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하권
  • 제12 견문이익품(見聞利益品)
  • 제12 견문이익품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2 견문이익품 005


묘락을 초주001)
초:
갖추어. 여러 가지를 골고루. -[具]+호(사동접미사). 이 ‘초’는 사동사 어간 ‘초-’가 접사 없이 영파생된 부사이다. 현대국어 사전에도 부사 ‘갖추’가 있기는 하나, 의고적인 낱말이다. 현대국어의 표기법 ‘갖추-’는 이 낱말(사동사)의 구조를 ‘갖-+추(사동접미사)’로 인식한 결과이다. ‘맞추-’도 이와 같다. 즉 ‘맞-[適]+호(사동접미사)’의 구조인 ‘마초-’를 ‘맞-+추’로 인식한 결과인 것이다.
슈야주002)
슈ᄒᆞ야:
수(受)하여. 받아.
인괘주003)
인괘:
인과(因果)가. 인과+ㅣ(주격 조사). 여기서는 ‘인(因)에 따른 과(果)’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쟝 니그면 부텨의주004)
부텨의:
부처의. 이 책에 쓰인 ‘의’의 대부분이 부사격 조사인데, 여기의 ‘의’는 관형격 조사이다.
슈긔주005)
슈긔:
수기(授記). 부처가 제자에게 미래에 성불할 것이라고 예언하는 것.
을 만나리니 네 이제 큰 비 자주006)
ᄀᆞ자:
갖추어. -[具]+아(연결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였다. 다음 예문에서는 ‘ᄀᆞ자’가 자동사로 쓰였다. ¶修行 微妙 法門이 오직 이 荷澤祖師의 치샨 말매 자 잇니라〈법집별행록 10ㄱ〉.
즁과 텬룡팔부을 어엳비주007)
어엳비:
가엾게. 어엿브-[憐愍]+이(부사형 어미). ‘ㅅ’ 말음을 ‘ㄷ’으로 표기한 것이다.
너겨주008)
너겨:
여겨. 너기다〉녀기다〉여기다. 약사전판에는 ‘녀겨’로 적혀 있다.
내 디장보살 블의 니익 이 펴 니르거든 듯고져 니 네 펴 드르라 내 이제 닐오리라 관셰음이 오샤 유연주009)
유연:
유연(唯然). 대답하는 말 ‘예’에 해당하는 한자어이다. 이에 해당하는 중세국어 시기의 고유어는 ‘에ᇰ’이었다. 약사전판에는 ‘유원’으로 잘못 적혀 있다.
셰존하 원노니 듯고져 노이다 부톄 관셰음 보살려 니샤 미 현 졔 셰계 즁의주010)
즁의:
중(中)에.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텬인의주011)
텬인의:
천인(天人)의. ‘텬인’은 천상계와 인간계의 유정(有情). 신들과 인간. ‘의’는 관형격 조사이다.
슈복주012)
슈복:
수복(受福). 복을 받음.
이 다야 오쇠샹주013)
오쇠샹:
오쇠상(五衰相). 천계에 사는 천신(天神)들이 죽기 전에 그 몸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징후. (1)옷에 때가 묻어서 더러워진다. (2)머리 위의 화관(花冠)이 시든다. (3)몸에서 더러운 냄새가 난다. (4)겨드랑이에 땀이 난다. (5)제자리에 있는 것이 즐겁지 않다. 그 밖에도 문헌에 따라, 몸에서 나던 광명이 그 빛을 잃는다거나, 왕녀(王女) 즉 부인이 배반하는 것 등을 들기도 한다.
현커나주014)
현커나:
현(現)하거나. 나타나거나.

