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27. 마환신허병도(馬患腎虛倂圖)
메뉴닫기 메뉴열기

27. 마환신허병도(馬患腎虛倂圖)


◎馬마患환腎신虛허이라

마경초집언해 하:71ㄴ

腎신虛허者쟈ᄂᆞᆫ 腎신敗패也야니【○신이 허ᄒᆞᆫ 쟈ᄂᆞᆫ 신이 패홈주001)
신이 패홈:
나이가 들거나, 방로(房勞)의 과다로, 신(腎)의 기능이 매우 허약해져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증세이다[腎敗]. 신절(腎絶.)과 같은 말인데, 신절은 신기(腎氣)가 거의 없어져서 병이 몹시 위중해진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이니】
皆ᄀᆡ因인勞노傷샹過과度도ᄒᆞ며 喂외少쇼騎긔多다ᄒᆞ야 傷샹於어五오臟장ᄒᆞ야 傳뎐入입腎신經경ᄒᆞ니 腎신受슈其기邪샤ᄒᆞ야 外외傳뎐腰요胯과也야라【○다 잇버 샹홈이 과도ᄒᆞ며 머김을 젹이 ᄒᆞ고 ᄐᆞ기 하게 ᄒᆞ야 오장이 샹ᄒᆞ야 신경주002)
신경(腎經):
콩팥의 경락(經絡). 경락이란 오장육부에 생긴 병이 몸 바깥으로 나타나는 자리로서, 이 부위를 침이나 뜸 등으로 자극하여 병을 치료한다.
뎐ᄒᆞ니주003)
뎐ᄒᆞ니:
옮으니[傳].
신이 그 샤긔주004)
사기(邪氣):
나쁜 기운.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와 여기(癘氣) 등 병을 일으키는 요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외감병(外感病)을 일으키는 외인을 말한다. 외인(外因)이란 몸 밖으로부터 침입한 사기를 말하므로, 외인을 외사(外邪)라고도 한다.
ᄅᆞᆯ 바다 밧ᄭᅳ로 요과주005)
요과(腰胯):
허리와 뒷다리.
의 뎐홈이라】
令녕獸슈로 後후蹄뎨虛허腫죵ᄒᆞ며 胯과痛통腰요拖타ᄒᆞ며 精졍神신이 短단慢만ᄒᆞ며 耳이撘탑頭두低뎌ᄒᆞᄂᆞ니【○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뒷굽이 브으며 다리ᄅᆞᆯ 알코 허리ᄅᆞᆯ ᄭᅳ으며 졍신이 단만주006)
단만(短慢):
모자라고 게으름.
ᄒᆞ며 귀 느리티며 머리 ᄂᆞᆺ초ᄂᆞ니】
此ᄎᆞ謂위腎신敗패虛허羸니之지症증也야니 蓽필澄딩茄가散

마경초집언해 하:72ㄱ

腎신虛허之지圖도

마경초집언해 하:72ㄴ

산으로 治티之지ᄒᆞ고【○이 닐온 신이 패ᄒᆞ여 허ᄒᆞ여 여위ᄂᆞᆫ 증이니 필딩가산으로 고티고】 火화針침百ᄇᆡᆨ會회穴혈巴파山산穴혈ᄒᆞ라【○ᄇᆡᆨ회혈과 파산혈주007)
파산혈(巴山穴):
말의 엉덩이 부분에 있는 혈자리. ‘하:72ㄱ’에 있는 ‘신허지도’를 참고할 것.
을 화침ᄒᆞ라】

신장(腎臟)이 허약한 것은 신기(腎氣)가 거의 없어진 것이니, 모두 피로하여 몸이 허약해짐이 심하며, 먹이기를 적게 하고, 말 타기를 많이 함으로써 오장(五臟)이 손상을 입어 신경(腎經)에로 옮은 것이니 신장이 그 나쁜 기운을 받아, 밖으로 허리와 뒷다리에 옮은 것이다. 말의 뒷굽이 부으며 다리를 앓아 허리를 끌며, 정신이 모자라고 게으르며 귀가 처지고 머리를 떨구니, 이것이 이른바 신기(腎氣)가 없어지므로 허약하여 야위는 증상이니 필징가산(蓽澄茄散)으로 치료하고 백회혈(百會穴)과 파산혈(巴山穴)에 불에 달군 침을 놓으라.

脉ᄆᆡᆨ色ᄉᆡᆨ은 雙쌍鳧부이 沉팀細셰ᄒᆞ며 口구色ᄉᆡᆨ이 靑쳥黃황ᄒᆞ고【○ᄆᆡᆨ과 ᄉᆡᆨ은 쌍부ᄆᆡᆨ이 팀ᄒᆞ고 셰ᄒᆞ며 입빗치 프르며 누로고】 調됴理니ᄂᆞᆫ 喂외養양煖난廐구ᄒᆞ며 增증加가料뇨草초ᄒᆞ며 寒한夜야의 休휴拴젼外외ᄒᆞ라【○됴니ᄒᆞ기ᄂᆞᆫ ᄃᆞᄉᆞᆫ 외향의 머기며 뇨와 초ᄅᆞᆯ 더ᄒᆞ며 치운 밤의 밧ᄭᅴ ᄆᆡ디 말라】
蓽필澄딩茄가散산은 治티馬마腎신虛허ᄒᆞ야 後후脚각浮부腫죵ᄒᆞᄂᆞ니라【○필딩가산은 ᄆᆞᆯ이 신이 허ᄒᆞ야 뒷ᄯᅡ리 브은 ᄃᆡ 고티ᄂᆞ니라】

