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31. 마환수루불수병도(馬患垂縷不收倂圖)
메뉴닫기 메뉴열기

31. 마환수루불수병도(馬患垂縷不收倂圖)


◎馬마患환垂슈縷루不블收슈이라
垂슈縷루不블收슈者쟈ᄂᆞᆫ 腎신虧휴之지症증也야니【○슈루주001)
수루(垂縷):
드리워진 것.
ᄒᆞ야 거두지 못ᄒᆞᄂᆞᆫ 쟈ᄂᆞᆫ 신이 휴ᄒᆞᆫ주002)
휴ᄒᆞᆫ:
손상을 입은[虧].
증이니】
皆ᄀᆡ因인瘦수馬

마경초집언해 하:79ㄴ

마이 勞노傷샹過과度도ᄒᆞ며 空공膓댱애 誤오飮음濁탁水슈太태過과ᄒᆞ야 停뎡立닙不블散산ᄒᆞ야 流뉴入입腎신經경ᄒᆞ야 滲ᄉᆞᆷ於어臍졔下하ᄒᆞ야 積젹於어袖슈口구ᄒᆞ야 凝응結결而이成셩腫죵也야라【○다 여윈 ᄆᆞᆯ이 노샹주003)
노상(勞傷):
피로가 심하여 몸이 약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홈이 과도ᄒᆞ며 공댱애 흐린 믈을 넘우 넘게 그릇 머겨 머므러 셰여주004)
셰여:
세워[立].
분산케 아니ᄒᆞ야 신경의 흘러 드러 졔하주005)
제하(臍下):
배꼽 밑.
스믜여주006)
스믜여:
스미어. 배어[滲].
슈구주007)
수구(袖口):
음경(陰莖)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98ㄴ’에 있는 ‘비튱교슈도’를 참고할 것.
에 ᄡᅡ히여 응결주008)
응결(凝結):
한데 엉겨 뭉침.
ᄒᆞ야 둉긔주009)
둉긔:
종기(腫氣). 피부의 털구멍으로 화농성 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
일옴주010)
일옴:
발생함. 생김[成].
을 인연홈이라】
令녕獸슈로 尿뇨𦠅심不블縮츅ᄒᆞ며 垂슈縷루難난收슈ᄒᆞ며 草초細셰膁겸弔됴ᄒᆞ며 胯과拽예腰요拖타ᄒᆞᄂᆞ니 破파故고紙지散산으로 治티之지ᄒᆞ고【○즘ᄉᆡᆼ으로 ᄒᆞ여곰 뇨심을 주리혀디주011)
# 주리혀며:
줄이며[縮].
못ᄒᆞ며 드리디여주012)
드리디여:
드리워[垂].
거두기 어려워ᄒᆞ며 초ᄅᆞᆯ 젹이 먹고 녑구리 거두혀며 다리ᄅᆞᆯ ᄭᅳ을고 허리 ᄭᅳ으ᄂᆞ니】

