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하권
  • 제12 견문이익품(見聞利益品)
  • 제12 견문이익품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2 견문이익품 003


관셰음이러시니주001)
관셰음이러시니:
관세음(觀世音)이시더니. 이(서술격 조사 어간)+더+시+니. ‘-더-’는 ‘이-’ 뒤에서 ‘-러-’로 교체된다.
좌의셔 니러나샤 러 합쟝샤 부텨 로샤주002)
ᄉᆞᆯ로샤ᄃᆡ:
아뢰시되. ‘ᄉᆞ로샤ᄃᆡ’의 중철이다.
셰존하 이 디장보살 마하살이 큰 비주003)
비:
자비(慈悲). ‘慈’의 전통 한자음은 ‘ᄌᆞ’였다. ‘ᄌᆡ’는 ‘ᄌᆞ’가 제2음절의 ‘비’에 동화된 것이다. 이 책의 다른 곳(중23ㄱ, 중28ㄱ, 하2ㄱ)에도 ‘ᄌᆡ비’가 보인다. ‘자비(慈悲)’는 사랑하고[慈] 가엾게 여긴다[悲]는 뜻이다. ‘
자주004)
자:
갖추어. -[具]+아(연결 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큰 ᄌᆡ비 ᄀᆞ자’의 원문이 ‘具大慈悲’이므로 여기의 ‘ᄀᆞ자’는 타동사이다.
죄고 즁을 어엿비주005)
어엿비:
가엾게. 어엿브-[憐愍]+이(부사형 어미).
너기샤 쳔만억 셰계의 쳔만억 몸을 화야 계신주006)
계신:
계신. 『월인석보』(21하:156ㄴ)에는 ‘두겨신’으로 적혀 있다. ‘쳔만억 셰계의 쳔만억 몸을 화야 계신 공덕과 블의 위신력을’의 원문은 ‘於千萬億世界 化千萬億身 所有功德 及不思議 威神之力’(벽송암판 하8ㄴ)이다. ‘두겨신’을 ‘계신’으로 바꾼 것은 그 당시에 중세국어의 ‘두겨신’이 소멸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두겨신’의 구조는 ‘두-[置]+어(연결 어미)+겨시-+ㄴ’이다. ‘두-’가 ‘잇-’ 또는 ‘잇-’의 높임말인 ‘겨시-’와 결합할 때에는 ‘-어’가 탈락하고, ‘잇-’이 ‘-, ㅅ-’으로 교체된다.
공덕과 블의 위신력을 내 마 셰존이 시방 무량 졔블과로주007)
과로:
과. 과(접속 조사)+로(부사격 조사). ‘과로’는 [공동] 또는 [비교]를 나타낸다.
다주008)
다ᄅᆞᆫ:
‘다 입이  소로’의 원문은 ‘異口同音’이다.
입이  소로 디장보살을 찬탄커시주009)
찬탄커시:
찬탄하시거늘. ‘-거늘’은 여기서처럼 목적어처럼 쓰이기도 한다. 기원적 구조가 ‘거+시+ㄴ(동명사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문장은 비문이다. ‘찬탄ᄒᆞ’의 목적어를 보자. ‘공덕과 블의 위신력’도 목적어이고, ‘디장보살을’도 목적어이다.
듯오니주010)
듯오니:
듣자왔으니. 동사에 시제 형태소가 결합하지 않으면 과거 시제에 해당한다. 여기의 ‘-니’는 [원인, 이유]를 나타내지 않는다. 기능 면에서 종결 어미에 가깝다.
얻디주011)
얻디:
어찌. 『월인석보』(21하:156ㄴ)에는 ‘엇뎨’로 적혀 있다.
과거 현 미 졔블이 그 공덕을 니샤주012)
니ᄅᆞ샤:
‘니ᄅᆞ샤도’의 잘못으로 보인다. 『월인석보』(21하:157ㄱ)에 ‘니ᄅᆞ샤도’로 적혀 있다.
오히려주013)
오히려:
그래도 역시. 그럼에도불구하고.
다 몯시리잇고 아주014)
아:
앞서. 전에. 불경언해서에서는 ‘아ᄅᆡ’가 많이 나타나는데, ‘숙세(宿世)’ 즉 ‘전세(前世)’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부사격 조사 ‘애, 에, 예,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중세국어에서는 ‘아·래’는 [下]를, ‘:아·래’는 [前]을 뜻하는 명사였고, ‘:아·ᄅᆡ’는 ‘전에, 일찍’을 뜻하는 부사였다.
셰존이주015)
셰존이:
세존께서. 높임의 주격 조사 ‘ᄭᅴ셔’가 있었지만, ‘ᄭᅴ셔’를 쓸 자리에 ‘이’를 쓰는 경우가 많았다.
대즁의게 너비 니

