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성적등지(惺寂等持)
  • 성적등지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성적등지 005


부텨 욀 果報 주001)
부텨 욀 과보(果報):
부처가 될 과보(果報)는. 부텨[佛] 외-[化]+ㄹ(관형사형어미) 과보(果報)+(보조사). ‘부처’는 처음에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에 국한해서 쓰던 말이었으나 나중에 불교의 교리(敎理)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과보(果報)’는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善惡)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곧 인과응보(因果應報)이다.
慈悲왼 이리나 주002)
자비(慈悲)왼 이리나:
자비(慈悲)로운 일이나. 자비(慈悲)외-+ㄴ(관형사형어미) 일[事]+이(서술격조사)+나(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 접미사 ‘-외다’는 이보다 앞선 시기에 ‘-다’로 쓰였다. ¶三界 다 受苦니〈월석 2:38〉. 染心이 受苦외요미〈원각 하 삼지일:83〉.
慈 로 주003)
자(慈) 로:
인자(慈)한 마음으로. 자(慈)-+ㄴ(관형사형어미) [心]+로(부사격조사). 여기서의 ‘자(慈)-’는 ‘마음이 어질고 자애롭다는 의미’를 가진 말인 ‘인자(仁慈)-’를 줄인 말로 옮기는 것이 적절할 듯하다.
어린 사 주004)
어린 사:
어리석은 사람을. 어리-[愚]+ㄴ(관형사형어미) 사[人]+(목적겨조사).
쳐 주005)
쳐:
가르쳐. 가치-[敎]+어(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三途애 주006)
삼도(三途)애:
삼도(三途)에. ‘애’는 부사격조사. ‘삼도’는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을 이른다. 다른 말로는 화도(火途), 도도(刀途), 혈도(血途)라고도 한다.
가디 아니케 주007)
가디 아니케:
가지 아니하게. 가-[去]+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게(보조적 연결어미).
 시라 주008)
 시라:
하는 것이다. -+ㄹ(관형사형어미)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三途ㅣ라 논 마 주009)
논 마:
하는 말은.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 표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말[言]+(보조사).
세 길히라 주010)
세 길히라:
세 길이라고. 세 가지 길이라고. 세[三](관형사) 길ㅎ[途]+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마리라 주011)
 마리라:
하는 말이다. -(인용동사)+(관형사형어미)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나 주012)
나:
하나는. 나ㅎ[一]+(보조사).
地獄 다 길히오 주013)
지옥(地獄) 다 길히오:
지옥(地獄)에 닿은 길이고. 지옥(地獄) 닿-[接]+(관형사형어미) 길ㅎ[道]+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지옥(地獄)’은 범어로 ‘Niraka’ 또는 ‘Niraya’라고 한다. 이승에서 악업(惡業)을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간다고 하는 온갖 고통으로 가득한 세계를 이른다.
나 餓鬼 다 길히오 주014)
아귀(餓鬼) 다 길히오:
아귀(餓鬼)에 닿은 길이고. ‘아귀’는 범어 ‘Preta’를 의역한 말이다. 전생(前生)에 지은 죄로 죽은 뒤에 아귀도(餓鬼道)에서 태어난 귀신을 이른다.
나 畜生 다 길히라 주015)
축생(畜生) 다 길히라:
축생(畜生)에 닿은 길이다.
이 세 길 사마다 슬희여 니라 주016)
슬희여 니라:
싫어해 하느니라. 슬희-[厭]+여(연결어미)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地獄 嗔心로 주017)
진심(嗔心)로:
진심(嗔心)으로. ‘로’는 도구 부사격조사. 진심은 삼독(三毒)의 하나로 ‘화를 내는 마음’이다.
感結고 주018)
감결(感結)고:
감결(感結)하고. ‘감결’은 마음에 느끼고 맺혀있다는 말이다.
餓鬼 貪心로 주019)
탐심(貪心)로:
탐심(貪心)으로. ‘탐심’은 삼독(三毒)의 하나로 ‘부당한 욕심으로 탐을 내는 마음’이다.
感結고

