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43. 치마상제방(治馬傷蹄方)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치마상제방(治馬傷蹄方)


◎治티馬마傷샹蹄뎨方방이라【○ᄆᆞᆯ이 굽 샹ᄒᆞᆫ ᄃᆡ 고티ᄂᆞᆫ 방문이라】
海ᄒᆡ桐동皮피주001)
해동피(海桐皮):
오갈피나무과 식물인 엄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 늦봄부터 초가을 사이에 껍질을 벗긴 다음 겉껍질을 깎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풍습사(風濕邪)를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비증(痹證), 허리와 다리를 쓰지 못하는 데, 복통, 이질, 곽란으로 토하며 설사하는 데, 옴, 이가 쑤시는 데 등에 쓴다. 저산성 위염에도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 내어 뿌린다.
白ᄇᆡᆨ芥개子ᄌᆞ 大대黃황 五오靈녕脂지 芸운薹ᄃᆡ子ᄌᆞ 甘감草초 木목別별子ᄌᆞ 右우爲위末말ᄒᆞ야 黃황米미一일合홉을 煮쟈粥쥭ᄒᆞ야 調됴藥약末말ᄒᆞ야 攤난於어

마경초집언해 하:115ㄱ

帛ᄇᆡᆨ上샹ᄒᆞ야 於어蹄뎨上샹에 裹과之지ᄒᆞ면 立닙效효니라【○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황미주002)
황미(黃米):
기장쌀을 말한다.
ᄒᆞᆫ 홉을 쥭 쑤어 약ᄀᆞᆯᄅᆞᆯ ᄩᅡ주003)
ᄩᅡ:
ᄩᆞ-[調]+-아(연결 어미). 넣고 섞어. 바로 다음 장에는 ‘타(기본형은 ‘ᄐᆞ다’)’의 형태가 쓰였다.
ᄇᆡᆨ샹주004)
백상(帛上):
비단으로 된 천 위.
의 펴 굽 우희 ᄡᅡᄆᆡ면주005)
ᄡᅡᄆᆡ면:
싸매면[裹].
즉제 효험ᄒᆞ니라】
Ⓒ 언해 | 이서 / 17세기

말의 발굽 상한 것을 치료하는 처방이다.
해동피(海桐皮), 백개자(白芥子), 대황(大黃), 오령지(五靈脂), 운대자(芸薹子), 감초(甘草), 목별자(木別子).
위의 약재들을 가루로 만들어, 기장쌀 한 홉으로 죽을 쑨 다음 약가루를 타서 비단 천 위에 펴고 이를 발굽 위에 싸매면 즉시 효험을 본다.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해동피(海桐皮):오갈피나무과 식물인 엄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 늦봄부터 초가을 사이에 껍질을 벗긴 다음 겉껍질을 깎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풍습사(風濕邪)를 없애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비증(痹證), 허리와 다리를 쓰지 못하는 데, 복통, 이질, 곽란으로 토하며 설사하는 데, 옴, 이가 쑤시는 데 등에 쓴다. 저산성 위염에도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달인 물로 씻거나 가루 내어 뿌린다.
주002)
황미(黃米):기장쌀을 말한다.
주003)
ᄩᅡ:ᄩᆞ-[調]+-아(연결 어미). 넣고 섞어. 바로 다음 장에는 ‘타(기본형은 ‘ᄐᆞ다’)’의 형태가 쓰였다.
주004)
백상(帛上):비단으로 된 천 위.
주005)
ᄡᅡᄆᆡ면:싸매면[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