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44. 치마부골저방(治馬附骨疽方)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치마부골저방(治馬附骨疽方)


◎治티馬마附부骨골疽뎌라【○ᄆᆞᆯ 부골져주001)
부골저(附骨疽):
달리 후골저(朽骨疽), 자저(疵疽)라고도 일컬음. 저(疽)의 하나. 뼈에 고름집이 생긴 것을 말한다. 부골저를 생긴 부위에 따라 넓적다리 바깥쪽에 생긴 것을 부골저(附骨疽), 넓적다리 안쪽에 생긴 깃을 교골저(咬骨疽), 얼굴이나 정강이 · 팔뚝 등 여러 곳에 생긴 것을 다골저(多骨疽)라고 한다. 부골저는 습열독(濕熱毒)이나 풍한습사(風寒濕邪)가 뼈에 침입하였거나, 외상을 받아 기와 혈액 순환 장애가 생기고 어혈이 열로 되어 곪는 결과 생긴다.
고팀이라】
明명松숑脂지주002)
명송지(明松脂):
소나무 진을 말한다. 습(濕)을 말리고, 살충(殺蟲)하며, 새살이 돋게 하고, 농(膿)을 배출시키고, 지혈(止血)하고, 열(熱)을 내리고, 풍(風)을 제거하며, 기운을 내리고, 귀와 눈을 맑게 하며, 심폐(心肺)를 윤택하게 하고,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고,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葱총白ᄇᆡᆨ주003)
총백(葱白):
파의 흰 밑을 뿌리와 함께 잘라 낸 것.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땀을 내며 풍한사(風寒邪)를 내보내고 양기를 잘 통하게 하며, 독을 제거하고 태아를 안정시킨다. 풍한표증(風寒表證), 감기, 소화 장애, 설사, 세균성 적리(赤痢), 저혈압, 태동불안(胎動不安), 부스럼, 궤양 등에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덥혀서 찜질한다.
醬쟝주004)
장(醬):
콩을 주원료로 발효시켜 만든 조미료. 한국음식의 기본 조미료인 간장·된장·고추장을 총칭하는 말이다.
塩념주005)
염(塩):
소금.
右우ᄅᆞᆯ 等등分분爛난擣도ᄒᆞ야 納납瘡창口구ᄒᆞ라【○우ᄅᆞᆯ 등분ᄒᆞ야 즛ᄯᅵ허주006)
즛ᄯᅵ허:
짓찧어[爛擣].
창구주007)
창구(瘡口):
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
애 녀흐라】
Ⓒ 언해 | 이서 / 17세기

말의 부골저(附骨疽)를 치료함이다.
명송지(明松脂), 총백(葱白), 장(醬), 염(塩).
위의 약재들을 똑같은 분량으로 짓찧어 종기 구멍에 넣으라.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골저(附骨疽):달리 후골저(朽骨疽), 자저(疵疽)라고도 일컬음. 저(疽)의 하나. 뼈에 고름집이 생긴 것을 말한다. 부골저를 생긴 부위에 따라 넓적다리 바깥쪽에 생긴 것을 부골저(附骨疽), 넓적다리 안쪽에 생긴 깃을 교골저(咬骨疽), 얼굴이나 정강이 · 팔뚝 등 여러 곳에 생긴 것을 다골저(多骨疽)라고 한다. 부골저는 습열독(濕熱毒)이나 풍한습사(風寒濕邪)가 뼈에 침입하였거나, 외상을 받아 기와 혈액 순환 장애가 생기고 어혈이 열로 되어 곪는 결과 생긴다.
주002)
명송지(明松脂):소나무 진을 말한다. 습(濕)을 말리고, 살충(殺蟲)하며, 새살이 돋게 하고, 농(膿)을 배출시키고, 지혈(止血)하고, 열(熱)을 내리고, 풍(風)을 제거하며, 기운을 내리고, 귀와 눈을 맑게 하며, 심폐(心肺)를 윤택하게 하고,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고, 오장(五臟)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주003)
총백(葱白):파의 흰 밑을 뿌리와 함께 잘라 낸 것.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땀을 내며 풍한사(風寒邪)를 내보내고 양기를 잘 통하게 하며, 독을 제거하고 태아를 안정시킨다. 풍한표증(風寒表證), 감기, 소화 장애, 설사, 세균성 적리(赤痢), 저혈압, 태동불안(胎動不安), 부스럼, 궤양 등에 쓴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덥혀서 찜질한다.
주004)
장(醬):콩을 주원료로 발효시켜 만든 조미료. 한국음식의 기본 조미료인 간장·된장·고추장을 총칭하는 말이다.
주005)
염(塩):소금.
주006)
즛ᄯᅵ허:짓찧어[爛擣].
주007)
창구(瘡口):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서 생긴 구멍.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