칠대만법:21ㄱ

畜生 愚癡心로 주020)
우치심(愚癡心)로:
우치심(愚癡心)으로. ‘로’는 도구 부사격조사. ‘우치심’은 사상(事象)에 의혹되어 진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과 못난 마음을 이르는 말이다.
感結니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부처가 될 과보(果報)는 자비로운 일이나 인자한 마음으로 어리석은 사람을 가르쳐 삼도(三途)에 가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다. 삼도라고 하는 말은 세 〈가지〉 길이라고 하는 말이다. 하나는 지옥(地獄)에 닿은 길이고, 하나는 아귀(餓鬼)에 닿은 길이고, 하나는 축생(畜生)에 닿은 길이다. 이 세 〈가지〉 길은 사람마다 싫어해 하느니라. 지옥은 진심(嗔心)으로 감결(減結)하고, 아귀는 탐심(貪心)으로 감결하고, 축생은 우치심(愚癡心)으로 감결하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텨 욀 과보(果報):부처가 될 과보(果報)는. 부텨[佛] 외-[化]+ㄹ(관형사형어미) 과보(果報)+(보조사). ‘부처’는 처음에는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에 국한해서 쓰던 말이었으나 나중에 불교의 교리(敎理)가 발달함에 따라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이 있게 되고, 시방(十方)의 모든 부처님으로 발전하여 그 수가 많아지게 되었다. 역사적 인물이 점점 이상화(理想化)되어 원만한 인격적 존재로 확대된 것이다. ‘과보(果報)’는 과거 또는 전생의 선악(善惡) 인연에 따라 뒷날 길흉화복(吉凶禍福)의 갚음을 받게 됨을 이르는 말이다. 곧 인과응보(因果應報)이다.
주002)
자비(慈悲)왼 이리나:자비(慈悲)로운 일이나. 자비(慈悲)외-+ㄴ(관형사형어미) 일[事]+이(서술격조사)+나(양보의 종속적 연결어미). 접미사 ‘-외다’는 이보다 앞선 시기에 ‘-다’로 쓰였다. ¶三界 다 受苦니〈월석 2:38〉. 染心이 受苦외요미〈원각 하 삼지일:83〉.
주003)
자(慈) 로:인자(慈)한 마음으로. 자(慈)-+ㄴ(관형사형어미) [心]+로(부사격조사). 여기서의 ‘자(慈)-’는 ‘마음이 어질고 자애롭다는 의미’를 가진 말인 ‘인자(仁慈)-’를 줄인 말로 옮기는 것이 적절할 듯하다.
주004)
어린 사:어리석은 사람을. 어리-[愚]+ㄴ(관형사형어미) 사[人]+(목적겨조사).
주005)
쳐:가르쳐. 가치-[敎]+어(원인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6)
삼도(三途)애:삼도(三途)에. ‘애’는 부사격조사. ‘삼도’는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을 이른다. 다른 말로는 화도(火途), 도도(刀途), 혈도(血途)라고도 한다.
주007)
가디 아니케:가지 아니하게. 가-[去]+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08)
 시라:하는 것이다. -+ㄹ(관형사형어미) (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09)
논 마:하는 말은.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대상 표시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말[言]+(보조사).
주010)
세 길히라:세 길이라고. 세 가지 길이라고. 세[三](관형사) 길ㅎ[途]+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1)
 마리라:하는 말이다. -(인용동사)+(관형사형어미)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2)
나:하나는. 나ㅎ[一]+(보조사).
주013)
지옥(地獄) 다 길히오:지옥(地獄)에 닿은 길이고. 지옥(地獄) 닿-[接]+(관형사형어미) 길ㅎ[道]+이(서술격조사)+고/오(대등적 연결어미).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지옥(地獄)’은 범어로 ‘Niraka’ 또는 ‘Niraya’라고 한다. 이승에서 악업(惡業)을 지은 사람이 죽어서 간다고 하는 온갖 고통으로 가득한 세계를 이른다.
주014)
아귀(餓鬼) 다 길히오:아귀(餓鬼)에 닿은 길이고. ‘아귀’는 범어 ‘Preta’를 의역한 말이다. 전생(前生)에 지은 죄로 죽은 뒤에 아귀도(餓鬼道)에서 태어난 귀신을 이른다.
주015)
축생(畜生) 다 길히라:축생(畜生)에 닿은 길이다.
주016)
슬희여 니라:싫어해 하느니라. 슬희-[厭]+여(연결어미)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7)
진심(嗔心)로:진심(嗔心)으로. ‘로’는 도구 부사격조사. 진심은 삼독(三毒)의 하나로 ‘화를 내는 마음’이다.
주018)
감결(感結)고:감결(感結)하고. ‘감결’은 마음에 느끼고 맺혀있다는 말이다.
주019)
탐심(貪心)로:탐심(貪心)으로. ‘탐심’은 삼독(三毒)의 하나로 ‘부당한 욕심으로 탐을 내는 마음’이다.
주020)
우치심(愚癡心)로:우치심(愚癡心)으로. ‘로’는 도구 부사격조사. ‘우치심’은 사상(事象)에 의혹되어 진리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과 못난 마음을 이르는 말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