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칠대만법

  • 역주 칠대만법
  • 진여세계(眞如世界)
  • 허공(虛空)-화대(火大) 1
메뉴닫기 메뉴열기

허공(虛空)-화대(火大) 1


섯(→셋)재 주001)
셋재:
셋째는. 셋재[第三]+(보조사). ‘섯’은 ‘셋’의 잘못임.
火大니 주002)
화대(火大)니:
화대이니. 화대(火大)+∅(서술격조사)+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火大란 주003)
화대(火大)란:
화대라고 하는. 화대란. ‘란’은 당시에 주로 보조사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서술격 다음에서 ‘~라는’ 또는 ‘~라고 하는’이 줄어서 된 말로 뒤의 사실을 규정하는 뜻을 나타낸다. 현대국어에서 확인의 뜻을 보이는 서술격조사 ‘이란/란’에 가까운 기능을 한다. ‘화대(火大)’는 물건을 익히는 작용이 있고, 뜨거움을 자성(自性)으로 하는 체(體)를 이른다. 물질계를 구성하는 한 원소이고, 온갖 사물 가운데에 두루 가득차 있다고 해서 대(大)라고 한다.
마 주004)
마:
말은. 말[言]+(보조사).
브리 주005)
브리:
불이. 블[火]+이(주격조사).
크맛(→닷) 주006)
크닷:
크다는. 크-[大]+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여기서의 ‘ㅅ’은 평서형 종결어미의 뒤에 통합되어 인용절을 관형어로 만들어서 다음에 오는 체언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크맛’은 ‘크닷’의 오각(誤刻)임.
마리라 주007)
마리라:
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블 업시 주008)
블 업시:
불이 없이. 불이 없이는. 블[火] 없-[無]+이(부사파생 접미사).
萬物리 주009)
만물(萬物)리:
만물(萬物)이. 만물(萬物)+이(주격조사). ‘주격조사’ 자리에 ‘리’가 온 것은 선행체언 말음의 [ㄹ]을 중철 표기했 때문이다. 앞선 시기에는 말음이 자음으로 끝난 어휘가 한자로 적히면 조사 통합 시에 분철 표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여기서의 중철 표기는 이 시기에 이르러 표기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萬物’의 표기는 비록 한자로 적혀 있다고 하더라도 당시 널리 쓰여서 그만큼 우리말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예일 것이다.
사디 주010)
사디:
살지. 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사-’는 [ㄷ] 앞에서 [ㄹ] 탈락을 반영한 표기이다.
몯리라 주011)
몯리라:
못할 것이다. 못하리다. 몯-[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브른 주012)
브른:
불은. 블[火]+은(보조사).
 주013)
:
따스한. -[溫]+ㄴ(관형사형어미).
氣韻이라 주014)
기운(氣韻)이라:
기운이다. ‘기운(氣韻)’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느낄 수 있는 어떤 현상 같은 것을 이른다. 이보다 앞서거나 조금 나중에 간행된 책 중에 한글로 ‘긔운’이라 쓴 예도 있다. 단독으로 쓰인 말이 아니고 파생어의 경우에서다. ¶다 긔운젓고 어디다 일컫니〈번소 6:25〉. 시쇽이 일라 긔운젓고 올타 디라〈소학 5:23〉.
이 브를 주015)
이 브를:
이 불을. 이[此](지시관형사) 블[火]+을(목적격조사).
도도와 주016)
도도아:
돋우어. 돋-[杲]+오(사동접미사)+아(연결어미). ‘도도와’는 ‘도도아’의 오각임.
볼딘댄 주017)
볼딘댄:
볼진댄. 보-[見]+ㄹ딘댄(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火鏡과 주018)
화경(火鏡)과:
화경(火鏡)과. ‘과’는 접속조사이다. ‘화경’은 불을 일으키는 거울이라는 뜻이므로 현재의 렌즈를 이르는 말이다.
과 주019)
과:
쑥을. [蓬/艾]+과(접속조사)+(목적격조사).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었다.
