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 역주 지장경언해
  • 지장경언해 하권
  • 제11 견뢰지신옹호품(堅牢地神擁護品)
  • 제11 견뢰지신옹호품 005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11 견뢰지신옹호품 005


일쳬 해와 여의티 몯 일이 귀예 들리디 아니케 라주001)
ᄒᆞ라:
하여라. 여기서 문장을 끊음으로써, ‘물며 슈케 호미녀’가 한 문장을 구성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ᄯᆞ녀’ 구문이 이처럼 종속절이 없이 홑문장을 구성하는 것은 ‘이ᄯᆞ녀’ 구문의 속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대목의 내용은 여래(如來)가 견뢰지신(堅牢地神)에게 중생의 옹호(擁護)를 ‘당부’하는 내용이 아니고, 견뢰지신(堅牢地神)이 중생을 잘 옹호(擁護)하고 있는 것을 ‘칭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명령하는 것은 문맥에 맞지 않다. 『월인석보』(21하:152ㄴ)에도 ‘一切 災害와 如意티 몯 이리 귀예 들이디 아니케 라 며 受케 호미녀’로 나타난다.
물며주002)
ᄒᆞ물며:
하물며. ᄒᆞᄆᆞᆯ며〉ᄒᆞ믈며〉ᄒᆞ물며. 약사전판에는 ‘ᄒᆞ믈며’로 적혀 있다.
슈케주003)
슈케:
수(受)하게. 받게.
호미녀주004)
호미ᄯᆞ녀:
함이야. ‘받게 함’은 있을 수 없는 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슈ᄒᆞ-+옴/움(명사형 어미)+이ᄯᆞ녀. ‘-이녀’가 서술부에 쓰이면 평서문이 되고, 서술부 외의 위치에 쓰이면 의문문이 된다. ‘-이녀’가 서술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하는 것은 ‘-이녀’의 마지막 구성 요소가 감탄의 보조사 ‘여’이기 때문이다. 보조사는 서술문과 의문문의 구별을 결정하지 않는다. ‘-이녀’가 서술문에도 쓰이고 의문문에도 쓰이는 것과 달리, ‘-이’은 언제나 서술문을 구성하며 ‘-이니가’는 언제나 의문문을 구성한다.
호오사주005)
호오사:
혼자. ᄒᆞᄫᆞᅀᅡ〉ᄒᆞ오ᅀᅡ〉ᄒᆞ오사〉호오사.
사름주006)
사름:
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을 옹호 미 아니라  셕범주007)
셕범:
석범(釋梵). 제석(帝釋)과 범천(梵天). ‘제석’은 불교 우주관의 중심 산인 수미산의 정상부에 있는 도리천의 제왕이다. 불법을 보호하고,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한다. ‘범천’은 ‘범왕(梵王)’이라고도 한다. 인도의 종교와 철학에서 최고의 신 또는 원리. 위대함을 강조하여, 앞뒤에 대(大) 또는 왕(王)을 붙이기도 한다.
권쇽과 졔텬주008)
졔텬:
제천(諸天). 천상 세계에 머물며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신들.
권쇽이 이 사름을 옹호리니 엇던 젼로 이  셩현이 옹호을 득뇨 다 디장 샹을 라주009)
ᄇᆞ라:
우러러보아. ᄇᆞ라-[仰, 瞻]+아(연결 어미).
녜며주010)
녜ᄒᆞ며:
례(禮)하며. 절하며.
본원경주011)
본원경: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닐은주012)
닐은:
읽은.
젼로 연히 내죵내주013)
내죵내:
내종(乃終)내. 끝내. 끝까지. 마침내. 긍정문에서 쓰일 때에는 ‘마침내’ 또는 ‘끝내’, 부정문에서 쓰일 때에는 ‘끝내’의 뜻을 나타낸다. ‘내죵’은 ‘나중’으로 발달하였다.
고을 여여 녈반락주014)
녈반락:
열반락(涅槃樂). 열반의 즐거움. ‘열반(涅槃)’은 산스크리트어 ‘nirvāṇa(니르바나)’의 음역이다. 탐(貪)·진(瞋)·치(痴) 세 가지 독심(毒心)을 끊고, 고요해진 평정의 경지. 번역하여 ‘멸(滅), 멸도(滅度), 적멸(寂滅), 원적(圓寂)’이라고 한다.
주015)
증:
증득(證得). 체득하여 깨닫는 것.
리니 이린주016)
이린:
‘이런’이 옳다. 약사전판에는 ‘이런’으로 되어 있다.
