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어머니의 열 달 고통
  • 일곱째 달
메뉴닫기 메뉴열기

일곱째 달


부모은중경언해:5ㄱ

阿孃 七箇月 懷胎孩兒 在孃腹中 生三百六十骨節 八萬四千毛孔

닐곱 주001)
닐곱:
일곱째. 닐곱[七]. 솘바 닐굽과(松子維七)〈용가 89〉. 穆王 닐굽찻  丙戌이라〈석상 6:11ㄴ주〉. 어려운 이리 닐곱 가지니(患難之事七)〈여약 34〉. 닐곱 번 천거홈애 나아가디 아니고〈소학 6:24〉. 예문에 든 것처럼 ‘닐굽’이 15세기 구형이라면 ‘닐곱’은 16세기 초에 쓰이기 시작한 신형이라 하겠음.
리면 회 아기 삼여슌 주002)
삼 여슌:
삼백예순. 삼[三百]#여슌[六十]. 여기 ‘여슌’은 15세기 중엽에는 ‘여쉰’으로 많이 쓰였고, 15세기 말엽부터 ‘여슌’이 쓰이기 시작하여, 16세기 초에는 용례가 많이 나타남. 日月燈明佛이 여 小劫을 이 經 니르시고 즉자히 모 中에〈석상 13:34ㄱ〉. 여슌 나하 싸호아 도 다 티니라〈삼강(동경) 충:29ㄱ〉.
와 주003)
와:
뼈마디와. [骨]#[節/境遇]+와(접속조사). ‘와’는 ‘과’의 ‘ㄱ’이 약화된 것을 나타낸 것임. 羅睺羅ㅣ 月食 예 이 아리 나니라〈월석 2:2ㄴ주〉.   現티 아니샤미 第二시고〈법화 2:14ㄱ주〉.
팔만 쳔 주004)
팔만 쳔:
팔만 사천. 팔만[八萬]#쳔[四千].
털 굼기 주005)
털굼기:
털구멍. 털[毛]+구무/굼ㄱ[孔]+이(주격조사). 여기 ‘구무’는 비자동적 교체를 보인 체언으로 ‘나모/[木]’과 같은 부류임. 窟은 굼기라〈월석 서:21ㄱ주〉. 道理ㅅ 굼글 다마〈월석 서:21ㄱ〉.
나니라 주006)
나니라:
생기는 것이다. 생기느니라. 생긴다. 나-[生]+(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 신심사본 대교 : -.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일곱 달이면 회태는 아기가 삼백 예순 뼈마디와 팔만사천 털 구멍이 나느니라
(=생기느니라)
.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곱:일곱째. 닐곱[七]. 솘바 닐굽과(松子維七)〈용가 89〉. 穆王 닐굽찻  丙戌이라〈석상 6:11ㄴ주〉. 어려운 이리 닐곱 가지니(患難之事七)〈여약 34〉. 닐곱 번 천거홈애 나아가디 아니고〈소학 6:24〉. 예문에 든 것처럼 ‘닐굽’이 15세기 구형이라면 ‘닐곱’은 16세기 초에 쓰이기 시작한 신형이라 하겠음.
주002)
삼 여슌:삼백예순. 삼[三百]#여슌[六十]. 여기 ‘여슌’은 15세기 중엽에는 ‘여쉰’으로 많이 쓰였고, 15세기 말엽부터 ‘여슌’이 쓰이기 시작하여, 16세기 초에는 용례가 많이 나타남. 日月燈明佛이 여 小劫을 이 經 니르시고 즉자히 모 中에〈석상 13:34ㄱ〉. 여슌 나하 싸호아 도 다 티니라〈삼강(동경) 충:29ㄱ〉.
주003)
와:뼈마디와. [骨]#[節/境遇]+와(접속조사). ‘와’는 ‘과’의 ‘ㄱ’이 약화된 것을 나타낸 것임. 羅睺羅ㅣ 月食 예 이 아리 나니라〈월석 2:2ㄴ주〉.   現티 아니샤미 第二시고〈법화 2:14ㄱ주〉.
주004)
팔만 쳔:팔만 사천. 팔만[八萬]#쳔[四千].
주005)
털굼기:털구멍. 털[毛]+구무/굼ㄱ[孔]+이(주격조사). 여기 ‘구무’는 비자동적 교체를 보인 체언으로 ‘나모/[木]’과 같은 부류임. 窟은 굼기라〈월석 서:21ㄱ주〉. 道理ㅅ 굼글 다마〈월석 서:21ㄱ〉.
주006)
나니라:생기는 것이다. 생기느니라. 생긴다. 나-[生]+(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