자바 光 주020)
광(光):
해의 빛을. ‘光’은 고유어 ‘’와 한자어 ‘光’의 합성어이다. ‘ㅅ’은 사잇소리 표기이고, ‘’은 목적격조사이다.
對야 주021)
대(對)야:
대하거든. 대면. 대(對)-+거든/아(어든)/야(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이 어미는 동사 어간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형태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이형태이다.
거울로셔 주022)
거울로셔:
거울로부터. 거울[火鏡]+로셔(유래 부사격조사).
브리 나니 주023)
나니:
나느니라. 나-[生]+(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거우 주024)
거우:
거울을. 거울[鏡]+(목적격조사). ‘거울[鏡]’은 이보다 앞선 시기인 15세기에는 ‘거우루’라 했고, 좀 뒤인 15세기 후반부터 ‘거우로’라 썼다. 이 책과 17세기 이후에 간행된 책에는 ‘거우로’와 ‘거울’이 주로 쓰였다. 이 책에도 ‘거우로’가 보인다. ¶ 각시 아 粉 노라 야 거우룰 보거늘〈석상 24:20〉. 늘거 료란  거우로애 아노니〈두초 21:41〉. 거울로 보 붓그리노라〈두중 1:50〉.
 고대 주025)
 고대:
한 곳에. [一](수관형사) 곧[處]+애(부사격조사).
자면 주026)
자면:
잡으면. 잡-[執]+면(종속적 연결어미).
브리  고대 나고 주027)
나고:
생기고. 나-[生]+고(대등적 연결어미).
열 고대 주028)
열 고대:
열 곳에. 열[十](수관형사) 곧[處]+애(부사격조사).
자면 브리 열 고대 나고 世界예 주029)
세계(世界)예:
세계(世界)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실현되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세계’는 중생이 사는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三世)와 동서남북, 상하, 피차(彼此)의 이 현상계(現象界)를 아울러 이른다.
이 주030)
이:
가지가지로. 종종이. 죵죵[種種]+이(부사파생접미사).
자면 世界예 뷘  업시 주031)
뷘  업시:
빈 땅이 없이. 뷔-[空]+ㄴ(관형사형어미) [地] 없-[無]+이(부사형전성어미).
고 브리 주032)
고 브리:
고른 불이. 고-[均]+ㄴ(관형사형어미) 블[火]+이(주격조사).
나리라 주033)
나리라:
나리다. 날 것이다. 나-[生]+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이 브른 로셔 주034)
로셔:
해로부터. [日]+로셔(유래 부사격조사).
오디 아니며 주035)
오디 아니며:
오지 아니하며. 오-[來]+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며(대등적 연결어미).
거우로애셔 주036)
거우로애셔:
거울에서. 거우로[鏡]+애셔/에셔(출발점 부사격조사).
나디 아니며 주037)
나디 아니며:
나지 아니하며.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에셔 주038)
에셔:
[艾]+애셔/에셔(출발점 부사격조사).
나디 아니니 로셔 올딘댄 주039)
올딘댄:
올진댄. 오-[來]+ㄹ딘댄(조건, 전제의 종속적 연결어미).
 扶桑

칠대만법:6ㄱ

國에
주040)
부상국(扶桑國)에:
부상국(扶桑國)에. ‘에’는 처소부사격조사. ‘부상국’은 중국의 전설에서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일컬어지는 나라의 이름이다.
잇고 주041)
잇고:
있고. 잇-[有]+고(대등적 연결어미).
은 소내 주042)
소내:
손에. 손[手]+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자펴 주043)
자펴:
잡히어. 잡-[執]+히(피동접미사)+어(보조적 연결어미).