젼로 큰 옹호을 득니라
Ⓒ 언해 | 묘향산인 관송장로 / 1762년(영조 38)

일체의 재해(災害)와 여의치 못한 일이 〈선남자 선여인의〉 귀에 들리지조차 아니하게 하라.(=할 것이니), 하물며 〈선남자 선여인이 그러한 불행을 직접〉 받게 함이야? 너는 혼자 이 사람을 옹호(擁護)할 뿐이 아니라, 또 석범(釋梵) 권속(眷屬)과 제천(諸天) 권속(眷屬)이 이 사람을 옹호하리니, 어떤 까닭으로 이 같은 성현이 옹호함을 얻는가? 다 지장보살의 상(像)을 우러러보고 절하며, 이 본원경(本願經)을 읽은 까닭으로 저절로 마침내 고해(苦海)를 벗어나 열반락(涅槃樂)을 증득(證得)하리니, 이런 까닭으로 큰 옹호(擁護)를 득(得)하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8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ᄒᆞ라:하여라. 여기서 문장을 끊음으로써, ‘물며 슈케 호미녀’가 한 문장을 구성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ᄯᆞ녀’ 구문이 이처럼 종속절이 없이 홑문장을 구성하는 것은 ‘이ᄯᆞ녀’ 구문의 속성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 대목의 내용은 여래(如來)가 견뢰지신(堅牢地神)에게 중생의 옹호(擁護)를 ‘당부’하는 내용이 아니고, 견뢰지신(堅牢地神)이 중생을 잘 옹호(擁護)하고 있는 것을 ‘칭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명령하는 것은 문맥에 맞지 않다. 『월인석보』(21하:152ㄴ)에도 ‘一切 災害와 如意티 몯 이리 귀예 들이디 아니케 라 며 受케 호미녀’로 나타난다.
주002)
ᄒᆞ물며:하물며. ᄒᆞᄆᆞᆯ며〉ᄒᆞ믈며〉ᄒᆞ물며. 약사전판에는 ‘ᄒᆞ믈며’로 적혀 있다.
주003)
슈케:수(受)하게. 받게.
주004)
호미ᄯᆞ녀:함이야. ‘받게 함’은 있을 수 없는 일임을 강조하고 있다. 슈ᄒᆞ-+옴/움(명사형 어미)+이ᄯᆞ녀. ‘-이녀’가 서술부에 쓰이면 평서문이 되고, 서술부 외의 위치에 쓰이면 의문문이 된다. ‘-이녀’가 서술문을 구성하기도 하고 의문문을 구성하기도 하는 것은 ‘-이녀’의 마지막 구성 요소가 감탄의 보조사 ‘여’이기 때문이다. 보조사는 서술문과 의문문의 구별을 결정하지 않는다. ‘-이녀’가 서술문에도 쓰이고 의문문에도 쓰이는 것과 달리, ‘-이’은 언제나 서술문을 구성하며 ‘-이니가’는 언제나 의문문을 구성한다.
주005)
호오사:혼자. ᄒᆞᄫᆞᅀᅡ〉ᄒᆞ오ᅀᅡ〉ᄒᆞ오사〉호오사.
주006)
사름:사람. ‘사ᄅᆞᆷ’의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중세국어의 ‘사ᄅᆞᆷ’이 ‘사름, 살음’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사ᄅᆞᆷ〉사름. ‘사ᄅᆞᆷ’의 ‘ㆍ’가 ‘ㅡ’와 합류하여, ‘사름’으로 변화한 것이다.
주007)
셕범:석범(釋梵). 제석(帝釋)과 범천(梵天). ‘제석’은 불교 우주관의 중심 산인 수미산의 정상부에 있는 도리천의 제왕이다. 불법을 보호하고,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들을 보호한다. ‘범천’은 ‘범왕(梵王)’이라고도 한다. 인도의 종교와 철학에서 최고의 신 또는 원리. 위대함을 강조하여, 앞뒤에 대(大) 또는 왕(王)을 붙이기도 한다.
주008)
졔텬:제천(諸天). 천상 세계에 머물며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신들.
주009)
ᄇᆞ라:우러러보아. ᄇᆞ라-[仰, 瞻]+아(연결 어미).
주010)
녜ᄒᆞ며:례(禮)하며. 절하며.
주011)
본원경: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주012)
닐은:읽은.
주013)
내죵내:내종(乃終)내. 끝내. 끝까지. 마침내. 긍정문에서 쓰일 때에는 ‘마침내’ 또는 ‘끝내’, 부정문에서 쓰일 때에는 ‘끝내’의 뜻을 나타낸다. ‘내죵’은 ‘나중’으로 발달하였다.
주014)
녈반락:열반락(涅槃樂). 열반의 즐거움. ‘열반(涅槃)’은 산스크리트어 ‘nirvāṇa(니르바나)’의 음역이다. 탐(貪)·진(瞋)·치(痴) 세 가지 독심(毒心)을 끊고, 고요해진 평정의 경지. 번역하여 ‘멸(滅), 멸도(滅度), 적멸(寂滅), 원적(圓寂)’이라고 한다.
주015)
증:증득(證得). 체득하여 깨닫는 것.
주016)
이린:‘이런’이 옳다. 약사전판에는 ‘이런’으로 되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