마경초집언해 하:80ㄱ

垂슈 縷루 不블 收슈 圖도

마경초집언해 하:80ㄴ

【파고지산으로 고티고】 火화針침腰요上샹七칠穴혈ᄒᆞ라【○요샹 닐곱 혈주013)
요샹 닐곱혈:
허리 위의 일곱 군데 혈자리[腰上七穴]. ‘하:80ㄱ’에 있는 ‘슈루블슈도’를 참고할 것.
을 화침ᄒᆞ라】
脉ᄆᆡᆨ色ᄉᆡᆨ은 雙쌍鳧부이 遲디細셰ᄒᆞ며 口구色ᄉᆡᆨ이 如여綿면ᄒᆞ고【○ᄆᆡᆨ과 빗ᄎᆞᆫ 쌍부 ᄆᆡᆨ이 디셰ᄒᆞ며주014)
디셰ᄒᆞ며:
더디고 가늘며[遲細].
입빗치 소옴 ᄀᆞᆺ고】
調됴理니ᄂᆞᆫ 增증料뇨草초ᄒᆞ며 省ᄉᆡᆼ奔분馳티ᄒᆞ며 夜야拴젼煖난廐구ᄒᆞ며 乾간馬마糞분으로 鋪포地디臥와之지ᄒᆞ며 莫막飮음空공腸댱水슈ᄒᆞ며 休휴拴젼濕습地디綿면ᄒᆞ라【○됴니ᄒᆞ기ᄂᆞᆫ 뇨츠[초]ᄅᆞᆯ 더ᄒᆞ며 ᄃᆞᆯ리기ᄅᆞᆯ 덜ᄒᆞ며 밤의 ᄃᆞᄉᆞᆫ 외양애 ᄆᆡ며 ᄆᆞᄅᆞᆫ주015)
ᄆᆞᄅᆞᆫ:
마른. 건조한[乾].
ᄱᆞᆯ[ᄆᆞᆯ]주016)
ᄱᆞᆯ:
‘ᄆᆞᆯ[馬]’의 오각임.
ᄯᅩᆼ으로 ᄯᅡ해 펴고 누이며 공댱애 믈을 머기디 말며 저즌 ᄯᅡᄒᆡ ᄆᆡ야 조올게주017)
조올게:
졸도록[眠].
말라】

드리워져서 거두지 못하는 것은 신장(腎臟)이 손상을 입은 증상이니, 모두가 여윈 말이 심한 피곤으로 크게 허약해지고, 빈속에 깨끗지 못한 물을 지나치게 잘못 먹임으로 〈그 물이〉 멈춰 서서 흩어지지 아니하고 신경(腎經)으로 흘러들어 배꼽 밑에 스미며 음경에 쌓여 엉기므로 종기가 생긴 때문이다. 말이 요심을 줄이지 못하며 드리워 거두기 어려워하며, 풀을 적게 먹고 옆구리를 오그리며 다리를 끌고 허리를 끌므로 파고지산(破故紙散)으로 치료하고, 허리 위의 일곱 군데 혈자리에 불에 달군 침을 놓으라. 맥박과 입 색깔은 앞가슴의 맥박이 더디면서 가늘고 입의 색깔은 솜같이 희다. 병을 다스려 몸이 회복되게 하려면 사료와 풀을 더하고 달리기를 덜하며, 밤에는 따뜻한 외양간에 매어 두고 건조한 말똥을 땅에 깔고 눕히며, 빈속에 물을 먹이지 말며, 젖은 땅에 매어 두고 졸도록 하지 말라.

破파故고紙지散산은 治티馬마腎신敗패ᄒᆞ야 垂슈

마경초집언해 하:81ㄱ

縷루不블收슈라【○파고지산은 ᄆᆞᆯ이 신이 패ᄒᆞ야주018)
신이 패ᄒᆞ야:
신장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서[腎敗].
드리워 거두디 못ᄒᆞᄂ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破파故고紙지 肉육荳두蔲구 茴회香향 厚후朴박 靑쳥皮피 陳딘皮피 葫호蘆노芭파 川쳔鍊년子ᄌᆞ 巴파戟극 右우爲위末말ᄒᆞ야 每ᄆᆡ服복一일兩냥을 水슈一일鍾죵애 煎젼三삼沸비ᄒᆞ야 入입童동便변半반盞잔ᄒᆞ야 空공草초애 溫온灌관ᄒᆞ라【○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복 ᄒᆞᆫ 냥을 믈 ᄒᆞᆫ 죵ᄌᆞ주019)
종자(鍾子):
종지. 종발보다 작은 그릇.
애 세 소ᄉᆞᆷ을 달혀 동변 반 잔을 녀허 공초애 ᄃᆞᄉᆞ게 ᄒᆞ야 흘리라】
荊형芥개湯탕이라