잇니 주044)
잇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설명, 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 언해 | 소백산 희방사 / 1569년(선조 2) 5월 일

셋째는 화대(火大)이니, ‘화대’란 말은 불이 크다는 말이다. 불이 없이는 만물이 살지 못할 것이다. 불은 따스한 기운이다. 이 불을 돋우어 볼진댄 화경(火鏡)과 쑥을 잡아서 해의 빛[光]을 대하면 거울로부터 불이 나느니라. 거울을 한 곳에 잡으면 불이 한 곳에 나고, 열 곳에 잡으면 불이 열 곳에 나고, 세계(世界)에서 가지가지로 잡으면 세계에 빈 땅이 없이 고른 불이 날 것이다. 이 불은 해로부터 오지 아니하며, 거울에서 나지 아니하며, 쑥에서 나지 아니하니 해로부터 올진댄 해는 부상국(扶桑國)에 있고, 쑥은 손에 잡혀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13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셋재:셋째는. 셋재[第三]+(보조사). ‘섯’은 ‘셋’의 잘못임.
주002)
화대(火大)니:화대이니. 화대(火大)+∅(서술격조사)+니(설명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03)
화대(火大)란:화대라고 하는. 화대란. ‘란’은 당시에 주로 보조사로 쓰였으나, 여기서는 서술격 다음에서 ‘~라는’ 또는 ‘~라고 하는’이 줄어서 된 말로 뒤의 사실을 규정하는 뜻을 나타낸다. 현대국어에서 확인의 뜻을 보이는 서술격조사 ‘이란/란’에 가까운 기능을 한다. ‘화대(火大)’는 물건을 익히는 작용이 있고, 뜨거움을 자성(自性)으로 하는 체(體)를 이른다. 물질계를 구성하는 한 원소이고, 온갖 사물 가운데에 두루 가득차 있다고 해서 대(大)라고 한다.
주004)
마:말은. 말[言]+(보조사).
주005)
브리:불이. 블[火]+이(주격조사).
주006)
크닷:크다는. 크-[大]+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ㅅ(관형격조사). 여기서의 ‘ㅅ’은 평서형 종결어미의 뒤에 통합되어 인용절을 관형어로 만들어서 다음에 오는 체언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크맛’은 ‘크닷’의 오각(誤刻)임.
주007)
마리라:말이다. 말[言]+이(서술격조사)+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주008)
블 업시:불이 없이. 불이 없이는. 블[火] 없-[無]+이(부사파생 접미사).
주009)
만물(萬物)리:만물(萬物)이. 만물(萬物)+이(주격조사). ‘주격조사’ 자리에 ‘리’가 온 것은 선행체언 말음의 [ㄹ]을 중철 표기했 때문이다. 앞선 시기에는 말음이 자음으로 끝난 어휘가 한자로 적히면 조사 통합 시에 분철 표기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여기서의 중철 표기는 이 시기에 이르러 표기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萬物’의 표기는 비록 한자로 적혀 있다고 하더라도 당시 널리 쓰여서 그만큼 우리말로 인식했음을 보여주는 예일 것이다.
주010)
사디:살지. 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사-’는 [ㄷ] 앞에서 [ㄹ] 탈락을 반영한 표기이다.
주011)
몯리라:못할 것이다. 못하리다. 몯-[不]+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주012)
브른:불은. 블[火]+은(보조사).
주013)
:따스한. -[溫]+ㄴ(관형사형어미).
주014)
기운(氣韻)이라:기운이다. ‘기운(氣韻)’은 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느낄 수 있는 어떤 현상 같은 것을 이른다. 이보다 앞서거나 조금 나중에 간행된 책 중에 한글로 ‘긔운’이라 쓴 예도 있다. 단독으로 쓰인 말이 아니고 파생어의 경우에서다. ¶다 긔운젓고 어디다 일컫니〈번소 6:25〉. 시쇽이 일라 긔운젓고 올타 디라〈소학 5:23〉.
주015)
이 브를:이 불을. 이[此](지시관형사) 블[火]+을(목적격조사).
주016)
도도아:돋우어. 돋-[杲]+오(사동접미사)+아(연결어미). ‘도도와’는 ‘도도아’의 오각임.
