 비로소 생(生)한다.’ 등의 뜻이 있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
너교 주003)
너교:
여기되. 너기-[擬]+오/우(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고 주004)
고:
곯은. 골-[腐]+(관형사형어미).
더러운 주005)
더러운:
더-/더러우-[汚穢]+은/ㄴ(관형사형어미).
거시라 주006)
거시라:
것이라. 것이라고.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너기거든 주007)
너기거든:
여기거든. 여기는데. 너기-[擬]+거든(조건의 종속적 연결어미). 이 어미[-거든/아(어든)/야]는 동사 어간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이른바 형태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이형태이다.
부텨 주008)
부텨:
부처는. 부텨[佛]+(보조사). ‘부텨’는 불교의 교조(敎祖)인 석가모니부처, 곧 대도(大道)를 깨친 성자(聖者)를 이른다. 미망(迷妄)을 여의어 스스로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달은 자각(自覺)과 다른 중생을 교도하여 깨닫게 하는 각타(覺他)의 2행(行)을 원만히 성취한 분이란 뜻이다. 처음에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에 국한해서 쓰던 말이었으나 나중에 불교의 교리(敎理)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보샤 주009)
보샤:
보시되, 보시기를. 보-[見]+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우(설명·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모도아 주010)
모도아:
모아서. 모도-[合]+아(연결어미).
淸淨 주011)
청정(淸淨):
청정(淸淨). 청정한. ‘청정’은 범어로 ‘Śuddhā’라고 한다.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함을 이른다. 자성청정(自性淸淨)과 이구청정(離垢淸淨)의 두 종류가 있다.
法身佛리라 주012)
법신불(法身佛)리라:
법신불(法身佛)이라고. ‘-리라’에서 ‘-리’는 서술격 ‘-이라’에 선행체언의 말음 [ㄹ]이 거듭 적힌 이른바 중철표기이다. ‘-라’는 ‘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이다. ‘법신불’은 범어로 ‘dharma-kāya’라고 한다. 삼신불(三身佛)의 하나로 법계(法界)의 이치(理致)와 일치하는 부처님의 진신(眞身)이나 그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이른다. 곧 법의 성품인 만유 제법의 본체를 법신이라 하고, 법성(法性)에 각지(覺知)하는 덕이 있다고 하여 불(佛)이라고 하는 것이다. 법계신(法界身) 또는 진여(眞如)라고도 한다.
시니 주013)
시니:
하시느니. 하시느니라. -(인용동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해 주014)
해:
땅에. 땅의.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萬物 當야 주015)
당(當)야:
당(當)해서. 대응해서. 상대해서. 당(當)-+야(보조적 연결어미).
보건댄 주016)
보건댄:
보면. 보건댄. 보-(보조동사)+건댄(조건의 종속적 연결어미).
七大로셔 주017)
칠대(七大)로셔:
칠대(七大)로서. ‘로셔’는 자격을 가리키는 부사격조사이다. ‘칠대’는 모든 법의 체성(體性)을 일곱 종류로 나눈 것이다. 곧 만유(萬有) 생성의 요소인 지대(地大), 수대(水大), 화대(火大), 풍대(風大), 공대(空大), 견대(見大), 식대(識大) 등 7종(種)을 이른다.
나 地大니 주018)
지대(地大)니:
지대(地大)이니. ‘지대’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인 사대(四大), 곧 지(地), 수(水), 화(火), 풍(風) 중 첫 번째 요소인 흙을 이른다. 단단함을 그 본질로 하고, ‘막힘[質礙]’과 ‘보전해서 가짐[持]’을 작용으로 한다.
몰애와 주019)
몰애와:
모래와. 몰애[沙]+과/와(접속조사). ‘애’는 ‘*몰개’의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와’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역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돌콰 주020)
돌콰:
돌은. 돌ㅎ[石]+과(접속조사)+(보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 주021)
:
흙에. [土]+(부사격조사). ‘’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자펴 주022)
자펴:
잡혀. 잡히어. 잡-[執]+히(피동접미사)+어(연결어미).
잇니 주023)
잇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그 주024)
그:
그것을. 그[其]+(목적격조사).
히라 주025)
히라:
땅이라. 땅이라고. ㅎ[地]+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고 둘재 주026)
둘재:
둘째는. 둘재[第二]+(보조사). 차례수사 ‘둘째’를 가리키는 말이다. 15세기 중·후기 문헌에는 ‘둘차히, 둘차, 둘채’ 등이 쓰이고, 16세기 문헌에는 여기서처럼 ‘둘재’가 쓰였다. 그러나 이 책의 바로 앞면에는 다른 문헌에 그 예가 드문 ‘두울재’가 쓰이기도 했다.
므리니 주027)
므리니:
물이니. 믈[水]+이(서술격조사)+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믈와 주028)
믈와:
물과. 믈[水]+과/와(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비와

칠대만법:3ㄱ

이슬와 주029)
이슬와:
이슬과. 이슬[露]+과/와(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내콰 주030)
내콰:
냇물과. 내ㅎ[川]+과(접속조사).
믈괘오 주031)
믈괘오:
샘물이고. 물[泉]+과(접속조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과’는 마지막 명사 다음에 온 접속조사이다. 중세국어 시기의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이를 중생(衆生)이 생각하되, 곯은 더러운 것이라고 여기는 데 비해, 부처는 보시되, 다 모아서 청정(淸淨) 법신불(法身佛)이라고 하시느니라. 땅의 만물에 대응해서 보면, 칠대(七大)로서 하나
(=첫째)
는 지대(地大)이니 모래와 돌은 흙에 잡혀 있으니 그것을 땅이라 한다. 둘째는 물이니 물과 비와 이슬과 냇물과 샘물이고,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이를. 이[是]+(목적격조사).