마경초집언해 하:73ㄱ

蓽필澄딩茄가 厚후朴박 茴회香향巴파戟극 桂계心심 益익智디주008)
익지(益智):
생강과의 익지의 열매를 말한다. 익지인(益智仁)이라고도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 익지는 비위의 허약으로 인한 복부팽만감, 신장 기능 허약으로 소변이 잦고, 대변을 힘없이 보는 증상, 임신 중 자궁출혈, 비장 수렴기능이 떨어져 콧물이 흐를 때 쓰인다.
檳빙榔낭 破파故고紙지 葫호蘆노芭파 川쳔練년子ᄌᆞ 肉육蓯죵蓉용주009)
육총용(肉蓯蓉):
열당과의 육종용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육질경(肉質莖)을 사용해 만든 약재. 종용(從容)은 말 그대로 느리고 부드러운 모양을 말하며 약의 성질을 묘사한 것이라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시며 짜고 조금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육종용은 양기를 보하며 장이 건조하여 생긴 변비, 신양부족의 요통, 다리의 연약하고 무력한 증, 이명, 건망, 유정, 유노, 불임, 대하, 하복부 냉증, 대출혈, 발한, 변비 등에 쓰인다.
肉육荳두蔲구 右우爲위末말ᄒᆞ야 每ᄆᆡ服복二이兩냥을 靑쳥葱총二이枝지과 飛비塩염半반兩냥과 苦고酒쥬一일升승애 同동煎젼三삼沸비ᄒᆞ야 草초後후애 灌관之지ᄒᆞ라【○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복 두 냥을 ᄑᆞ른주010)
ᄑᆞ른:
푸른. 파란[靑].
파 두 가지과 소곰 반 냥과 쓴 술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세 소ᄉᆞᆷ을 달혀 초 머근 후애 흘리라】
Ⓒ 언해 | 이서 / 17세기

맥박과 입의 색깔은 앞가슴 부위의 맥박이 가라앉고 가늘며 입 색깔은 푸르고 누르다. 병을 다스려 몸이 회복되게 하려면 따뜻한 외양간에서 먹이며 사료와 풀을 증가하며 추운 밤에 바깥에 매어 두지 말라.
필징가산은 말이 신장이 허약하여 뒷다리가 부은 것을 치료한다.
필징가(蓽澄茄), 후박(厚朴), 회향파극(茴香巴戟), 계심(桂心), 익지(益智), 빈랑(檳榔), 파고지(破故紙), 호로파(葫蘆芭), 천련자(川練子), 육종용(肉蓯蓉), 육두구(肉荳蔲).
위의 약재들을 가루로 만들어 복용할 때마다 두 냥을, 푸른 파 두 줄기와 소금 반 냥과 함께 쓴 술 한 되에 타서 세 번 솟아오르도록 달여서 풀 먹은 후에 먹이라.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이 패홈:나이가 들거나, 방로(房勞)의 과다로, 신(腎)의 기능이 매우 허약해져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증세이다[腎敗]. 신절(腎絶.)과 같은 말인데, 신절은 신기(腎氣)가 거의 없어져서 병이 몹시 위중해진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주002)
신경(腎經):콩팥의 경락(經絡). 경락이란 오장육부에 생긴 병이 몸 바깥으로 나타나는 자리로서, 이 부위를 침이나 뜸 등으로 자극하여 병을 치료한다.
주003)
뎐ᄒᆞ니:옮으니[傳].
주004)
사기(邪氣):나쁜 기운. 풍(風)·한(寒)·서(暑)·습(濕)·조(燥)·화(火)와 여기(癘氣) 등 병을 일으키는 요인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외감병(外感病)을 일으키는 외인을 말한다. 외인(外因)이란 몸 밖으로부터 침입한 사기를 말하므로, 외인을 외사(外邪)라고도 한다.
주005)
요과(腰胯):허리와 뒷다리.
주006)
단만(短慢):모자라고 게으름.
주007)
파산혈(巴山穴):말의 엉덩이 부분에 있는 혈자리. ‘하:72ㄱ’에 있는 ‘신허지도’를 참고할 것.
주008)
익지(益智):생강과의 익지의 열매를 말한다. 익지인(益智仁)이라고도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 익지는 비위의 허약으로 인한 복부팽만감, 신장 기능 허약으로 소변이 잦고, 대변을 힘없이 보는 증상, 임신 중 자궁출혈, 비장 수렴기능이 떨어져 콧물이 흐를 때 쓰인다.
주009)
육총용(肉蓯蓉):열당과의 육종용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육질경(肉質莖)을 사용해 만든 약재. 종용(從容)은 말 그대로 느리고 부드러운 모양을 말하며 약의 성질을 묘사한 것이라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고 시며 짜고 조금 쓰며 성질은 따뜻하다. 육종용은 양기를 보하며 장이 건조하여 생긴 변비, 신양부족의 요통, 다리의 연약하고 무력한 증, 이명, 건망, 유정, 유노, 불임, 대하, 하복부 냉증, 대출혈, 발한, 변비 등에 쓰인다.
주010)
ᄑᆞ른:푸른. 파란[靑].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