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갚는 길을 물음
  • 경의 이름을 대보부모은중경이라 하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경의 이름을 대보부모은중경이라 하다


佛告阿難 此經 名爲大報父母恩重經 已是名字 汝當奉持 爾時 大衆天人阿修羅等 聞佛所

부모은중경언해:26ㄴ

說 皆大歡喜 信受奉行 作禮而退

부톄 아란려 니샤 이 의 일호믈 대보부모은이라 노니 주001)
노니:
하니. -[爲]+(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여기서는 ‘-오-’는 1인칭 주어에 호응함.
이 일호믈 너희 져 주002)
져:
가져. 가지고. 보존하여. 지-[持]+어(연결어미). 이 동사는 정음 창제 이후 문헌에 일반적으로 ‘가지-’로 쓰여 온 것인데, 예문을 좀 더 찾아보니, 근년에 나온 역주본에도 언급되었음을 알게 되었고, 여기 필자 나름대로 연대 순으로 정리해 보기로 함. ① 그짓 리  가져 나오나〈석상 6:14ㄱ〉. ② 取 가질 씨오〈월석 서:37ㄱ주〉. ③ 恒常 조 念을 져 欲 굴에 디디 아니케 야(恒懷淨念不沈欲坑)〈권선문 어첩(1464) 14〉. ④ 方 남 져 두려운 구무 마곰 니(如將方木야 逗圓孔也ㅣ니)〈목우자 11ㄱ〉. ⑤ 僧이 닐오 엇뎨 安保야 가져시리고(僧云如何保任릿고)〈목우자 7ㄱ〉. ⑥  玉 져셔 文彩 사겨 德 야룜 도다(如將皓玉야 彫文喪德이로다)〈목우자 35ㄴ〉. ⑦ 모로매 이 道로 져 뇨리니(須以此道로 爲懷호리니)〈법어 5ㄱ〉. ⑧ 모로매 生死 두 字 져 니마해 두워(須是將生死二字야 釘在額上야)〈법어 5ㄱ〉. ⑨ 다가 업거든 祖師 工夫 일운 말 져  디위 보면 親히 봄과 리라〈몽산약록 송광사 15ㄴ〉. ⑩ 새 셕 녀니 나니  올도 흗댜녀 이 지니 이 보면 알리라〈순천 144:13〉. 이들 예문의 연대로 보아 알 수 있듯이, 정음 창제 후 최초의 산문 문헌인 〈석보상절〉 이래, 이 동사 ‘가지-’는 그 쓰임이 우세하였고, 15~6세기의 ‘가져’와 ‘져’의 예문은 전자가 3배 이상이고(17세기는 차이가 더해져서 후자가 수로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이며) 19세기도 그런 비율이므로, ‘가지-’가 그대로 현대국어에 이어진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예문 ③에서 ⑩에 ‘이 문헌’의 이 대목을 추가할 수 있겠는데, ⑤는 ④와 같은 문헌에 두 가지 어형이 쓰인 것을 보이기 위함이고, 나머지는 모두 ‘지-’의 예문이다. 결국 ‘가지-:지-’ 두 어형의 경쟁이 어떠했음을 상정할 수 있겠는데, 그 결과는 앞의 언급과 같다. 후자는 그 쓰임이 적으나마 19세기까지도 그 자형이 쓰이다가, ‘ㆍ’ 자가 정서법에 따라 쓰이지 않게 되면서 없어진 것으로 봄.
니라 주003)
니라:
다녀라. 니-[行]+라(명령법 종결어미).
뎨 다 부텨의 말솜 듣고 주004)
말솜 듣고:
말씀 듣고. 말솜[言]#듣-[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말솜’은 다음 예문처럼 16세기 초엽부터 쓰였음. 내 너려 말솜 무러지라〈번노 상:26ㄱ〉 그 말솜며 거요매〈번소 9:11ㄴ〉.
깃거 주005)
깃거:
기뻐하여. -[喜](동사)+어(연결어미). 卽日에 깃그시니(卽日懌之)〈용가 27〉. 녀론 깃거 구쳐 니러 절시고〈석상 6:3ㄱ〉. 窮子ㅣ 비록 깃그나(窮子雖喜)〈원각 서:47〉. 天龍이 恭敬야 깃디 아니리도 보며〈석상 13:21ㄴ〉. 위의 예문에서와 같이 이 동사 어간의 ‘-’이 모음어미 앞에서는 제대로 쓰이고, 자음어미 앞에서는 이형태 ‘깃-’으로 쓰임. 여기에 형용사 파생접미사 ‘-/브-’가 결합되면 ‘깃(ㄱ)브다’란 형용사가 파생되었음.
녜도고 주006)
녜도고:
예의와 법도를 갖추어 나타내고. 녜도(禮度)-+고. → 76쪽. ‘녜도다’.
믈러 와 주007)
믈러와:
물러와. 물러나와. 므르-[退]#오-[來]+아(연결어미). 朝會고 믈러와 브툴 업순 놋다(朝退)〈두언(초) 8:8ㄱ〉.
니라 주008)
니라:
봉행하니라. 봉행했다. 받들어 행했다. (奉行)-+니(확인법 선어말어미)+라.
