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어머니의 열 달 고통
  • 어머니의 열 달 고통이 끝이 없음
메뉴닫기 메뉴열기

어머니의 열 달 고통이 끝이 없음


佛告阿難 汝今諦聽 吾今爲汝 分別解說 阿孃 주001)
아양(阿孃):
원문의 이 말은 언해문에서 ‘어미 식 여’라고 하고, 뒤에는 모두 생략하였다.
懷子 十月之中 極是辛苦

부톄 아란려 주002)
아란려:
아난에게. ‘려’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니샤 네 셰 주003)
셰:
자세히. 자셰[詳]. ‘셔(仔細)히’는 형용사 ‘셔다’에서 파생된 부사로서 ‘子細히 모〈석보 서:3ㄱ주〉’가 있는바, 모음 사이 ‘ㅎ’이 줄어 ‘내 이 讖 자셰히 살푠댄〈금삼 1:7ㄴ〉, 셰〈번역소 7:29ㄱ〉’로 쓰임.
드라 주004)
드라:
들어라. 듣-[聞](ㄷ불규칙)+(으)라(명령법 종결어미). 귀예 됴 소리 듣고져 며〈월석 1:32ㄱ〉. 衆生이 드러든 뎌 나라해 나고져 發願야 리니〈월석 7:70ㄴ〉.
내 너희 위야 주005)
위야:
위하여. 위(爲)-+어/아/야(연결어미).
닐오리라 주006)
닐오리라:
이를 것이다. 이르리라. 니-/니르-[謂]+오(의도법)+ㄹ(관형사형 어미)#이(형식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이는 ‘니르시니’〈용가 92〉, ‘니를’〈석상 13:7ㄱ〉, ‘니르고져’〈훈언 2ㄱ〉, ‘니르거든’〈월석 7:33ㄱ〉 등이 있고, ‘니시니’〈용가 5〉, ‘니샤’〈석상 23:4ㄴ〉, ‘니 씨라’〈월석 1:54ㄴ〉 등과 같이 쌍형으로 나타나는 예가 많음.
어미 주007)
어미:
어머니가. 어미[母]+∅(주격조사). ‘아양(阿孃) : 어머니, 아야(阿爺) : 아버지’.
식 주008)
식:
자식. 자식(子息)을. 식(子息). 이는 한자어로 일찍부터 쓰였으나, 정음 표기는 「구급간이방언해(1489)」부터 확인됨. 어미 죽고 식 몯 낫거든〈구간 7:40ㄴ〉. 신해 님금 섬교미 식이 아비 셤교미 니〈삼강 충:6ㄴ〉.
여 주009)
여:
배어. 잉태하여. -[孕]+어(연결어미). ‘-여’는 체언 말모음 ‘ㅣ’의 순행동화를 입은 것임. 욘 아 비디  二千斤ㅅ 金이니다〈월석 8:81ㄴ〉.
열  주010)
열 :
열 달. 열[十]#[月].
이예 주011)
이예:
사이에. 이[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이 ‘이’는 앞선 시대 ‘’로 본시 반치음이 16세기 초기 문헌에도 씌었으나, 특히 ‘ㅣ’ 모음 앞에 쓰인 ‘ㅿ’이 일찍 탈락한 모습을 보여, ‘이’를 필두로 ‘어버이, 녀지이, 아이-[被奪, 아-]’로 씌었으며 16세기 후반에 보임. 닐웻  모다 울쏘리 긋디 아니더라〈석상 23:45ㄴ〉. 虛空 밧긘  매 잇고  이옌 두 며기로다〈두언 3:26ㄴ〉. 그 이예 한 이  니〈삼강(동경) 5ㄱ〉. ⟶ 56쪽 ‘처소의 부사격조사’.
신괴 주012)
신괴:
신고(辛苦)가. 어려운 일을 당해 애씀이. 신고(辛苦)+ㅣ(주격조사). 辛苦ㅣ 쉬나 러니〈법화 2:222ㄴ〉. 시혹 아예 러디면  신고며  슈고고〈초발야운 40ㄴ〉. ‘이 문헌’의 ‘신고’는 동사 ‘신고여도〈은중 10ㄴ〉’로 쓰인 16세기 중엽의 드문 예에 드는 것으로 앞의 「초발심자경문언해(1577)」보다 앞서기 때문에 정음 표기 예문으로 제일 먼저 실려야 할 것임.
그지 주013)
그지:
끝. 한도(限度). 그지[限, 명사].  그지의 미추미며 方位의 호미니(壃畿所及方位所同)〈법화 3:156ㄱ-ㄴ〉. 사라실 젯 그지 잇 숤盞을  다 머굴디니라(且盡生前有限杯)〈두언 10:8ㄱ〉.
업스니라 주014)
업스니라:
없는 것이다. 없다. 없-[無]+(으)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 신심사본 대교 : 다른 표기 없음.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이르시되, “네가 자세히 들어라. 내 너희를 위하여 말하리라. 어머니가 자식을 배어 열 달 사이에 신고(辛苦)가 끝이
(=한이)
없느니라.”〈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양(阿孃):원문의 이 말은 언해문에서 ‘어미 식 여’라고 하고, 뒤에는 모두 생략하였다.
주002)
아란려:아난에게. ‘려’는 현대국어 ‘더러’로 연결되는 조사로 기원적으로는 ‘리-[率]’의 연결형이 문법화된 형태. ‘려’는 항상 ‘니-[謂]’, ‘묻-[問]’의 지배를 받음.
주003)
셰:자세히. 자셰[詳]. ‘셔(仔細)히’는 형용사 ‘셔다’에서 파생된 부사로서 ‘子細히 모〈석보 서:3ㄱ주〉’가 있는바, 모음 사이 ‘ㅎ’이 줄어 ‘내 이 讖 자셰히 살푠댄〈금삼 1:7ㄴ〉, 셰〈번역소 7:29ㄱ〉’로 쓰임.
주004)
드라:들어라. 듣-[聞](ㄷ불규칙)+(으)라(명령법 종결어미). 귀예 됴 소리 듣고져 며〈월석 1:32ㄱ〉. 衆生이 드러든 뎌 나라해 나고져 發願야 리니〈월석 7:70ㄴ〉.
주005)
위야:위하여. 위(爲)-+어/아/야(연결어미).
주006)
닐오리라:이를 것이다. 이르리라. 니-/니르-[謂]+오(의도법)+ㄹ(관형사형 어미)#이(형식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이는 ‘니르시니’〈용가 92〉, ‘니를’〈석상 13:7ㄱ〉, ‘니르고져’〈훈언 2ㄱ〉, ‘니르거든’〈월석 7:33ㄱ〉 등이 있고, ‘니시니’〈용가 5〉, ‘니샤’〈석상 23:4ㄴ〉, ‘니 씨라’〈월석 1:54ㄴ〉 등과 같이 쌍형으로 나타나는 예가 많음.
주007)
어미:어머니가. 어미[母]+∅(주격조사). ‘아양(阿孃) : 어머니, 아야(阿爺) : 아버지’.
주008)
식:자식. 자식(子息)을. 식(子息). 이는 한자어로 일찍부터 쓰였으나, 정음 표기는 「구급간이방언해(1489)」부터 확인됨. 어미 죽고 식 몯 낫거든〈구간 7:40ㄴ〉. 신해 님금 섬교미 식이 아비 셤교미 니〈삼강 충:6ㄴ〉.
주009)
여:배어. 잉태하여. -[孕]+어(연결어미). ‘-여’는 체언 말모음 ‘ㅣ’의 순행동화를 입은 것임. 욘 아 비디  二千斤ㅅ 金이니다〈월석 8:81ㄴ〉.
주010)
열 :열 달. 열[十]#[月].
주011)
이예:사이에. 이[間]+예(처소의 부사격조사). 이 ‘이’는 앞선 시대 ‘’로 본시 반치음이 16세기 초기 문헌에도 씌었으나, 특히 ‘ㅣ’ 모음 앞에 쓰인 ‘ㅿ’이 일찍 탈락한 모습을 보여, ‘이’를 필두로 ‘어버이, 녀지이, 아이-[被奪, 아-]’로 씌었으며 16세기 후반에 보임. 닐웻  모다 울쏘리 긋디 아니더라〈석상 23:45ㄴ〉. 虛空 밧긘  매 잇고  이옌 두 며기로다〈두언 3:26ㄴ〉. 그 이예 한 이  니〈삼강(동경) 5ㄱ〉. ⟶ 56쪽 ‘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2)
신괴:신고(辛苦)가. 어려운 일을 당해 애씀이. 신고(辛苦)+ㅣ(주격조사). 辛苦ㅣ 쉬나 러니〈법화 2:222ㄴ〉. 시혹 아예 러디면  신고며  슈고고〈초발야운 40ㄴ〉. ‘이 문헌’의 ‘신고’는 동사 ‘신고여도〈은중 10ㄴ〉’로 쓰인 16세기 중엽의 드문 예에 드는 것으로 앞의 「초발심자경문언해(1577)」보다 앞서기 때문에 정음 표기 예문으로 제일 먼저 실려야 할 것임.
주013)
그지:끝. 한도(限度). 그지[限, 명사].  그지의 미추미며 方位의 호미니(壃畿所及方位所同)〈법화 3:156ㄱ-ㄴ〉. 사라실 젯 그지 잇 숤盞을  다 머굴디니라(且盡生前有限杯)〈두언 10:8ㄱ〉.
주014)
업스니라:없는 것이다. 없다. 없-[無]+(으)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