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45. 치마접창방(治馬蝶瘡方)
메뉴닫기 메뉴열기

45. 치마접창방(治馬蝶瘡方)


◎桃도花화散산은 治티馬마老노鼠셔瘡창이니 鄕향鳴명은 蝶뎝瘡창이라【○도화산은 ᄆᆞᆯ의 노셔창주001)
노서창(老鼠瘡):
나력(瘰癧)의 다른 이름. 나력은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을 말한다. 주로 목, 귀 뒤, 겨드랑이, 자개미에 생긴다. 멍울이 작은 것을 라(瘰), 큰 것을 력(癧)이라고 한다. 나력의 원인은 폐(肺)와 신(腎)의 음(陰)이 허하고 간기울결(肝氣鬱結)로 화(火)가 성하여 담(痰)이 생기거나 풍열사독(風熱邪毒)을 받아 생긴다. 곪아터지면 멀건 고름이 나오고, 속에서 비지 같은 것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창구(瘡口)는 오랫동안 아물지 않고 누공(瘻孔)이 생긴다.
을 고팀이니 향명주002)
향명(鄕名):
예전부터 민간에서 불러 온, 동식물 따위의 이름.
나ᄇᆡ창주003)
나ᄇᆡ창:
‘노셔창’의 향명[蝶瘡].
이라】

마경초집언해 하:115ㄴ

明명松숑脂지 白ᄇᆡᆨ礬반
右우ᄅᆞᆯ 等등分분細셰末말ᄒᆞ야 以이針침으로 橫횡刺ᄌᆞᄒᆞ야 去거惡악汁즙ᄒᆞ고 用용唐당紙지裹과納납ᄒᆞ라【○우ᄅᆞᆯ 등분ᄒᆞ야 ᄀᆞᄂᆞ리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침으로ᄡᅥ ᄀᆞᄅᆞ딜러주004)
ᄀᆞᄅᆞ딜러:
가로로 찔러[橫刺]. 침을 놓는 방법의 하나로서, 가로 찌르는 방법이다. 피하에 뼈가 있는 곳(얼굴, 머리)에는 피부에서 침을 15~25도 각도로 찌르는 방법이다.
모딘 즙을 내고 당지주005)
당지(唐紙):
중국 남부지역에서 생산되는 종이의 총칭. 고대에는 닥나무의 껍질을 주원료로 하여 만들었으나, 근세에는 맹종죽(孟宗竹)과 계죽(桂竹)이 가장 많이 쓰였다. 순백색이며 표면이 매끄럽고 먹이 고루 잘 묻어 아취가 있기 때문에 문인(文人)이나 서가(書家)에게 애호되었다.
예 ᄡᅡ 녀흐라】
又우方방은 針침開ᄀᆡ瘡창口구ᄒᆞ고 以이皂조莢협細셰末말로 納납之지ᄒᆞ면 大대效효니라【○우방주006)
우방(右方):
또 다른 처방.
은 침으로 브으름 부리주007)
브으름 부리:
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瘡口].
헤혀고주008)
헤혀고:
헤치고[開].
조협주009)
조협(皂莢):
쥐엄나무 열매.
ᄀᆞᄂᆞᆫ ᄀᆞᆯᄅᆞ로ᄡᅥ 녀흐면 크게 효험ᄒᆞ니라】
右우方방은 黃황獷광皮피肉육幷병骨골을 燒쇼存존性셩細셰末말ᄒᆞ야 唐당紙지예 裹과ᄒᆞ야 納납瘡창中듕ᄒᆞ라【○우방은 죡져비주010)
족져비:
족제비[黃獷].
피육주011)
피육(皮肉):
가죽과 살.
과 ᄲᅧ를 아오로주012)
아오로:
아울러[幷].
셩이 잇ᄭᅦ ᄉᆞ라주013)
셩이 잇ᄭᅦ ᄉᆞ라:
한약 법제 방법의 하나[燒存性]. 한약재의 약성이 남게 태우는 것을 말한다. 즉 겉은 숯처럼 거멓지만 속은 누런 기운이 있도록 태우는 것이다. 불에 직접 대고 태우거나 간접적으로 태우는 방법이 있다.
ᄀᆞᄂᆞᆯ게 ᄀᆞᄅᆞ ᄆᆡᆼ

