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 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인쇄 의견 제시
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역주 지장경언해 하권

『지장보살본원경』은 지장보살의 중생 구제 서원을 밝힌 책이다. 조선시대에 주로 유통된 지장경의 한역본 두 계통 중 하나인 당(唐)의 법등(法燈)의 한역본의 체계를 따르고 있다. 본 역주본의 저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견성암판(見性菴版) 『지장보살본원경언해』(1762) 상·중·하 3권 1책으로 목판본이다. 『지장경』은 『석보상절』 권11에 제1품과 제2품이 처음으로 언해되어 실렸고, 『월인석보』 권21에는 지장경 13품 전체가 수록되었다. 본문 시작 부분에 ‘지장보살본원경언ᄒᆡ 권샹’, ‘월린쳔강지곡 졔이십일’, ‘셕보샹 졔이십일’(釋譜詳節의 ‘節’이 빠져 있다.)과 같이 권차를 나란히 적고, 『월인천강지곡』 제412부터 제417까지를 곡차 구분 없이 수록한 다음, 지장경 각품(各品)의 아래에 『월인석보』 권21의 『석보상절』 부분의 전문을 수록하고 있다. 『월인석보』 권21을 독립시켜 『지장보살본원경언해』로 간행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점이다.

이유기(동국대학교 교수)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박사 과정 수료, 문학박사
보성여자고등학교 교사
동국대, 강원대, 상명대, 강남대, 선문대 강사
상명대학교 연구교수, 현재 동국대학교 교수
〈저서〉
17세기 국어 문장 종결 형식의 연구(박사논문)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문장종결형식의 연구, 역락
금강경언해 주해, 공저, 동악어문학회
선종영가집언해의 국어학적 연구(상), 공저, 태학사
역주 남명집언해(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법화경언해(권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원각경언해(권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원각경언해(권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금강경삼가해(권3-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 석보상절(권9), 동국대학교 출판부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주논문〉
‘-이’계 종결 형식의 기능, 국어국문학 126.
{-가}계 의문종결형식의 구조, 국어국문학 131.
『마경초집언해』의 어휘 연구(1), 한국어문학연구 43.
현대국어 의문문 종결형식의 구조, 한국언어문학 55.
선어말 형태소 ‘-지-’의 형태론과 통사론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45.
반말의 성격과 청자대우체계의 실상, 동악어문학 57.
석보상절 제 9권의 내용과 언어 현상, 동악어문학 65.
서정주의 시어에 대한 국어학적 해명, 한국문학연구 52.
  • 지장경언해 중・하권 : 이유기(동국대학교 교수)
  • 교열·윤문·색인위원
  • 지장경언해 중・하권 : 성낙수 홍현보
  • 세종고전국역위원회
  • 위원장 ։ 한무희
  • 위원 ։ 강병식 김구진 김무봉
  • 남문현 리의도 박충순
  • 심우섭 임홍빈 최홍식
『역주 지장경언해』을 내면서
우리 회는 1956년 10월 9일 창립 후 세종대왕기념사업의 중심 전당인 세종대왕기념관을 건립하고, 세종문화진열실과 연구실을 마련 운영 관리하며, 세종성왕의 정신과 위업의 연구 사업을 추진하면서, 한편으로 한글 전용과 국학 진흥을 위하여, 「한문고전국역사업」과 「한글고전역주사업」을 1967년에 기획하여, 1968년부터 계속 수행하고 있다.
「한문고전국역사업」은 1968년 1월부터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을 국역 간행하기 시작하여, 실록의 한문 원문 901권을 완역 발간하였고, 일반 한문고전으로 『증보문헌비고』, 『매월당집』, 『국조인물고』, 『동국통감』, 『승정원일기』(순종), 『육일재총서』, 『치평요람』 등 수많은 국학자료를 국역 발간하였으며, 계속하여 『각사등록』, 『연행록』, 『의방유취』 등 문헌의 국역 사업을 벌여 오고 있다.
「한글고전역주사업」은 1990년 6월에 첫발을 내디디어, 『석보상절』 권6, 9, 11의 역주에 착수, 지금까지 매년 꾸준히 계속하고 있는 바, 2017년 12월까지 역주 발행한 문헌은 『석보상절』 4책, 『월인석보』(훈민정음언해본 포함) 17책, 『능엄경언해』 5책, 『법화경언해』 7책, 『원각경언해』 10책, 『금강경삼가해』 5책, 『구급방언해』 2책, 『삼강행실도』 1책, 『두시언해』 15책, 『소학언해』 4책, 『사서언해』(논어, 대학, 중용, 맹자) 6책, 『이륜행실도』 1책, 『동국신속삼강행실도』 5책, 『시경언해』 5책, 『서경언해』 2책, 『가례언해』 4책, 『여소학언해』 2책, 『오륜행실도』 5책, 『윤음언해』 2책, 『마경초집언해』 2책, 『주역언해』 3책, 『종덕신편언해』 3책, 『어제상훈언해』 1책, 『어제훈서언해』 1책, 『별행록절요언해』 1책, 『천주실의언해』 1책 등 153책을 발간하였고, 금년에도 『지장경언해』 등 13책을 역주 간행할 예정이다.
