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진여세계(眞如世界)
  • 허공(虛空)-풍대(風大) 1
메뉴닫기 메뉴열기

허공(虛空)-풍대(風大) 1


넷재 주001)
넷재:
넷째는. 넷재[第四]+(보조사).
風大니 주002)
풍대(風大)니:
풍대(風大)이니. 풍대(風大)+Ø(서술격조사)+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風大란 주003)
풍대(風大)란:
풍대(風大)라고 하는. ‘란’은 당시에 주로 보조사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서술격 다음에서 ‘~라는’ 또는 ‘~라고 하는’이 줄어서 된 말로 뒤의 사실을 규정하는 뜻을 나타낸다. 현대국어에서 확인의 뜻을 보이는 서술격조사 ‘이란/란’에 가까운 기능을 한다. ‘풍대’는 바람[風]이 물질을 구성하는 한 원소로서, 움직이는 것을 자성(自性)으로 하고, 만물을 기르는 작용이 있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마 주004)
마:
말은. 말[言]+(보조사).
미 주005)
미:
바람이. [風]+이(주격조사).
므(→크)닷 주006)
크닷:
크다는. 크-[大]+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여기서의 ‘ㅅ’은 평서형 종결어미의 뒤에 통합되어 인용절을 관형어로 만들어서 다음에 오는 체언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므닷’은 ‘크닷’의 오각임.
마리라 주007)
마리라:
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미라 주008)
미라:
바람이라고. [風]+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종결어미).
주009)
혼:
한. -(인용동사)+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여기서의 ‘-오/우-’는 관형사형어미 앞에 온 이른바 ‘대상 표시법’이다.
거슨 주010)
거슨:
것은. 것(의존명사)+은(보조사).
사게 주011)
사게:
사람에게. 사[人]+게(상대 부사격조사).
보겐(→건)댄 주012)
보건댄:
보건댄. 본즉. 보-[見]+건댄(설명, 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보겐댄’은 ‘보건댄’의 오각이다.
고히며 주013)
고히며:
코이며. 코며. 고ㅎ[鼻]+이며(접속조사).
이브로 주014)
이브로:
입으로. 입[口]+으로(도구 부사격조사).
나며 주015)
나며:
나들며. 나-[出入]+며(대등적 연결어미).
運動며 주016)
운동(運動)며:
운동(運動)하며. 운동(運動)-+며(대등적 연결어미).
호미 주017)
호미:
함이. 하는 것이. -+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8)
긔:
그것이. 그[其]+ㅣ(주격조사).
風大라 사미 주019)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사ᄃᆞ미’, ‘사ᄅᆞ비’는 ‘사ᄅᆞ미’의 오각이다.
運動 몯고 주020)
몯고:
못하고. 몯-[不]+고(대등적 연결어미).
고히며 이브로 김곳 주021)
김곳:
김이. 김만. 김[口澤]+고/옷(강세, 단독의 보조사).
아니 나들면 주022)
나들면:
나들면. 나들-[出入]+면(종속적 연결어미).
사(→)미 죽다 고 주023)
죽다 고:
죽었다 하고. ‘죽다’는 동사의 부정법(不定法)으로 과거시제를 보인다. ‘-’는 인용동사.
  주024)
:
봄 바람은. 봄[春]+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萬物 내오 주025)
내오:
내고. 내-[生/出]+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음절 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녀  주026)
녀 :
여름 바람은. 녀름[夏]+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萬物