※ 신심사본 대교 : 다른 표기 없음.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이르시되, “이 경의 이름을 대보부모은중경이라 하니, 이 이름을 너희가 가지고 다녀라.”〈라고 하시니,〉 제자들이 다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여 예의와 법도를 갖추고 물러나와 봉행하니라.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노니:하니. -[爲]+(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우(의도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여기서는 ‘-오-’는 1인칭 주어에 호응함.
주002)
져:가져. 가지고. 보존하여. 지-[持]+어(연결어미). 이 동사는 정음 창제 이후 문헌에 일반적으로 ‘가지-’로 쓰여 온 것인데, 예문을 좀 더 찾아보니, 근년에 나온 역주본에도 언급되었음을 알게 되었고, 여기 필자 나름대로 연대 순으로 정리해 보기로 함. ① 그짓 리  가져 나오나〈석상 6:14ㄱ〉. ② 取 가질 씨오〈월석 서:37ㄱ주〉. ③ 恒常 조 念을 져 欲 굴에 디디 아니케 야(恒懷淨念不沈欲坑)〈권선문 어첩(1464) 14〉. ④ 方 남 져 두려운 구무 마곰 니(如將方木야 逗圓孔也ㅣ니)〈목우자 11ㄱ〉. ⑤ 僧이 닐오 엇뎨 安保야 가져시리고(僧云如何保任릿고)〈목우자 7ㄱ〉. ⑥  玉 져셔 文彩 사겨 德 야룜 도다(如將皓玉야 彫文喪德이로다)〈목우자 35ㄴ〉. ⑦ 모로매 이 道로 져 뇨리니(須以此道로 爲懷호리니)〈법어 5ㄱ〉. ⑧ 모로매 生死 두 字 져 니마해 두워(須是將生死二字야 釘在額上야)〈법어 5ㄱ〉. ⑨ 다가 업거든 祖師 工夫 일운 말 져  디위 보면 親히 봄과 리라〈몽산약록 송광사 15ㄴ〉. ⑩ 새 셕 녀니 나니  올도 흗댜녀 이 지니 이 보면 알리라〈순천 144:13〉. 이들 예문의 연대로 보아 알 수 있듯이, 정음 창제 후 최초의 산문 문헌인 〈석보상절〉 이래, 이 동사 ‘가지-’는 그 쓰임이 우세하였고, 15~6세기의 ‘가져’와 ‘져’의 예문은 전자가 3배 이상이고(17세기는 차이가 더해져서 후자가 수로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이며) 19세기도 그런 비율이므로, ‘가지-’가 그대로 현대국어에 이어진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런데, 예문 ③에서 ⑩에 ‘이 문헌’의 이 대목을 추가할 수 있겠는데, ⑤는 ④와 같은 문헌에 두 가지 어형이 쓰인 것을 보이기 위함이고, 나머지는 모두 ‘지-’의 예문이다. 결국 ‘가지-:지-’ 두 어형의 경쟁이 어떠했음을 상정할 수 있겠는데, 그 결과는 앞의 언급과 같다. 후자는 그 쓰임이 적으나마 19세기까지도 그 자형이 쓰이다가, ‘ㆍ’ 자가 정서법에 따라 쓰이지 않게 되면서 없어진 것으로 봄.
주003)
니라:다녀라. 니-[行]+라(명령법 종결어미).
주004)
말솜 듣고:말씀 듣고. 말솜[言]#듣-[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말솜’은 다음 예문처럼 16세기 초엽부터 쓰였음. 내 너려 말솜 무러지라〈번노 상:26ㄱ〉 그 말솜며 거요매〈번소 9:11ㄴ〉.
주005)
깃거:기뻐하여. -[喜](동사)+어(연결어미). 卽日에 깃그시니(卽日懌之)〈용가 27〉. 녀론 깃거 구쳐 니러 절시고〈석상 6:3ㄱ〉. 窮子ㅣ 비록 깃그나(窮子雖喜)〈원각 서:47〉. 天龍이 恭敬야 깃디 아니리도 보며〈석상 13:21ㄴ〉. 위의 예문에서와 같이 이 동사 어간의 ‘-’이 모음어미 앞에서는 제대로 쓰이고, 자음어미 앞에서는 이형태 ‘깃-’으로 쓰임. 여기에 형용사 파생접미사 ‘-/브-’가 결합되면 ‘깃(ㄱ)브다’란 형용사가 파생되었음.
주006)
녜도고:예의와 법도를 갖추어 나타내고. 녜도(禮度)-+고. → 76쪽. ‘녜도다’.
주007)
믈러와:물러와. 물러나와. 므르-[退]#오-[來]+아(연결어미). 朝會고 믈러와 브툴 업순 놋다(朝退)〈두언(초) 8:8ㄱ〉.
주008)
니라:봉행하니라. 봉행했다. 받들어 행했다. (奉行)-+니(확인법 선어말어미)+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