주002)
중생(衆生)이:중생(衆生)이. 중생들이. ‘이’는 주격조사. ‘중생’은 범어 ‘Sattva(薩埵)’를 옮긴 말로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명 가진 것을 통틀어 이른다. ‘여러 생을 윤회한다.’ ‘여럿이 함께 산다.’ ‘많은 연(緣)이 화합하여 비로소 생(生)한다.’ 등의 뜻이 있다. 곧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유정(有情) 또는 제유(諸有).
주003)
너교:여기되. 너기-[擬]+오/우(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4)
고:곯은. 골-[腐]+(관형사형어미).
주005)
더러운:더-/더러우-[汚穢]+은/ㄴ(관형사형어미).
주006)
거시라:것이라. 것이라고. 것(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07)
너기거든:여기거든. 여기는데. 너기-[擬]+거든(조건의 종속적 연결어미). 이 어미[-거든/아(어든)/야]는 동사 어간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이른바 형태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이형태이다.
주008)
부텨:부처는. 부텨[佛]+(보조사). ‘부텨’는 불교의 교조(敎祖)인 석가모니부처, 곧 대도(大道)를 깨친 성자(聖者)를 이른다. 미망(迷妄)을 여의어 스스로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달은 자각(自覺)과 다른 중생을 교도하여 깨닫게 하는 각타(覺他)의 2행(行)을 원만히 성취한 분이란 뜻이다. 처음에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에 국한해서 쓰던 말이었으나 나중에 불교의 교리(敎理)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주009)
보샤:보시되, 보시기를. 보-[見]+샤(존경법 선어말어미)+오/우(설명·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0)
모도아:모아서. 모도-[合]+아(연결어미).
주011)
청정(淸淨):청정(淸淨). 청정한. ‘청정’은 범어로 ‘Śuddhā’라고 한다.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함을 이른다. 자성청정(自性淸淨)과 이구청정(離垢淸淨)의 두 종류가 있다.
주012)
법신불(法身佛)리라:법신불(法身佛)이라고. ‘-리라’에서 ‘-리’는 서술격 ‘-이라’에 선행체언의 말음 [ㄹ]이 거듭 적힌 이른바 중철표기이다. ‘-라’는 ‘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이다. ‘법신불’은 범어로 ‘dharma-kāya’라고 한다. 삼신불(三身佛)의 하나로 법계(法界)의 이치(理致)와 일치하는 부처님의 진신(眞身)이나 그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이른다. 곧 법의 성품인 만유 제법의 본체를 법신이라 하고, 법성(法性)에 각지(覺知)하는 덕이 있다고 하여 불(佛)이라고 하는 것이다. 법계신(法界身) 또는 진여(眞如)라고도 한다.
주013)
시니:하시느니. 하시느니라. -(인용동사)+시(존경법 선어말어미)+(직설법 선어말어미)+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4)
해:땅에. 땅의.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015)
당(當)야:당(當)해서. 대응해서. 상대해서. 당(當)-+야(보조적 연결어미).
주016)
보건댄:보면. 보건댄. 보-(보조동사)+건댄(조건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7)
칠대(七大)로셔:칠대(七大)로서. ‘로셔’는 자격을 가리키는 부사격조사이다. ‘칠대’는 모든 법의 체성(體性)을 일곱 종류로 나눈 것이다. 곧 만유(萬有) 생성의 요소인 지대(地大), 수대(水大), 화대(火大), 풍대(風大), 공대(空大), 견대(見大), 식대(識大) 등 7종(種)을 이른다.
주018)
지대(地大)니:지대(地大)이니. ‘지대’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소인 사대(四大), 곧 지(地), 수(水), 화(火), 풍(風) 중 첫 번째 요소인 흙을 이른다. 단단함을 그 본질로 하고, ‘막힘[質礙]’과 ‘보전해서 가짐[持]’을 작용으로 한다.
주019)
몰애와:모래와. 몰애[沙]+과/와(접속조사). ‘애’는 ‘*몰개’의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와’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역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20)
돌콰:돌은. 돌ㅎ[石]+과(접속조사)+(보조사). 중세국어 시기에는 명사 나열의 경우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통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주021)
:흙에. [土]+(부사격조사). ‘’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2)
자펴:잡혀. 잡히어. 잡-[執]+히(피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23)
잇니: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24)
그:그것을. 그[其]+(목적격조사).
주025)
히라:땅이라. 땅이라고. ㅎ[地]+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6)
둘재:둘째는. 둘재[第二]+(보조사). 차례수사 ‘둘째’를 가리키는 말이다. 15세기 중·후기 문헌에는 ‘둘차히, 둘차, 둘채’ 등이 쓰이고, 16세기 문헌에는 여기서처럼 ‘둘재’가 쓰였다. 그러나 이 책의 바로 앞면에는 다른 문헌에 그 예가 드문 ‘두울재’가 쓰이기도 했다.
주027)
므리니:물이니. 믈[水]+이(서술격조사)+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28)
믈와:물과. 믈[水]+과/와(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
주029)
이슬와:이슬과. 이슬[露]+과/와(접속조사). ‘와’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30)
내콰:냇물과. 내ㅎ[川]+과(접속조사).
주031)
믈괘오:샘물이고. 물[泉]+과(접속조사)+ㅣ(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과’는 마지막 명사 다음에 온 접속조사이다. 중세국어 시기의 일반적인 현상이었다.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