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삼신여래(三身如來)
  • 삼신여래 014
메뉴닫기 메뉴열기

삼신여래 014


이러틋  주001)
이러틋 :
이렇듯 한. 이러-[如此]+(비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ㄴ(관형사형어미). ‘-’이 부사적 기능이 강하여 ‘이러틋’은 부사로 쓰였다.
이 주002)
이:
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아모 뉘예 주003)
아모 뉘예:
아무 때에. 아모[某] 뉘[時]+예(부사격조사).
始作야 아모 뉘예 리라 주004)
리라:
마칠 것이다. 마치리다. -[終了]+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몯 들 주005)
몯 들:
못할 뜻을. 몯-[不]+ㄹ(관형사형어미) [意]+을(목적격조사).
虛空이 다 머구므락 비와락 주006)
머구므락 비와락:
머금으락 뱉으락. 머굼-[含]+으락(반복의 종속적 연결어미) 비왙-[吐]+락(반복의 종속적 연결어미). ‘-으락 ~-으락’은 종속적 연결어미가 진행상을 보이는 것으로 동시적 동작의 반복을 나타낸다.
호 주007)
호:
하되. -+오/우(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니 너(→니) 주008)
니 니:
다니 쓰니. -[甘]+니(연결어미) -[苦]+니(연결어미). ‘ᄡᅳ너’는 ‘ᄡᅳ니’의 오각이다.
디 주009)
디:
가리지. -[分別]+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라 주010)
아니니라:
아니하느니라. 아니-[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그럴 주011)
그럴:
그러므로. 그럴[故](부사).
虛空 주012)
허공(虛空):
허공(虛空)을. ‘’은 목적격조사이다.
甘露王如來라 주013)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라: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라고. ‘-라’는 ‘∅(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종결어미)’로 분석된다.
니라 주014)
니라:
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다가 주015)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이 虛空이 댄(→낸) 주016)
낸:
나인 것을. 나인 줄을. 나[我]+ㅣ(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댄ᄃᆞᆯ’은 ‘낸ᄃᆞᆯ’의 오각이다.
알면 주017)
내:
내가. 나[我]+ㅣ(주격조사). 주격통합형과 관형격통합형이 같다. 15세기 문헌에서는 성조로 구분했다. 주격은 거성, 관형격은 평성 표시를 했다.
甘露王如來로다 주018)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로다: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도다. ‘-로다’는 ‘∅+도/로(감동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虛空이 므슴 주019)
므슴:
무슨. 므슴[何](의문관형사).
모기 몌여 주020)
모기 몌여:
목이 메어. 목[喉]+이(주격조사) 몌-[咽]+어(종속적 연결어미).
甘露 마시 주021)
감로(甘露) 마시:
감로(甘露)의 맛이.
아니리오 주022)
아니리오:
아니겠느냐.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오(‘라’체의 1, 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이 알 주023)
이 알:
이 앞에. 이 앞에서. 이[是](지시관형사)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특이처격어이다.
닐어 으(→오)뎌 주024)
닐어 오뎌:
일으키어 오는구나. 닐-[起]+어(연결어미) 오-[來]+(직설법 선어말어미)+ㄴ뎌(감탄형 종결어미). ‘-ㄴ뎌’는 동명사어미 ‘-ㄴ’과 의존명사 ‘’의 활용형이 화석화(化石化)한 것이다. ‘으ᄂᆞᆫ뎌’는 ‘오ᄂᆞᆫ뎌’의 오각이다.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그런데〉 이렇듯 한 일을 아무 때에 시작하여 아무 때에 마칠 것이라고 못할 것이니라. 〈그〉 뜻을 허공(虛空)이 다 머금으락 뱉으락 하되, 다니 쓰니 가리지 아니하느니라. 그러므로 허공을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라고 하느니라. 만약 이 허공이 나인 것을 알면, 내가 감로왕여래이다. 허공이 무슨 목이 메어 감로(甘露) 맛이 아니겠느냐? 이 앞에 일으키어 오는 것이로구나!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러틋 :이렇듯 한. 이러-[如此]+(비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ㄴ(관형사형어미). ‘-’이 부사적 기능이 강하여 ‘이러틋’은 부사로 쓰였다.
주002)
이: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주003)
아모 뉘예:아무 때에. 아모[某] 뉘[時]+예(부사격조사).
주004)
리라:마칠 것이다. 마치리다. -[終了]+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05)
몯 들:못할 뜻을. 몯-[不]+ㄹ(관형사형어미) [意]+을(목적격조사).
주006)
머구므락 비와락:머금으락 뱉으락. 머굼-[含]+으락(반복의 종속적 연결어미) 비왙-[吐]+락(반복의 종속적 연결어미). ‘-으락 ~-으락’은 종속적 연결어미가 진행상을 보이는 것으로 동시적 동작의 반복을 나타낸다.
주007)
호:하되. -+오/우(인용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8)
니 니:다니 쓰니. -[甘]+니(연결어미) -[苦]+니(연결어미). ‘ᄡᅳ너’는 ‘ᄡᅳ니’의 오각이다.
주009)
디:가리지. -[分別]+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0)
아니니라:아니하느니라. 아니-[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11)
그럴:그러므로. 그럴[故](부사).
주012)
허공(虛空):허공(虛空)을. ‘’은 목적격조사이다.
주013)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라: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라고. ‘-라’는 ‘∅(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4)
니라: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인용동사)+(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5)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16)
낸:나인 것을. 나인 줄을. 나[我]+ㅣ(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댄ᄃᆞᆯ’은 ‘낸ᄃᆞᆯ’의 오각이다.
주017)
내:내가. 나[我]+ㅣ(주격조사). 주격통합형과 관형격통합형이 같다. 15세기 문헌에서는 성조로 구분했다. 주격은 거성, 관형격은 평성 표시를 했다.
주018)
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로다:감로왕여래(甘露王如來)도다. ‘-로다’는 ‘∅+도/로(감동법 선어말어미)+다(평서형 종결어미)’.
주019)
므슴:무슨. 므슴[何](의문관형사).
주020)
모기 몌여:목이 메어. 목[喉]+이(주격조사) 몌-[咽]+어(종속적 연결어미).
주021)
감로(甘露) 마시:감로(甘露)의 맛이.
주022)
아니리오:아니겠느냐. 아니-[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오(‘라’체의 1, 3인칭 설명의문형어미). 의문형 종결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23)
이 알:이 앞에. 이 앞에서. 이[是](지시관형사) 앒[前]+(처소부사격조사). ‘앒’은 부사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특이처격어이다.
주024)
닐어 오뎌:일으키어 오는구나. 닐-[起]+어(연결어미) 오-[來]+(직설법 선어말어미)+ㄴ뎌(감탄형 종결어미). ‘-ㄴ뎌’는 동명사어미 ‘-ㄴ’과 의존명사 ‘’의 활용형이 화석화(化石化)한 것이다. ‘으ᄂᆞᆫ뎌’는 ‘오ᄂᆞᆫ뎌’의 오각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