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마경초집언해 하

  • 역주 마경초집언해
  • 마경초집언해 하
  • 34. 마환상뇨병도(馬患傷料倂圖)
메뉴닫기 메뉴열기

34. 마환상뇨병도(馬患傷料倂圖)


◎馬마患환傷샹料뇨이라
傷샹料뇨者쟈ᄂᆞᆫ 生ᄉᆡᆼ料뇨過과傷샹也야니【○뇨애 샹ᄒᆞᆫ 이ᄂᆞᆫ ᄉᆡᆼ뇨주001)
생료(生料):
말리거나 익히지 않은 먹이. 생 사료.
ᄅᆞᆯ 넘우 머거 샹홈이니】
皆ᄀᆡ因인蓄튝養양太태盛셩ᄒᆞ야 多다喂외少쇼騎긔ᄒᆞ니 穀곡氣긔凝응於어脾비胃위ᄒᆞ며 料뇨毒독이 積젹於어腸댱中듕ᄒᆞ야 不블能능運운化화ᄒᆞ야 邪샤熱열이 妄망行ᄒᆡᆼ也야라【○다 치기ᄅᆞᆯ 넘우 셩히 ᄒᆞ야 머김을 하게 ᄒᆞ고 ᄐᆞ기ᄂᆞᆯ 젹이 ᄒᆞ니 곡셕 긔운이 비위예 엉긔며 뇨의 독이 챵ᄌᆞ ᄭᅡ】

마경초집언해 하:86ㄱ

傷샹料뇨之지圖도

마경초집언해 하:86ㄴ

【온대 싸히여 능히 운화주002)
운화(運化):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영양 물질과 수분을 흡수하여 온 몸에 운반하는 기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기능을 말하며, 비위(脾胃)가 주로 운화 기능을 수행한다.
티 못ᄒᆞ야 샤열주003)
사열(邪熱):
외사(外邪)에 의하여 생긴 열을 말한다.
망녕저이주004)
망녕저이:
망녕젓-[妄]+-이(부사형 접미사). 망령(妄靈)되게. 망령스럽게.
ᄒᆡᆼ홈을 인연홈이니라】
令녕獸슈로 神신昏혼似ᄉᆞ醉ᄎᆔᄒᆞ며 眼안閉폐頭두低뎌ᄒᆞ며 拘구行ᄒᆡᆼ步보束속ᄒᆞ며 四ᄉᆞ足죡如여攢찬ᄒᆞᄂᆞ니【○즘셩주005)
즘셩:
짐승[獸]. 이 문헌에는 ‘즘ᄉᆡᆼ’의 표기가 일관되게 쓰인 가운데 ‘즘셩’의 표기가 돌출한 것이다.
으로 ᄒᆞ여곰 졍신이 어두어 술 ᄎᆔᄒᆞᆫ ᄃᆞᆺᄒᆞ며 눈을 ᄀᆞᆷ고 머리 ᄂᆞᆺ초며 거름을 뭇근 ᄃᆞ시 거르며 네 발을 모도ᄂᆞ니주006)
모도ᄂᆞ니:
모으니.
此ᄎᆞ謂위穀곡料뇨所소傷샹之지症증也야니 麴국蘖얼散산으로 治티之지ᄒᆞ고【○이 닐온 곡뇨의 상[샹]ᄒᆞᆫ 증이니 국얼산으로 고티고】 徹텰蹄뎨頭두血혈ᄒᆞ라【○뎨두 필ᄅᆞᆯ주007)
필ᄅᆞᆯ:
피[血]를.
ᄲᅡ이라】

사료로 손상을 입은 것은 생사료를 지나치게 먹어서 입은 손상이니, 모두 말치는 것을 너무 활발히 해서 많이 먹이고 말 타기를 적게 하므로, 곡식의 기운이 비위(脾胃)에 엉기며 사료의 독이 창자 가운데 쌓여 능히 소화해 내지를 못하고, 나쁜 열이 망령되게 행하기 때문이다. 말이 정신이 혼미해져 술 취한 듯하며, 눈을 감고 머리를 떨구며, 걸음을 다리 묶은 듯이 걸으며 네 발을 모으니, 이것이 이른바 곡물 사료로 손상을 입은 증상이므로 국얼산(麴蘖散)으로 치료하고 발굽머리의 피를 뽑으라.

脉ᄆᆡᆨ色ᄉᆡᆨ은 雙쌍鳧부이 洪홍大대ᄒᆞ며 脣슌舌셜이 鮮션紅홍ᄒᆞ고【○ᄆᆡᆨ과 ᄉᆡᆨ은 쌍부ᄆᆡᆨ이 넙고 크며 입시울과 혜 빗치 ᄭᆡᄀᆞ지 븕고】 調됴理니ᄂᆞᆫ 日일縱죵於어郊교ᄒᆞ며 夜야散산於어廐구

