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33. 마환두창병도(馬患肚脹倂圖)
메뉴닫기 메뉴열기

33. 마환두창병도(馬患肚脹倂圖)


마경초집언해 하:84ㄱ

◎馬마患환肚두脹턍이라
肚두脹턍者쟈ᄂᆞᆫ【○ᄇᆡ 븐ᄂᆞ니주001)
븐ᄂᆞ니:
븟-[脹]+-ᄂᆞᆫ(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붓는 것. ‘븟ᄂᆞ니’를 자음동화가 일어난 대로 표기하여 ‘븐ᄂᆞ니’로 된 것이다.
ᄂᆞᆫ】
皆ᄀᆡ因인脿표肥비肉육重듕애 負부重듕勞노傷샹ᄒᆞ며 草초飽포애 奔분走주太태急급ᄒᆞ며 氣긔結결於어胸흉ᄒᆞ야 不블升승不블降강ᄒᆞ야 致티其기患환也야라【○다 ᄉᆞᆯ져 고기 듕홈주002)
고기 듕홈:
덩치가 큼[肉重].
애 므거이 시러 잇ᄲᅥ 샹ᄒᆞ며 초포홈애 ᄃᆞᆯ리기ᄂᆞᆯ 넘우 급히 ᄒᆞ야 긔운이 가ᄉᆞᆷ에 ᄆᆡ치여 오ᄅᆞᄂᆞ리디 못ᄒᆞ여 그 주003)
환(患):
질환.
닐옴주004)
닐옴:
다다름[致].
을 인연홈이라】
令녕獸슈로 肚두腹복이 飽포滿만ᄒᆞ며 膈격脹턍胸흉膨ᄑᆡᆼᄒᆞ며 咽인喉후哽경噎에ᄒᆞ며 氣긔促촉喘쳔粗추ᄒᆞᄂᆞ니 天텬仙션散산으로 治티之지ᄒᆞ고【○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ᄇᆡ 블러 ᄀᆞᄃᆞᆨᄒᆞ며 가ᄉᆞᆷ이 브어 ᄑᆡᆼᄑᆡᆼᄒᆞ며주005)
ᄑᆡᆼᄑᆡᆼᄒᆞ며:
팽팽하며[膨].
목굼기주006)
목굼기:
목구무[咽喉]+-이(주격 조사). 목구멍이.
막히며 긔운이 ᄲᆞᄅᆞ고 숨이 크

마경초집언해 하:84ㄴ

ᄂᆞ니 텬션산으로 고티고】
徹텰喉후脉ᄆᆡᆨ血혈ᄒᆞ라【○후ᄆᆡᆨ주007)
후맥(喉脉):
말의 목 부위. ‘하:85ㄱ’에 있는 ‘두턍지도’를 참고할 것.
피ᄅᆞᆯ ᄲᅡ이라】
脉ᄆᆡᆨ色ᄉᆡᆨ은 肺폐脾비脉ᄆᆡᆨ이 數삭ᄒᆞ며 脣슌舌셜이 靑쳥黃황ᄒᆞ고【○ᄆᆡᆨ과 ᄉᆡᆨ은 폐와 비ᄆᆡᆨ이 ᄌᆞ즈며 입시울과 혜 프르며 누로고】 調됴理니ᄂᆞᆫ 徐셔徐셔撁견走주ᄒᆞ며 腹복下하ᄅᆞᆯ 刮괄之지ᄒᆞ라【○됴니ᄒᆞ기ᄂᆞᆫ 날호여주008)
날호여:
천천히[徐].
잇ᄭᅳ러 ᄃᆞᆯ리고 ᄇᆡ 아래ᄅᆞᆯ 글그라】

배가 붓는 것은 모두 살이 쪄서 덩치가 큼에도, 무겁게 실어 과로로 몸이 손상을 입으며, 풀을 배불리 먹고 달리기를 너무 급하게 함으로써 기운이 가슴에 맺혀 오르내리지를 못하므로, 그 질환에 이른 때문이다. 말이 배가 불러 꽉 차며 가슴이 부어 팽팽하고 목구멍이 막히며, 호흡이 빨라지고 숨소리가 거칠어 천선산(天仙散)으로 치료한다.맥박과 입의 색깔은 폐와 비장(脾臟)의 맥박이 자주 뛰며 입술과 혀는 푸르고 누르다. 병을 다스려 몸이 회복되게 하려면, 천천히 이끌어 달리고 배 아래를 긁어 주라.