주017)
볼딘댄:볼진댄. 보-[見]+ㄹ딘댄(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18)
화경(火鏡)과:화경(火鏡)과. ‘과’는 접속조사이다. ‘화경’은 불을 일으키는 거울이라는 뜻이므로 현재의 렌즈를 이르는 말이다.
주019)
과:쑥을. [蓬/艾]+과(접속조사)+(목적격조사). 마지막 명사 다음까지 접속조사를 두었다.
주020)
광(光):해의 빛을. ‘光’은 고유어 ‘’와 한자어 ‘光’의 합성어이다. ‘ㅅ’은 사잇소리 표기이고, ‘’은 목적격조사이다.
주021)
대(對)야:대하거든. 대면. 대(對)-+거든/아(어든)/야(조건, 가정의 종속적 연결어미). 이 어미는 동사 어간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는 형태론적으로 조건 지어진 이형태이다.
주022)
거울로셔:거울로부터. 거울[火鏡]+로셔(유래 부사격조사).
주023)
나니:나느니라. 나-[生]+(직설법 선어말어미)+니(종속적 연결어미).
주024)
거우:거울을. 거울[鏡]+(목적격조사). ‘거울[鏡]’은 이보다 앞선 시기인 15세기에는 ‘거우루’라 했고, 좀 뒤인 15세기 후반부터 ‘거우로’라 썼다. 이 책과 17세기 이후에 간행된 책에는 ‘거우로’와 ‘거울’이 주로 쓰였다. 이 책에도 ‘거우로’가 보인다. ¶ 각시 아 粉 노라 야 거우룰 보거늘〈석상 24:20〉. 늘거 료란  거우로애 아노니〈두초 21:41〉. 거울로 보 붓그리노라〈두중 1:50〉.
주025)
 고대:한 곳에. [一](수관형사) 곧[處]+애(부사격조사).
주026)
자면:잡으면. 잡-[執]+면(종속적 연결어미).
주027)
나고:생기고. 나-[生]+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8)
열 고대:열 곳에. 열[十](수관형사) 곧[處]+애(부사격조사).
주029)
세계(世界)예:세계(世界)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실현되는 처소부사격조사이다. ‘세계’는 중생이 사는 과거, 현재, 미래의 삼세(三世)와 동서남북, 상하, 피차(彼此)의 이 현상계(現象界)를 아울러 이른다.
주030)
이:가지가지로. 종종이. 죵죵[種種]+이(부사파생접미사).
주031)
뷘  업시:빈 땅이 없이. 뷔-[空]+ㄴ(관형사형어미) [地] 없-[無]+이(부사형전성어미).
주032)
고 브리:고른 불이. 고-[均]+ㄴ(관형사형어미) 블[火]+이(주격조사).
주033)
나리라:나리다. 날 것이다. 나-[生]+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다/라(평서형 종결어미). 추측법 선어말어미 ‘-리-’에는 의존명사와 서술격이 내재되어 있다.
주034)
로셔:해로부터. [日]+로셔(유래 부사격조사).
주035)
오디 아니며:오지 아니하며. 오-[來]+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6)
거우로애셔:거울에서. 거우로[鏡]+애셔/에셔(출발점 부사격조사).
주037)
나디 아니며:나지 아니하며. 나-[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不]+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8)
에셔:[艾]+애셔/에셔(출발점 부사격조사).
주039)
올딘댄:올진댄. 오-[來]+ㄹ딘댄(조건, 전제의 종속적 연결어미).
주040)
부상국(扶桑國)에:부상국(扶桑國)에. ‘에’는 처소부사격조사. ‘부상국’은 중국의 전설에서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일컬어지는 나라의 이름이다.
주041)
잇고:있고. 잇-[有]+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42)
소내:손에. 손[手]+애/에/예(처소부사격조사).
주043)
자펴:잡히어. 잡-[執]+히(피동접미사)+어(보조적 연결어미).
주044)
잇니: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설명, 이유의 종속적 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