지장경언해 하:10ㄱ

샤 디장 니익 등 을주016)
ᄉᆞ을:
사(事)를. 일을.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관세음이셨는데, 좌(座)에서 일어나시어 꿇어 합장하셔 부처께 아뢰시되, “세존이시여, 이 지장보살 마하살이 큰 자비를 갖추어, 죄고(罪苦) 중생을 가엾게 여기시어, 천만억 세계에 몸을 화신(化身)하여 계신 공덕(功德)과 불사의(不思議) 위신력(威神力)을 제가 이미 세존께서 시방(十方) 무량(無量) 제불(諸佛)과 다른 입이 한 소리
(이구동음 異口同音)
로 지장보살을(지장보살의 위신력을) 찬탄하시는 것을 듣자왔으니, 어찌하여 과거 현재 미래 제불(諸佛)이 그 공덕(功德)을 말씀하셔도 그럼에도 〈그 공덕을〉 다 말씀하시지 못하옵니까? 앞서 또 세존께서 대중에게 널리 이르시되, 지장보살의 이익(利益) 등(等)의 일을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관셰음이러시니:관세음(觀世音)이시더니. 이(서술격 조사 어간)+더+시+니. ‘-더-’는 ‘이-’ 뒤에서 ‘-러-’로 교체된다.
주002)
ᄉᆞᆯ로샤ᄃᆡ:아뢰시되. ‘ᄉᆞ로샤ᄃᆡ’의 중철이다.
주003)
비:자비(慈悲). ‘慈’의 전통 한자음은 ‘ᄌᆞ’였다. ‘ᄌᆡ’는 ‘ᄌᆞ’가 제2음절의 ‘비’에 동화된 것이다. 이 책의 다른 곳(중23ㄱ, 중28ㄱ, 하2ㄱ)에도 ‘ᄌᆡ비’가 보인다. ‘자비(慈悲)’는 사랑하고[慈] 가엾게 여긴다[悲]는 뜻이다. ‘
주004)
자:갖추어. -[具]+아(연결 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큰 ᄌᆡ비 ᄀᆞ자’의 원문이 ‘具大慈悲’이므로 여기의 ‘ᄀᆞ자’는 타동사이다.
주005)
어엿비:가엾게. 어엿브-[憐愍]+이(부사형 어미).
주006)
계신:계신. 『월인석보』(21하:156ㄴ)에는 ‘두겨신’으로 적혀 있다. ‘쳔만억 셰계의 쳔만억 몸을 화야 계신 공덕과 블의 위신력을’의 원문은 ‘於千萬億世界 化千萬億身 所有功德 及不思議 威神之力’(벽송암판 하8ㄴ)이다. ‘두겨신’을 ‘계신’으로 바꾼 것은 그 당시에 중세국어의 ‘두겨신’이 소멸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두겨신’의 구조는 ‘두-[置]+어(연결 어미)+겨시-+ㄴ’이다. ‘두-’가 ‘잇-’ 또는 ‘잇-’의 높임말인 ‘겨시-’와 결합할 때에는 ‘-어’가 탈락하고, ‘잇-’이 ‘-, ㅅ-’으로 교체된다.
주007)
과로:과. 과(접속 조사)+로(부사격 조사). ‘과로’는 [공동] 또는 [비교]를 나타낸다.
주008)
다ᄅᆞᆫ:‘다 입이  소로’의 원문은 ‘異口同音’이다.
주009)
찬탄커시:찬탄하시거늘. ‘-거늘’은 여기서처럼 목적어처럼 쓰이기도 한다. 기원적 구조가 ‘거+시+ㄴ(동명사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 문장은 비문이다. ‘찬탄ᄒᆞ’의 목적어를 보자. ‘공덕과 블의 위신력’도 목적어이고, ‘디장보살을’도 목적어이다.
주010)
듯오니:듣자왔으니. 동사에 시제 형태소가 결합하지 않으면 과거 시제에 해당한다. 여기의 ‘-니’는 [원인, 이유]를 나타내지 않는다. 기능 면에서 종결 어미에 가깝다.
주011)
얻디:어찌. 『월인석보』(21하:156ㄴ)에는 ‘엇뎨’로 적혀 있다.
주012)
니ᄅᆞ샤:‘니ᄅᆞ샤도’의 잘못으로 보인다. 『월인석보』(21하:157ㄱ)에 ‘니ᄅᆞ샤도’로 적혀 있다.
주013)
오히려:그래도 역시. 그럼에도불구하고.
주014)
아:앞서. 전에. 불경언해서에서는 ‘아ᄅᆡ’가 많이 나타나는데, ‘숙세(宿世)’ 즉 ‘전세(前世)’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부사격 조사 ‘애, 에, 예,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중세국어에서는 ‘아·래’는 [下]를, ‘:아·래’는 [前]을 뜻하는 명사였고, ‘:아·ᄅᆡ’는 ‘전에, 일찍’을 뜻하는 부사였다.
주015)
셰존이:세존께서. 높임의 주격 조사 ‘ᄭᅴ셔’가 있었지만, ‘ᄭᅴ셔’를 쓸 자리에 ‘이’를 쓰는 경우가 많았다.
주016)
ᄉᆞ을:사(事)를. 일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