마경초집언해 하:87ㄱ

ᄒᆞ야 勿믈令녕繫계之지ᄒᆞ고 一일切졀生ᄉᆡᆼ料뇨ᄅᆞᆯ 忌긔之지ᄒᆞ라【○됴니ᄒᆞ기ᄂᆞᆫ 나ᄌᆡ 드르희 노ᄒᆞ며 밤의 오향의 노하 ᄒᆞ여곰 ᄆᆡ디 말고 일졀이 ᄉᆡᆼ뇨ᄅᆞᆯ 금긔ᄒᆞ라】
麴국蘖얼散산은 治티馬마傷샹料뇨이니라【○국얼산은 ᄆᆞᆯ이 뇨애 샹ᄒᆞᆫ ᄃᆡ 고티ᄂᆞ니라】
麴국蘖얼주008)
국얼(麴蘖):
술을 빚는 데 쓰는 발효제(醱酵劑), 즉 누룩을 말한다.
神신麴국주009)
신국(神麴):
밀가루에 다른 한약재를 섞어서 발효시켜 말린 것. 밀기울째로 가루를 낸 밀가루와 행인(杏仁.. 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것)·적소두(赤小豆. 삶은 것)·청호(靑蒿. 신선한 것)·창이(蒼耳. 신선한 것)·날료(辣蓼. 신선한 것) 등을 짓찧어 짠 즙을 고루 섞어 반죽한 다음, 떡처럼 빚어 쌓아 놓고 약쑥을 덮어서 1주일 동안 띄운다. 이것을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비경(脾經)·위경(胃經)에 작용한다. 소화를 촉진하고 식욕을 돋우며,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음식에 체한 데, 헛배가 부르면서 소화가 안 되고, 식욕이 부진하며 설사하는 데 쓴다.
甘감草초 山산査사子ᄌᆞ주010)
산사자(山査子):
산사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 식적(食積)을 삭히고 오랜 체기를 풀어 주며 기가 몰린 것을 잘 돌아가게 하고, 적괴(積塊), 담괴(痰塊), 혈괴(血塊)를 삭히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이질을 치료하며 종창을 빨리 곪게 한다.
厚후朴박 枳기殼각 陳딘皮피 靑쳥皮피 蒼창朮튤 右우爲위末말ᄒᆞ야 每ᄆᆡ服복二이兩냥을 生ᄉᆡᆼ油유二이兩냥과 生ᄉᆡᆼ蘿나葍복一일箇개搗도爛난과 童동便변一일升승

마경초집언해 하:87ㄴ

애 同동調됴灌관之지ᄒᆞ라【○우ᄅᆞᆯ ᄀᆞᄅᆞ ᄆᆡᆼᄃᆞ라 ᄆᆡ복 두 냥을 기ᄅᆞᆷ 두 냥과 ᄉᆡᆼ무우 ᄒᆞᆫ 낫주011)
ᄒᆞᆫ 낫:
ᄒᆞᆫ[一]+낱[箇]. 한 개. 한 낱.
두드린 것과 동변 ᄒᆞᆫ 되애 ᄒᆞᆫᄃᆡ 골라 흘리라】
Ⓒ 언해 | 이서 / 17세기

맥박과 입의 색깔은 앞가슴의 맥박이 넓고 크게 뛰며 입술과 혀의 색깔은 선명하게 붉다. 병을 다스려 몸이 회복되게 하려면 낮에는 들에 놓아두며 밤에는 외양간에 놓아두고 매지 말며 일절 생사료는 금하라.
국얼산은 말이 사료로 손상을 입은 것을 치료한다.
국얼(麴蘖), 신국(神麴), 감초(甘草), 산사자(山査子), 후박(厚朴), 지각(枳殼), 진피(陳皮), 청피(靑皮), 창출(蒼朮). 위의 약재들을 가루로 만들어 복용할 때마다 두 냥을, 기름 두 냥과 생 무 한 개를 두드린 것과 함께 사내아이의 오줌 한 되에 타서 골고루 섞어 먹이라.
Ⓒ 역자 | 김문웅 / 2016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생료(生料):말리거나 익히지 않은 먹이. 생 사료.
주002)
운화(運化):음식물을 소화시키고 영양 물질과 수분을 흡수하여 온 몸에 운반하는 기능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기능을 말하며, 비위(脾胃)가 주로 운화 기능을 수행한다.
주003)
사열(邪熱):외사(外邪)에 의하여 생긴 열을 말한다.
주004)
망녕저이:망녕젓-[妄]+-이(부사형 접미사). 망령(妄靈)되게. 망령스럽게.
주005)
즘셩:짐승[獸]. 이 문헌에는 ‘즘ᄉᆡᆼ’의 표기가 일관되게 쓰인 가운데 ‘즘셩’의 표기가 돌출한 것이다.
주006)
모도ᄂᆞ니:모으니.
주007)
필ᄅᆞᆯ:피[血]를.
주008)
국얼(麴蘖):술을 빚는 데 쓰는 발효제(醱酵劑), 즉 누룩을 말한다.
주009)
신국(神麴):밀가루에 다른 한약재를 섞어서 발효시켜 말린 것. 밀기울째로 가루를 낸 밀가루와 행인(杏仁.. 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것)·적소두(赤小豆. 삶은 것)·청호(靑蒿. 신선한 것)·창이(蒼耳. 신선한 것)·날료(辣蓼. 신선한 것) 등을 짓찧어 짠 즙을 고루 섞어 반죽한 다음, 떡처럼 빚어 쌓아 놓고 약쑥을 덮어서 1주일 동안 띄운다. 이것을 햇볕에 말린다.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비경(脾經)·위경(胃經)에 작용한다. 소화를 촉진하고 식욕을 돋우며, 비장을 튼튼하게 한다. 음식에 체한 데, 헛배가 부르면서 소화가 안 되고, 식욕이 부진하며 설사하는 데 쓴다.
주010)
산사자(山査子):산사나무의 열매를 말린 것. 식적(食積)을 삭히고 오랜 체기를 풀어 주며 기가 몰린 것을 잘 돌아가게 하고, 적괴(積塊), 담괴(痰塊), 혈괴(血塊)를 삭히고, 비(脾)를 든든하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이질을 치료하며 종창을 빨리 곪게 한다.
주011)
ᄒᆞᆫ 낫:ᄒᆞᆫ[一]+낱[箇]. 한 개. 한 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