마경초집언해 하:116ㄱ

ᄃᆞ라 당지예 ᄡᅡ 헌ᄃᆡ 녀흐라】
右우方방은 射샤干간을 削샥如여棗초核ᄒᆡ大대ᄒᆞ야 以이針침으로 刺ᄌᆞ瘡창作작孔공ᄒᆞ야 去거惡악汁즙ᄒᆞ고 納납之지ᄒᆞ면 其기腫죵이 膿농出츌卽즉愈유니라【○우방은 샤간주014)
사간(射干):
붓꽃과 식물인 범부채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가을이나 봄에 뿌리줄기를 캐어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목이 붓고 아픈 데, 열담(熱痰)으로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데, 학질을 오래 앓아 비장(脾臟)이 커진 데, 입에서 냄새가 나는 데, 부스럼 등에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서 목 안에 불어 넣거나, 가루를 기초(약)제에 개어 붙인다.
ᄭᅡᆨᄭᅡ주015)
ᄭᅡᆨᄭᅡ:
가ᇧ-[削]+-아(연결 어미). 깎아. ‘ᄭᅡᆨᄭᅡ’는 ‘갓가’의 경음화된 표기이다.
대쵸ᄡᅵ주016)
대쵸ᄡᅵ:
대추나무 열매의 씨[棗核].
크니 만ᄒᆞ야 침으로ᄡᅥ 헌ᄃᆡᄅᆞᆯ 딜러 구무 내야 모딘 즙을 내고 녀흐면 그 브으름이 고롬이 나 즉제 됸ᄂᆞ니라】
Ⓒ 언해 | 이서 / 17세기

도화산(桃花散)은 말의 노서창(老鼠瘡)을 치료하는 것인데, 〈노서창의〉 예전부터 불러온 이름은 나비창[蝶瘡]이다.
명송지(明松脂), 백반(白礬).
위의 약재들을 똑같은 분량으로 가늘게 가루로 만들고는, 침을 가로로 찔러 나쁜 액을 제거하고 〈약 가루를〉 종이에 싸서 넣으라.
또 다른 처방은, 침으로써 부스럼 구멍을 헤치고 쥐엄나무 열매를 가늘게 빻은 가루를 넣으면 크게 효험을 본다.
또 다른 처방은, 족제비의 가죽과 살과 뼈를 함께 약성(藥性)이 남게 불태워 가늘게 가루로 만들어 종이에 싸서 헌데에 넣으라.
또 다른 처방은, 사간(射干)을 깎아 대추씨 크기만 하게 해서는, 침으로써 헌데를 찔러 구멍을 내고 나쁜 액을 제거한 후 넣으면 그 부스럼에서 고름이 나와 즉시 좋아진다.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서창(老鼠瘡):나력(瘰癧)의 다른 이름. 나력은 림프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을 말한다. 주로 목, 귀 뒤, 겨드랑이, 자개미에 생긴다. 멍울이 작은 것을 라(瘰), 큰 것을 력(癧)이라고 한다. 나력의 원인은 폐(肺)와 신(腎)의 음(陰)이 허하고 간기울결(肝氣鬱結)로 화(火)가 성하여 담(痰)이 생기거나 풍열사독(風熱邪毒)을 받아 생긴다. 곪아터지면 멀건 고름이 나오고, 속에서 비지 같은 것이 섞여 나오기도 한다. 창구(瘡口)는 오랫동안 아물지 않고 누공(瘻孔)이 생긴다.
주002)
향명(鄕名):예전부터 민간에서 불러 온, 동식물 따위의 이름.
주003)
나ᄇᆡ창:‘노셔창’의 향명[蝶瘡].
주004)
ᄀᆞᄅᆞ딜러:가로로 찔러[橫刺]. 침을 놓는 방법의 하나로서, 가로 찌르는 방법이다. 피하에 뼈가 있는 곳(얼굴, 머리)에는 피부에서 침을 15~25도 각도로 찌르는 방법이다.
주005)
당지(唐紙):중국 남부지역에서 생산되는 종이의 총칭. 고대에는 닥나무의 껍질을 주원료로 하여 만들었으나, 근세에는 맹종죽(孟宗竹)과 계죽(桂竹)이 가장 많이 쓰였다. 순백색이며 표면이 매끄럽고 먹이 고루 잘 묻어 아취가 있기 때문에 문인(文人)이나 서가(書家)에게 애호되었다.
주006)
우방(右方):또 다른 처방.
주007)
브으름 부리: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瘡口].
주008)
헤혀고:헤치고[開].
주009)
조협(皂莢):쥐엄나무 열매.
주010)
족져비:족제비[黃獷].
주011)
피육(皮肉):가죽과 살.
주012)
아오로:아울러[幷].
주013)
셩이 잇ᄭᅦ ᄉᆞ라:한약 법제 방법의 하나[燒存性]. 한약재의 약성이 남게 태우는 것을 말한다. 즉 겉은 숯처럼 거멓지만 속은 누런 기운이 있도록 태우는 것이다. 불에 직접 대고 태우거나 간접적으로 태우는 방법이 있다.
주014)
사간(射干):붓꽃과 식물인 범부채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가을이나 봄에 뿌리줄기를 캐어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목이 붓고 아픈 데, 열담(熱痰)으로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데, 학질을 오래 앓아 비장(脾臟)이 커진 데, 입에서 냄새가 나는 데, 부스럼 등에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서 목 안에 불어 넣거나, 가루를 기초(약)제에 개어 붙인다.
주015)
ᄭᅡᆨᄭᅡ:가ᇧ-[削]+-아(연결 어미). 깎아. ‘ᄭᅡᆨᄭᅡ’는 ‘갓가’의 경음화된 표기이다.
주016)
대쵸ᄡᅵ:대추나무 열매의 씨[棗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