마경초집언해 하:81ㄴ

防방風풍 蒼창朮튤 薄박荷하 艾애葉엽 排ᄇᆡ風풍草초주020)
배풍초(排風草):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반관목 또는 다년초이다. 유독식물이며 열매는 해열, 이뇨, 거풍 등에 사용한다.
荊형芥개
右우剉좔ᄒᆞ야 水슈三삼升승애 煎젼三삼沸비ᄒᆞ야 去거滓ᄌᆡᄒᆞ고 揚양去거火화氣긔ᄒᆞ고 帶ᄃᆡ熱열洗셰之지ᄒᆞ라【○우ᄅᆞᆯ ᄡᅡᄒᆞ라 믈 세 되애 세 소ᄉᆞᆷ을 달혀 즈의주021)
즈의:
찌꺼기[滓]. 15세기에는 ‘즛의/즈ᇫ의’로 표기되었다.
ᄅᆞᆯ ᄇᆞ리고 화긔주022)
화기(火氣):
불기운.
ᄅᆞᆯ 부처주023)
부처:
부채로 날려[揚].
ᄇᆞ리고 덥게 ᄒᆞ야 싯기라주024)
싯기라:
씻기라[洗].
Ⓒ 언해 | 이서 / 17세기

파고지산은 말이 신(腎)의 기능이 매우 허약해져서 드리워 거두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파고지(破故紙), 육두구(肉荳蔲), 회향(茴香), 후박(厚朴), 청피(靑皮), 진피(陳皮), 호로파(葫蘆芭), 천련자(川鍊子), 파극(巴戟).
위의 약재들을 가루로 만들어 복용할 때마다 한 냥을 물 한 종지에 타서 세 번 솟아오르도록 달이고 사내아이의 소변 반 잔을 넣어, 풀을 먹이지 말고 따뜻하게 하여 먹이라.
형개탕(荊芥湯)이다.
방풍(防風), 창출(蒼朮), 박하(薄荷), 애엽(艾葉), 배풍초(排風草), 형개(荊芥).
위의 약재들을 썰어서 물 석 되로 세 번 솟아오르도록 달여 찌꺼기를 제거하고 불기운을 날려 버리고는 덥게 하여 씻기라.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수루(垂縷):드리워진 것.
주002)
휴ᄒᆞᆫ:손상을 입은[虧].
주003)
노상(勞傷):피로가 심하여 몸이 약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주004)
셰여:세워[立].
주005)
제하(臍下):배꼽 밑.
주006)
스믜여:스미어. 배어[滲].
주007)
수구(袖口):음경(陰莖) 부분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98ㄴ’에 있는 ‘비튱교슈도’를 참고할 것.
주008)
응결(凝結):한데 엉겨 뭉침.
주009)
둉긔:종기(腫氣). 피부의 털구멍으로 화농성 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
주010)
일옴:발생함. 생김[成].
주011)
# 주리혀며:줄이며[縮].
주012)
드리디여:드리워[垂].
주013)
요샹 닐곱혈:허리 위의 일곱 군데 혈자리[腰上七穴]. ‘하:80ㄱ’에 있는 ‘슈루블슈도’를 참고할 것.
주014)
디셰ᄒᆞ며:더디고 가늘며[遲細].
주015)
ᄆᆞᄅᆞᆫ:마른. 건조한[乾].
주016)
ᄱᆞᆯ:‘ᄆᆞᆯ[馬]’의 오각임.
주017)
조올게:졸도록[眠].
주018)
신이 패ᄒᆞ야:신장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어서[腎敗].
주019)
종자(鍾子):종지. 종발보다 작은 그릇.
주020)
배풍초(排風草):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반관목 또는 다년초이다. 유독식물이며 열매는 해열, 이뇨, 거풍 등에 사용한다.
주021)
즈의:찌꺼기[滓]. 15세기에는 ‘즛의/즈ᇫ의’로 표기되었다.
주022)
화기(火氣):불기운.
주023)
부처:부채로 날려[揚].
주024)
싯기라:씻기라[洗].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