지장경언해 하:11ㄱ

악도의주015)
악도의:
악도(惡道)에. ‘악도’는 ‘악취(惡趣)’라고도 한다. 악한 업인(業因)에 대한 과보로서 태어나는 곳. 6도(道) 중에서 흔히 3악도로 꼽히는 지옥계(地獄界), 아귀계(餓鬼界), 축생계(畜生界)가 해당하며, 아수라계(阿修羅界)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러디리주016)
ᄯᅥ러디리:
떨어질 사람이. ᄯᅥᆯ-[墜落]+어+디-(피동 보조 동사 어간)+ㄹ+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월인석보』(21하:159ㄱ)에는 ‘ᄠᅥ러디리’로 적혀 있다.
이셔 이  텬인주017)
텬인:
천인(天人). 천상계와 인간계의 유정(有情). 신들과 인간.
이 남이어나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묘락(妙樂)을 받아 인과(因果)가 장차 익으면, 부처의 수기(授記)를 만나리니, 너는 이제 큰 자비를 갖추고, 중생과 천룡팔부(天龍八部)를 가엾게 여겨서, 내가 지장보살 불사의(不思議)한 이익(利益)되는 일을 펼쳐서 이르면 듣고자 하나니, 너는 살펴서 들어라. 내가 이제 이르리라.” 관세음이 아뢰시되, “예, 세존이시여, 원하나니 듣잡고자 하나이다.” 부처께서 관세음보살더러 이르시되, “미래 현재 모든 세계 중에 천인(天人)의 수복(受福)이 다하여 오쇠상(五衰相)이 현(現)하거나 혹 악도(惡道)에 떨어질 사람이 있을 텐데, 이 같은 천인(天人)이 남자이거나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초:갖추어. 여러 가지를 골고루. -[具]+호(사동접미사). 이 ‘초’는 사동사 어간 ‘초-’가 접사 없이 영파생된 부사이다. 현대국어 사전에도 부사 ‘갖추’가 있기는 하나, 의고적인 낱말이다. 현대국어의 표기법 ‘갖추-’는 이 낱말(사동사)의 구조를 ‘갖-+추(사동접미사)’로 인식한 결과이다. ‘맞추-’도 이와 같다. 즉 ‘맞-[適]+호(사동접미사)’의 구조인 ‘마초-’를 ‘맞-+추’로 인식한 결과인 것이다.
주002)
슈ᄒᆞ야:수(受)하여. 받아.
주003)
인괘:인과(因果)가. 인과+ㅣ(주격 조사). 여기서는 ‘인(因)에 따른 과(果)’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004)
부텨의:부처의. 이 책에 쓰인 ‘의’의 대부분이 부사격 조사인데, 여기의 ‘의’는 관형격 조사이다.
주005)
슈긔:수기(授記). 부처가 제자에게 미래에 성불할 것이라고 예언하는 것.
주006)
ᄀᆞ자:갖추어. -[具]+아(연결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여기서는 타동사로 쓰였다. 다음 예문에서는 ‘ᄀᆞ자’가 자동사로 쓰였다. ¶修行 微妙 法門이 오직 이 荷澤祖師의 치샨 말매 자 잇니라〈법집별행록 10ㄱ〉.
주007)
어엳비:가엾게. 어엿브-[憐愍]+이(부사형 어미). ‘ㅅ’ 말음을 ‘ㄷ’으로 표기한 것이다.
주008)
너겨:여겨. 너기다〉녀기다〉여기다. 약사전판에는 ‘녀겨’로 적혀 있다.
주009)
유연:유연(唯然). 대답하는 말 ‘예’에 해당하는 한자어이다. 이에 해당하는 중세국어 시기의 고유어는 ‘에ᇰ’이었다. 약사전판에는 ‘유원’으로 잘못 적혀 있다.
주010)
즁의:중(中)에.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주011)
텬인의:천인(天人)의. ‘텬인’은 천상계와 인간계의 유정(有情). 신들과 인간. ‘의’는 관형격 조사이다.
주012)
슈복:수복(受福). 복을 받음.
주013)
오쇠샹:오쇠상(五衰相). 천계에 사는 천신(天神)들이 죽기 전에 그 몸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징후. (1)옷에 때가 묻어서 더러워진다. (2)머리 위의 화관(花冠)이 시든다. (3)몸에서 더러운 냄새가 난다. (4)겨드랑이에 땀이 난다. (5)제자리에 있는 것이 즐겁지 않다. 그 밖에도 문헌에 따라, 몸에서 나던 광명이 그 빛을 잃는다거나, 왕녀(王女) 즉 부인이 배반하는 것 등을 들기도 한다.
주014)
현커나:현(現)하거나. 나타나거나.
주015)
악도의:악도(惡道)에. ‘악도’는 ‘악취(惡趣)’라고도 한다. 악한 업인(業因)에 대한 과보로서 태어나는 곳. 6도(道) 중에서 흔히 3악도로 꼽히는 지옥계(地獄界), 아귀계(餓鬼界), 축생계(畜生界)가 해당하며, 아수라계(阿修羅界)까지 포함시키기도 한다.
주016)
ᄯᅥ러디리:떨어질 사람이. ᄯᅥᆯ-[墜落]+어+디-(피동 보조 동사 어간)+ㄹ+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월인석보』(21하:159ㄱ)에는 ‘ᄠᅥ러디리’로 적혀 있다.
주017)
텬인:천인(天人). 천상계와 인간계의 유정(有情). 신들과 인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