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하권
  • 제11 견뢰지신옹호품(堅牢地神擁護品)
  • 제11 견뢰지신옹호품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1 견뢰지신옹호품 004


부톄

지장경언해 하:7ㄴ

견뇌디신주001)
견뇌디신:
견뢰지신(堅牢地神). ‘대지를 견고하게 한다’ 하여 ‘지신(地神)’을 수식하여 부르는 말.
려 니샤 네 큰 신력을 주002)
졔:
제(諸). 모든.
신이 미츠리주003)
미츠리:
미칠 이가. 및-[及]+을(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졔 신이 미츠리 ∼’는 이중주어문이다.
져그니 엇뎨어뇨 염부주004)
염부:
염부제(閻浮提). ‘염부제’는 인간세계 또는 현세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토디주005)
토디:
토지(土地)가. 토디+Ø(주격 조사).
다 네 옹호주006)
옹호:
옹호(擁護). 보호(保護).
을 니브며 초목이며 사셕이며 도마듁위주007)
도마듁위:
도마죽위(稻麻竹葦). 벼와 삼과 대와 갈대. 또는 이 넷이 서로 엉키어 있다는 뜻으로, 많은 물건이 모여 서로 엉킨 모양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며 곡미 보패주008)
보패:
보배. ‘보배’는 한자어 ‘寶貝’에서 변한 것이다. 15세기에 ‘보ᄇᆡ’로 적히기도 하였다. ‘貝’의 동국정운음은 ‘·뱅’이다(동국정운 5:33ㄱ).
니르히주009)
니르히:
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는 ‘니르리’가 쓰이지만, ‘니르히’의 예도 적지 않다. ‘니르히’의 구조는 분명치 않다. ‘니릏다’라는 동사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주010)
ᄯᅡᄒᆞᆯ:
땅을. ᄯᅡᇂ[地]+ᄋᆞᆯ(목적격 조사).
죵야주011)
죵ᄒᆞ야:
종(從)하여. (-에) 딸려.
잇 거시 다 네 주012)
심:
힘. 힘〉심. 방언의 반영으로 보인다.
을 인엿거늘  디장보살의 니익주013)
니익:
이익(利益).
이 칭양주014)
칭양:
칭양(稱揚). 찬양.
니 네 공덕과 신통괘 샹분주015)
샹분:
상분(常分). 보통.
디신의셔주016)
디신의셔:
지신(地神)보다. ‘의셔’는 비교 부사격 조사이다.
쳔이나 리라주017)
ᄇᆡᄒᆞ리라:
배(倍)하리라. 배(倍)가 되리라.
다가 미 듕의주018)
듕의:
중(中)에. 동안에.
션남 션녀인이 보살을 공양며 이 경을 닐으되주019)
닐으되:
읽되. ‘읽다’를 뜻하는 중세국어 어휘는 ‘닑다’이다.
오딕주020)
오딕:
오직. 『월인석보』(21하:152ㄴ)에 ‘오직’으로 적혀 있다. 오직〉오딕. 구개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디장본원경  이를브터주021)
이를브터:
일(事)에 의지(의거)하여. 일+을브터(복합 조사). 이 부분은 오역이다. ‘브터’가 ‘이를’ 뒤에 놓여 있는데, ‘디장본원경’ 뒤에 놓여야 한다. ‘오딕 디장본원경  이를 브터 슈 사미라도’ 부분은 『월인석보』(21하:152ㄴ)의 ‘오직 地藏本願經  이 브터 修行 사미라도’를 물려받은 것이다. 한문 원문은 ‘但依地藏本願經 一事修行者’(벽송암판 하7ㄱ)이다. 『월인석보』의 언해는 ‘오직 地藏本願經을브터  이 修行 사미라도’가 되었어야 옳았을 것이다. ‘을브터’는 복합 조사이다.
슈 사미라도

