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9
  • 약사여래를 공양·공경하는 공덕
  • 약사여래를 공양·공경하는 공덕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사여래를 공양·공경하는 공덕 1


[약사여래를 공양·공경하는 공덕 1]
부톄 니샤 올타 올타 네 말 니라 주001)
니라:
같으니라.
文殊師利다가 주002)
다가:
만일.
淨信 善男子 善女人 주003)
선남자 선여인:
불법을 믿고 선을 닦는 남녀.
이 뎌 藥師瑠璃

월인석보 9:41ㄱ

光如來
 供養코져 거든 몬져 뎌 부텻 像 라 조 주004)
조:
깨끗한. 「좋-」.
座애 노고 주005)
노고:
놓고. 「놓-++고」 「」은 「놓-」의 객체인 「부텻 像」을 높임.
種種 주006)
ㄱ:
ㆁ ㅿ 아래 사잇소리.
비코 주007)
비코:
뿌리고. 「빟-」.
種種ㄱ 香 퓌우고 種種ㄱ 幢幡 주008)
당번:
불·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장엄 도구인 깃발.
으로 그  莊嚴 주009)
장엄:
엄숙하게 꾸밈.
고 밤낫 닐웨 주010)
닐웨:
이레를.
八分齋戒 디녀 조 밥 먹고 沐浴 마 조 옷 닙

월인석보 9:41ㄴ

 업슨 주011)
 업슨:
때가 없는.
과 嗔心 주012)
진심:
왈칵 성내는 마음.
업슨  내야 一切 有情 주013)
유정:
마음을 가진 생물.
에 利益며 安樂며 【安樂 便安코 즐거씨라 주014)
즐거씨라:
즐거운 것이다. 「즐거-」.
慈悲 주015)
자비: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고 고통을 없애 주는 것.
喜捨 주016)
희사:
기쁘게 재물을 베풀어 줌.
平等  니르와다 주017)
니르와다:
일으켜. 「니르왇-」.
【慈 衆生  주018)
:
사랑하여. 「-」.
念야 便安코 즐거 일로 饒益 주019)
요익:
넉넉하고 많음.
게 코져 주020)
-게 코져:
-게, 하고자.
논 미오 悲 衆生 어엿비 주021)
어엿비:
가엾게.
너겨 念야 여러 가짓 苦惱 受거든 受苦애 고

월인석보 9:42ㄱ

주022)
고져:
빼내고자. 「-」.
논 미오 喜 깃글씨니 주023)
깃글씨니:
기뻐하는 것이니. 「깃ㄱ-」.
衆生 念호 즐거 이 조차 즐겨호 得과뎌 주024)
-과뎌:
-게, 하고자.
야 恭敬야 慰勞논 미오 주025)
미오:
마음이고.
捨 릴씨니 주026)
릴씨니:
버리는 것이니.
衆生 念호 믜디 주027)
믜디:
미워하지. 「믜-」.
아니며 디 아니야 平等 미라 慈 嗔心 업수미 주028)
업수미:
없음이. 「없-+오/우ㅁ+이」.
體오 즐거 일 주미 用이라 悲 害티 아니호미 體오 受苦애  내요미 주029)
 내요미:
빼내는 것이.
用이라 喜 뎌를 주030)
뎌를:
저(사람들)를.
즐겨 깃게 주031)
깃게:
기뻐하게.
씨오 捨 내 念을 여흴씨니 주032)
여흴씨니:
여의는 것이니. 「여희-」.
여희유미 捨ㅣ라】
류와 놀애로 讚嘆 주033)
-:
-하여.
佛像

월인석보 9:42ㄴ

올 녀그로 도고 주034)
도고:
감돌고.
如來ㅅ 本願 功德을  念야 이 經을 닐거 외오며 들 야 주035)
야:
생각하여.
불어 닐어 주036)
불어 닐어:
펴 일러.
여러 뵈면 주037)
체:
만물의 일정 불변하는 본 모양.
願이 다 이러 주038)
이러:
이루어져. 「일-」.
長壽를 求면 長壽를 得고 가며로 주039)
가며로:
부유함을. 「가멸-」.
求면 가며로 得고 벼스를 주040)
벼스를:
벼슬을.
求면