天텬仙션散산은 治티馬마腹복脹턍이니라【○텬션산은 ᄆᆞᆯ이 ᄇᆡ 브은주009)
ᄇᆡ 브은:
배가 부은[服脹].
ᄃᆡ 고티ᄂᆞ니라】
天텬仙션子ᄌᆞ주010)
천선자(天仙子):
가지과 식물인 사리풀의 여문 씨를 말린 것. 여름에 씨가 익은 다음 전초를 베어서 햇볕에 말려 털어 씨만 모은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심경(心經)·위경(胃經)·간경(肝經)에 작용한다. 경련과 통증을 멎게 한다. 전광(癲狂), 전간(癲癇), 비증(痹證),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위경련으로 배가 아픈 데, 식은땀이 나는 데, 침을 흘리는 데, 만성 설사, 만성 이질, 탈항, 치통, 옹종(癰腫), 악성 종기 등에 쓴다.
當당歸귀 連년翹효 大대黃황 白ᄇᆡᆨ芷지 貝패母모 黑흑丑튝주011)
흑축(黑丑):
메꽃과의 나팔꽃의 씨를 말한다. 견우자(牽牛子)라고도 한다. 나팔꽃의 검은 씨를 흑축(黑丑), 흰색 씨를 백축(白丑)이라고 한다. 이 약을 깬 것은 약간 냄새가 있고 자극성이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있다. 견우자는 사하(瀉下)작용과 이뇨작용이 강하고 기를 잘 내려 몸이 부을 때, 만성신우신염,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 사용한다.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완고한 변비, 기생충제거에도 사용한다.
白ᄇᆡᆨ合합주012)
백합(白合):
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 음력 2, 8월에 그 뿌리를 채취하여 말려서 약재로 쓴다. 백합(白合)은 산과 들에서 자라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잎이 가늘며 꽃이 홍백색이며, 다른 하나는 잎이 크고 줄기가 길며, 뿌리가 굵고 꽃이 희다. 뒤의 것을 약으로 쓴다. 백합은 오줌을 순하게 내보는 데 좋은 약이다. 또 상한 때 백합은 병을 낫게 하고, 모든 사기와 헛것에 들려 울고 미친 소리로 떠드는 증상을 낫게 한다. 고독을 죽이고 유옹, 등창, 창종을 낫게 한다.
甘감草초 白ᄇᆡᆨ芍쟉藥약

마경초집언해 하:85ㄱ

肚두脹턍之지圖도

마경초집언해 하:85ㄴ

右우爲위末말ᄒᆞ야 每ᄆᆡ服복二이兩냥을 蜜밀二이兩냥과 薤ᄒᆡ汁즙一일升승애 同동調됴灌관之지ᄒᆞ라【○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ᆞᆫᄃᆞ라 ᄆᆡ복 두 냥을 ᄭᅮᆯ 두 냥과 부ᄎᆡ즙주013)
부ᄎᆡ즙:
부추즙[薤汁].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 언해 | 이서 / 17세기

천선산은 말이 배 부은 것을 치료한다.
천선자(天仙子), 당귀(當歸), 연교(連翹), 대황(大黃), 백지(白芷), 패모(貝母), 흑축(黑丑), 백합(白合), 감초(甘草), 백작약(白芍藥).
위의 약재들을 가루로 만들어 복용할 때마다 두 냥을 꿀 두 냥과 함께 부추즙 한 되에 타서, 골고루 섞어 먹이라.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븐ᄂᆞ니:븟-[脹]+-ᄂᆞᆫ(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 붓는 것. ‘븟ᄂᆞ니’를 자음동화가 일어난 대로 표기하여 ‘븐ᄂᆞ니’로 된 것이다.
주002)
고기 듕홈:덩치가 큼[肉重].
주003)
환(患):질환.
주004)
닐옴:다다름[致].
주005)
ᄑᆡᆼᄑᆡᆼᄒᆞ며:팽팽하며[膨].
주006)
목굼기:목구무[咽喉]+-이(주격 조사). 목구멍이.
주007)
후맥(喉脉):말의 목 부위. ‘하:85ㄱ’에 있는 ‘두턍지도’를 참고할 것.
주008)
날호여:천천히[徐].
주009)
ᄇᆡ 브은:배가 부은[服脹].
주010)
천선자(天仙子):가지과 식물인 사리풀의 여문 씨를 말린 것. 여름에 씨가 익은 다음 전초를 베어서 햇볕에 말려 털어 씨만 모은다.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심경(心經)·위경(胃經)·간경(肝經)에 작용한다. 경련과 통증을 멎게 한다. 전광(癲狂), 전간(癲癇), 비증(痹證),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위경련으로 배가 아픈 데, 식은땀이 나는 데, 침을 흘리는 데, 만성 설사, 만성 이질, 탈항, 치통, 옹종(癰腫), 악성 종기 등에 쓴다.
주011)
흑축(黑丑):메꽃과의 나팔꽃의 씨를 말한다. 견우자(牽牛子)라고도 한다. 나팔꽃의 검은 씨를 흑축(黑丑), 흰색 씨를 백축(白丑)이라고 한다. 이 약을 깬 것은 약간 냄새가 있고 자극성이며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있다. 견우자는 사하(瀉下)작용과 이뇨작용이 강하고 기를 잘 내려 몸이 부을 때, 만성신우신염, 간경화 등으로 복수가 찰 때 사용한다. 해수, 천식에 유효하며 완고한 변비, 기생충제거에도 사용한다.
주012)
백합(白合):백합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식물. 음력 2, 8월에 그 뿌리를 채취하여 말려서 약재로 쓴다. 백합(白合)은 산과 들에서 자라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잎이 가늘며 꽃이 홍백색이며, 다른 하나는 잎이 크고 줄기가 길며, 뿌리가 굵고 꽃이 희다. 뒤의 것을 약으로 쓴다. 백합은 오줌을 순하게 내보는 데 좋은 약이다. 또 상한 때 백합은 병을 낫게 하고, 모든 사기와 헛것에 들려 울고 미친 소리로 떠드는 증상을 낫게 한다. 고독을 죽이고 유옹, 등창, 창종을 낫게 한다.
주013)
부ᄎᆡ즙:부추즙[薤汁].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