칠대만법:7ㄱ

길오고 주027)
길오고:
기르고. 길-[長]+오(사동접미사)+고(대등적 연결어미).
  주028)
 :
가을 바람은. [秋]+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萬物를 結實고 주029)
결실(結實)고:
결실(結實)하고. 열매를 맺고.
겨  주030)
겨 :
겨울 바람은. 겨[冬]+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萬物를 간슈니 주031)
간슈니:
간수하느니. 간슈(看守)-+(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간슈-’는 ‘보살피고 지키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어 ‘看守-’에서 온 말로 보이는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간슈-’로 적혔다. 일찍부터 널리 쓰여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벌써 우리말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의 반영일 것이다.
이런 미 하콰 뫄(→콰) 시예 주032)
시예:
사이에. 사이에서. 시[間]+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시’는 같은 책의 ‘’나 이후의 ‘이’ 등으로 보아 경상도방언형의 반영으로 보인다.
뷘  주033)
뷘 :
빈 땅. 빈 땅이. 뷔-[空]+ㄴ(관형사형어미) [地].
업시 주034)
업시:
없이. 없-[無]+이(부사파생접미사).
야 주035)
야:
가득하여. -[滿]+아/어/야(보조적 연결어미).
이쇼 주036)
이쇼:
있되. 이시-[有]+오/우(설명·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사비(→미) 다 모니라 주037)
모니라:
모르느니라. 모르는 것이다. 모-[不識]+(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넷째는 풍대(風大)이니, 풍대라고 하는 말은 바람이 크다는 말이다. 바람이라고 한 것은 사람에게 보건대 코며 입으로 김이 나들고 운동하고 하는 것이 그것이 풍대이다. 사람이 운동을 못하고 코며 입으로 김이 아니 나들면 사람이 죽었다고 한다. 봄 바람은 만물을 내고, 여름 바람은 만물을 기르고, 가을 바람은 만물을 결실(結實)하고, 겨울 바람은 만물을 간수(看守)하느니, 이런 바람이 하늘과 땅의 사이에 빈 땅 없이 가득하여 있는데, 사람이 다 모르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넷재:넷째는. 넷재[第四]+(보조사).
주002)
풍대(風大)니:풍대(風大)이니. 풍대(風大)+Ø(서술격조사)+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3)
풍대(風大)란:풍대(風大)라고 하는. ‘란’은 당시에 주로 보조사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서술격 다음에서 ‘~라는’ 또는 ‘~라고 하는’이 줄어서 된 말로 뒤의 사실을 규정하는 뜻을 나타낸다. 현대국어에서 확인의 뜻을 보이는 서술격조사 ‘이란/란’에 가까운 기능을 한다. ‘풍대’는 바람[風]이 물질을 구성하는 한 원소로서, 움직이는 것을 자성(自性)으로 하고, 만물을 기르는 작용이 있다고 하여 이렇게 부른다.
주004)
마:말은. 말[言]+(보조사).
주005)
미:바람이. [風]+이(주격조사).
주006)
크닷:크다는. 크-[大]+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여기서의 ‘ㅅ’은 평서형 종결어미의 뒤에 통합되어 인용절을 관형어로 만들어서 다음에 오는 체언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므닷’은 ‘크닷’의 오각임.
주007)
마리라: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8)
미라:바람이라고. [風]+이(서술격조사)+라(‘라’체의 평서형종결어미).
주009)
혼:한. -(인용동사)+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여기서의 ‘-오/우-’는 관형사형어미 앞에 온 이른바 ‘대상 표시법’이다.
주010)
거슨:것은. 것(의존명사)+은(보조사).
주011)
사게:사람에게. 사[人]+게(상대 부사격조사).
주012)
보건댄:보건댄. 본즉. 보-[見]+건댄(설명, 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보겐댄’은 ‘보건댄’의 오각이다.
주013)
고히며:코이며. 코며. 고ㅎ[鼻]+이며(접속조사).
주014)
이브로:입으로. 입[口]+으로(도구 부사격조사).
주015)
나며:나들며. 나-[出入]+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6)
운동(運動)며:운동(運動)하며. 운동(運動)-+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7)
호미:함이. 하는 것이. -+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8)
긔:그것이. 그[其]+ㅣ(주격조사).
주019)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사ᄃᆞ미’, ‘사ᄅᆞ비’는 ‘사ᄅᆞ미’의 오각이다.
주020)
몯고:못하고. 몯-[不]+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1)
김곳:김이. 김만. 김[口澤]+고/옷(강세, 단독의 보조사).
주022)
나들면:나들면. 나들-[出入]+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23)
죽다 고:죽었다 하고. ‘죽다’는 동사의 부정법(不定法)으로 과거시제를 보인다. ‘-’는 인용동사.
주024)
:봄 바람은. 봄[春]+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주025)
내오:내고. 내-[生/出]+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음절 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26)
녀 :여름 바람은. 녀름[夏]+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주027)
길오고:기르고. 길-[長]+오(사동접미사)+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8)
 :가을 바람은. [秋]+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주029)
결실(結實)고:결실(結實)하고. 열매를 맺고.
주030)
겨 :겨울 바람은. 겨[冬]+ㅅ(관형격조사) [風]+(보조사).
주031)
간슈니:간수하느니. 간슈(看守)-+(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간슈-’는 ‘보살피고 지키다,’의 의미를 가진 한자어 ‘看守-’에서 온 말로 보이는데, ‘훈민정음’ 초기 문헌부터 ‘간슈-’로 적혔다. 일찍부터 널리 쓰여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 벌써 우리말로 인식되었다는 사실의 반영일 것이다.
주032)
시예:사이에. 사이에서. 시[間]+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시’는 같은 책의 ‘’나 이후의 ‘이’ 등으로 보아 경상도방언형의 반영으로 보인다.
주033)
뷘 :빈 땅. 빈 땅이. 뷔-[空]+ㄴ(관형사형어미) [地].
주034)
업시:없이. 없-[無]+이(부사파생접미사).
주035)
야:가득하여. -[滿]+아/어/야(보조적 연결어미).
주036)
이쇼:있되. 이시-[有]+오/우(설명·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37)
모니라:모르느니라. 모르는 것이다. 모-[不識]+(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