지장경언해 하:8ㄱ

본신력주022)
본신력:
본신력(本神力). 본래 지니고 있는 신력. ‘력’이 약사전판에는 ‘렴’으로 적혀 있다.
으로 옹호야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부처께서 견뢰지신(堅牢地神)더러 이르시되, “너의 큰 신력(神力)을 모든 신(神)이 미칠 이가 적으니, 왜 그런가 하면, 염부제(閻浮提)의 토지(土地)가 다 너의 옹호(擁護)를 입고 있으며, 초목(草木)이며 사석(沙石)이며, 도마죽위(稻麻竹葦)며 곡미(穀米) 보배(寶貝)에 이르기까지 땅에 딸려 있는 것이 다 너의 힘을 인(因)하였거늘, 또 지장보살의 이익(利益)된 일을 칭양(稱揚)하나니, 너의 공덕(功德)과 신통(神通)이 보통의 지신(地神)보다 백천(百千) 배나 되리라. 만약 미래세(未來世) 동안 선남자 선여인이 보살을 공양(供養)하며 이 경전(經典)을 읽되, 오직 지장본원경에 의지하여, 한 가지 일만 수행(修行)하는 사람이라도 너의 본신력(本神力)으로 옹호(擁護)하여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견뇌디신:견뢰지신(堅牢地神). ‘대지를 견고하게 한다’ 하여 ‘지신(地神)’을 수식하여 부르는 말.
주002)
졔:제(諸). 모든.
주003)
미츠리:미칠 이가. 및-[及]+을(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졔 신이 미츠리 ∼’는 이중주어문이다.
주004)
염부:염부제(閻浮提). ‘염부제’는 인간세계 또는 현세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주005)
토디:토지(土地)가. 토디+Ø(주격 조사).
주006)
옹호:옹호(擁護). 보호(保護).
주007)
도마듁위:도마죽위(稻麻竹葦). 벼와 삼과 대와 갈대. 또는 이 넷이 서로 엉키어 있다는 뜻으로, 많은 물건이 모여 서로 엉킨 모양을 비유하는 말로도 쓰인다.
주008)
보패:보배. ‘보배’는 한자어 ‘寶貝’에서 변한 것이다. 15세기에 ‘보ᄇᆡ’로 적히기도 하였다. ‘貝’의 동국정운음은 ‘·뱅’이다(동국정운 5:33ㄱ).
주009)
니르히:이르기까지. 일반적으로는 ‘니르리’가 쓰이지만, ‘니르히’의 예도 적지 않다. ‘니르히’의 구조는 분명치 않다. ‘니릏다’라는 동사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주010)
ᄯᅡᄒᆞᆯ:땅을. ᄯᅡᇂ[地]+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1)
죵ᄒᆞ야:종(從)하여. (-에) 딸려.
주012)
심:힘. 힘〉심. 방언의 반영으로 보인다.
주013)
니익:이익(利益).
주014)
칭양:칭양(稱揚). 찬양.
주015)
샹분:상분(常分). 보통.
주016)
디신의셔:지신(地神)보다. ‘의셔’는 비교 부사격 조사이다.
주017)
ᄇᆡᄒᆞ리라:배(倍)하리라. 배(倍)가 되리라.
주018)
듕의:중(中)에. 동안에.
주019)
닐으되:읽되. ‘읽다’를 뜻하는 중세국어 어휘는 ‘닑다’이다.
주020)
오딕:오직. 『월인석보』(21하:152ㄴ)에 ‘오직’으로 적혀 있다. 오직〉오딕. 구개음화의 추세에 이끌린 과잉교정이다.
주021)
이를브터:일(事)에 의지(의거)하여. 일+을브터(복합 조사). 이 부분은 오역이다. ‘브터’가 ‘이를’ 뒤에 놓여 있는데, ‘디장본원경’ 뒤에 놓여야 한다. ‘오딕 디장본원경  이를 브터 슈 사미라도’ 부분은 『월인석보』(21하:152ㄴ)의 ‘오직 地藏本願經  이 브터 修行 사미라도’를 물려받은 것이다. 한문 원문은 ‘但依地藏本願經 一事修行者’(벽송암판 하7ㄱ)이다. 『월인석보』의 언해는 ‘오직 地藏本願經을브터  이 修行 사미라도’가 되었어야 옳았을 것이다. ‘을브터’는 복합 조사이다.
주022)
본신력:본신력(本神力). 본래 지니고 있는 신력. ‘력’이 약사전판에는 ‘렴’으로 적혀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