월인석보 9:43ㄱ

벼스를 得고 아  주041)
:
딸을. 「」.
求면 아  得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약사여래를 공양·공경하는 공덕 1]
부처님이 이르시되, “옳다, 옳다, 네 말과 같으니라. 문수사리여, 만일 정신한 선남자 선여인들이 저 약사유리광여래를 공양하고자 하거든 먼저 저 부처님 상(불상)을 만들어 깨끗한 자리에 놓고, 갖가지 꽃을 뿌리고, 갖가지 향을 피우고 갖가지 당번으로 그 땅을 장엄하게 꾸미고, 밤낮 이레 동안을 팔분재계를 지녀 깨끗한 밥을 먹고, 목욕 감으며, 깨끗한 옷을 입고 때가 없는(깨끗한) 마음과 왈칵 성내는 마음을 내어일체 유정(중생)에게 이익하게 하며 안락하게 하여 【안락은 편안하고 즐거운 것이다.】자비와 희사의 평등한 마음을 일으켜 「자」는 중생을 사랑하여 편안하고 즐거운 일로 넉넉하게 하고자 하는 마음이고,「비」는 중생을 가엾게 여겨 여러 가지 괴로움을 받거든 그 괴로움에서 빼내고자 하는 마음이고, 「희」는 기뻐하는 것이니, 중생을 생각하되 즐거운 일을 따라 즐겨함을 얻게 하고자 하여 공경하고 위로하는 마음이고, 「사」는 버리는 것이니, 중생을 생각하되 미워하지 아니하며 사랑하지도 아니하는 평등한 마음이다. 또 「자」는 왈칵 성내는 마음 없음이 본체이고, 즐거운 일 주는 것이 작용이다. 「비」는 해하지 아니함이 체이고 고통받음에서 빼냄이 용이다. 「희」는 저(사람)들을 즐겨 기뻐하게 하는 것이고,「사」는 내 생각을 여의는 것이니 여읨이 사이다.】풍악과 노래로 찬탄하여 불상을 오른편으로 감돌고, 여래의 본원 공덕을 또 염하여 이 경을 읽고 외우며 〈그〉 뜻을 생각하여 펴 일러 열어 보이면 일체의 원이 다 이루어져서, 장수함을 구하면 장수함을 얻고, 부유함을 구하면 부유함을 얻고, 벼슬을 구하면 벼슬을 얻고, 아들딸을 구하면 아들딸을 얻으리라.
Ⓒ 역자 | 김영배 / 1994년 8월 27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라:같으니라.
주002)
다가:만일.
주003)
선남자 선여인:불법을 믿고 선을 닦는 남녀.
주004)
조:깨끗한. 「좋-」.
주005)
노고:놓고. 「놓-++고」 「」은 「놓-」의 객체인 「부텻 像」을 높임.
주006)
ㄱ:ㆁ ㅿ 아래 사잇소리.
주007)
비코:뿌리고. 「빟-」.
주008)
당번:불·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장엄 도구인 깃발.
주009)
장엄:엄숙하게 꾸밈.
주010)
닐웨:이레를.
주011)
 업슨:때가 없는.
주012)
진심:왈칵 성내는 마음.
주013)
유정:마음을 가진 생물.
주014)
즐거씨라:즐거운 것이다. 「즐거-」.
주015)
자비:중생에게 즐거움을 주고 고통을 없애 주는 것.
주016)
희사:기쁘게 재물을 베풀어 줌.
주017)
니르와다:일으켜. 「니르왇-」.
주018)
:사랑하여. 「-」.
주019)
요익:넉넉하고 많음.
주020)
-게 코져:-게, 하고자.
주021)
어엿비:가엾게.
주022)
고져:빼내고자. 「-」.
주023)
깃글씨니:기뻐하는 것이니. 「깃ㄱ-」.
주024)
-과뎌:-게, 하고자.
주025)
미오:마음이고.
주026)
릴씨니:버리는 것이니.
주027)
믜디:미워하지. 「믜-」.
주028)
업수미:없음이. 「없-+오/우ㅁ+이」.
주029)
 내요미:빼내는 것이.
주030)
뎌를:저(사람들)를.
주031)
깃게:기뻐하게.
주032)
여흴씨니:여의는 것이니. 「여희-」.
주033)
-:-하여.
주034)
도고:감돌고.
주035)
야:생각하여.
주036)
불어 닐어:펴 일러.
주037)
체:만물의 일정 불변하는 본 모양.
주038)
이러:이루어져. 「일-」.
주039)
가며로:부유함을. 「가멸-」.
주040)
벼스를:벼슬을.
주041)
:딸을. 「」.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