우리 회 창립 62돌이자 한글 반포 572돌, 세종 즉위 600돌이 되는 올해는 우리 회가 「한문고전국역사업」을 착수한 지 50돌이 되었고, 「한글고전역주사업」을 추진한 지 28돌이 되었다. 그 동안 우리 회가 낸 800여 책의 국역 학술 간행물이 말해 주듯이,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반만 년 역사 이래 최고의 한글 국역, 역주 간행 기관임을 자부하는 바이다. 우리 고전의 현대화는 전문 학자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에게도 매우 유용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우리 회가 이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그 결과 고전의 대중화를 통한 지식 개발 사회의 문화 자본 구축과 역사 의식 및 한국학 연구 활성화에 기여는 물론, 새 겨레문화 창조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고 자부하는 바, 앞으로도 이 사업이 끊임없이 이어지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 『지장보살본원경』(약칭 ; 지장경)은 지장보살의 중생 구제 서원을 밝힌 책이다. 언해본 본문은 온전히 한글로만 적혀 있다. 상·중·하 3권 1책인데, 하권 앞에는 부처가 석제환인의 요청에 따라 세상 떠난 어머니가 있는 도리천에 간다는 이야기에 이어서, 『월인천강지곡』의 제412곡 ~ 417곡이 나오고, 다음으로는 부처가 석제환인의 요청에 따라 돌아가신 어머니 마야 부인 앞에서 설법하기 위해, 33천에 간다는 이야기가 나온 뒤에, 『지장경』의 제1품이 시작된다. ‘지장경 부분은 13품(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역주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인 견성암판(見性菴版) 『지장보살본원경언ᄒᆡ』(1762)를 저본으로 역주하였다.
우리 회에서 『지장경언해』를 역주 간행함에 있어, 역주를 위해 애써 주신 동국대학교 이유기 교수님과, 역주 사업을 위하여 지원해 준 교육부에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이 책의 발간에 여러 모로 수고해 주신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8년 11월 25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최홍식
일러두기
1. 역주 목적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후, 언해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어, 우리 말글로 기록된 다수의 언해류 고전 등 한글 관계 문헌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나, 말이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이어서, 옛 우리말을 연구하는 전문학자 이외의 다른 분야 학자나 일반인들이 이를 읽어 해독하기란 여간 어려운 실정이 아니다. 그러므로 현대어로 풀이와 주석을 곁들여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이 방면의 지식을 쌓으려는 일반인들에게 필독서가 되게 함은 물론, 우리 겨레의 얼이 스며 있는 옛 문헌의 접근을 꺼리는 젊은 학도들에게 중세국어 국문학 연구 및 우리말 발달사 연구 등에 더욱 관심을 두게 하며, 나아가 주체성 있는 겨레 문화를 이어가는 데 이바지하고자 함에 역주의 목적이 있다.
2. 편찬 방침
(1) 이 『역주 지장경언해』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견성암판 『지장보살본원경언ᄒᆡ』(1762)를 저본으로 삼아, 주석과 역주를 하였으며, 부록으로 축소 영인하였다.
(2) 이 책의 편집 내용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언해 원문, 현대어 풀이, 옛말과 용어 주해’의 차례로 조판하였는데, 원전과 비교하여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각 쪽이 시작되는 글자 앞에 원문의 쪽수와 앞뒤쪽 표시를 아래와 같이 나타냈다.
〈보기〉
제1장 앞쪽이 시작되는 글자 앞에 : 1ㄱ지장보살본원경언 권샹
제1장 뒤쪽이 시작되는 글자 앞에 : 번노 여희1ㄴ시고
(3) 현대어로 옮기는 데 있어서 될 수 있는 대로 옛글과 ‘문법적으로 같은 값어치’의 글이 되도록 하는 데 기준을 두었다.
(4) 원문 내용(한문 원문과 언해문)은 네모틀에 넣어서 현대 풀이문․주석과 구별하였으며, 원문 가운데 훼손되어 읽을 수 없는 글자는 □로 표시하였다.
(5) 현대어 풀이에서, 옛글의 구문(構文)과 다른 곳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충한 말은 〈 〉 안에 넣었다.
(6) 찾아보기 배열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초성순 : ㄱ ㄲ ㄴ ㅥ ㄷ ㄸ ㄹ ㅁ ㅱ ㅂ ㅲ ㅳ ㅃ ㅄ ㅴ ㅵ ㅷ ㅸ ㅅ ㅺ ㅻ ㅼ ㅽ ㅆ ㅾ ㅿ ㅇ ㆀ ㆁ ㆆ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ㆅ
② 중성순 :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ㆉ ㅜ ㅝ ㅞ ㅟ ㅠ ㆌ ㅡ ㅢ ㅣ ㆍ ㆎ
③ 종성순 : ㄱ ㄴ ㄴㅅ ㄴㅈ ㄴㅎ ㄷ ㄹ ㄹㄱ ㄹㄷ ㄹㅁ ㄹㅂ ㄹㅅ ㅀ ㅁ ㅁㄱ ㅯ ㅰ ㅂ ㅄ ㅅ ㅺ ㅼ ㅿ ㆁ ㅈ ㅊ ㅋ ㅌ ㅍ ㅎ
이전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