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9
  • 약사여래의 12대원
  • 약사여래의 12대원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사여래의 12대원 3


[약사여래의 12대원 3]
煩惱障내라 주001)
내라:
나(이)다.
호 주002)
호:
함을. 「-+옴/움+-」.
자보미오 주003)
자보미오:
잡음이고. 「잡-+옴/움+이오(〈고)」.
所知障 法이라 호 자씨니 주004)
자씨니:
잡는 것이니.
煩惱障 주005)
:
마음을. 「+-」.
려 주006)
려:
가려. 「리-」.
미 解脫 주007)
해탈:
열반. 불교 구경의 이상이니, 여러가지 속박에서 벗어난 상태.

월인석보 9:7ㄱ

몯야 주008)
업:
몸·입·뜻으로 짓는 말·동작·생각과 그 세력.
지 주009)
지:
지어. 「-」.
生 受야 다 길헤 주010)
다 길헤:
다섯 길에. 「길ㅎ」. 5취로 지옥·아귀·축생·인도·천도를 가리킴.
輪廻며 所知障이 慧 려 慧 解脫 몯야 제   몯 알며 주011)
몯 알며:
알지 못하며.
諸法의 주012)
성:
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주013)
상:
모든 사물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이 되는 사물의 모양.
  몯 아라비록 三界 주014)
삼계:
생사 유전이 쉴 새 없는 욕계·색계·무색계를 이름.
주015)
-예:
-에. 임자씨끝이 /i·j/일 때 쓰인 위치자리토씨.
나고도  二乘 주016)
이승: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
에 거러 成佛 몯 주017)
몯:
못하므로. 「몯-+-ㄹ」.
障이라 니라 나와 法과 두 執著 덜면 두 障이 조차 그츠리라 주018)
그츠리라:
끊으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약사여래의 12대원 3]
번뇌장은 나라고 하는 것을(에) 잡음(집착하는 것)이고, 소지장은 법이라는 것을(에) 잡는(집착하는) 것이니, 번뇌장이 마음을 가려서 마음이 해탈하지 못하여 을 지어 생을 받아, 다섯 길에 윤회하며, 소지장이 혜를 가려 혜 해탈을 못하여 제 마음을 사무치게 알지 못하며, 제법의 성·을 사무치게 알지 못하여서 비록 삼계에 나고서도 또 이승에 걸어 성불하지 못하므로 장이라고 하는 것이다. 나와 법과 〈이〉 두 〈가지〉 집착을 덜〈어 버리〉면 두 장도 따라서 끊어질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4년 8월 27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내라:나(이)다.
주002)
호:함을. 「-+옴/움+-」.
주003)
자보미오:잡음이고. 「잡-+옴/움+이오(〈고)」.
주004)
자씨니:잡는 것이니.
주005)
:마음을. 「+-」.
주006)
려:가려. 「리-」.
주007)
해탈:열반. 불교 구경의 이상이니, 여러가지 속박에서 벗어난 상태.
주008)
업:몸·입·뜻으로 짓는 말·동작·생각과 그 세력.
주009)
지:지어. 「-」.
주010)
다 길헤:다섯 길에. 「길ㅎ」. 5취로 지옥·아귀·축생·인도·천도를 가리킴.
주011)
몯 알며:알지 못하며.
주012)
성:나면서부터 가진 본연의 성품.
주013)
상:모든 사물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이 되는 사물의 모양.
주014)
삼계:생사 유전이 쉴 새 없는 욕계·색계·무색계를 이름.
주015)
-예:-에. 임자씨끝이 /i·j/일 때 쓰인 위치자리토씨.
주016)
이승: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
주017)
몯:못하므로. 「몯-+-ㄹ」.
주018)
그츠리라:끊으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