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갚는 길을 물음
  • 부모의 은덕에 보답하고 부모를 위해 경전을 펴내라 이르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모의 은덕에 보답하고 부모를 위해 경전을 펴내라 이르다


爾時 大衆聞佛所說 父母恩德 垂淚悲泣 告於如來 我等今者 云何報得 父母深恩 佛告弟子 欲得報恩 爲於父母 重興經典 是眞報得 父母恩也 能造一卷 得見一佛 能造十卷 得見十佛 能造百卷 得見百佛 能造千卷 得見千佛 能造萬卷 得見萬佛 緣此等人 造經力故 是諸佛等 常來擁護 令使其人父母 得生天上 受諸快樂

부모은중경언해:24ㄴ

永離地獄苦

뎨 다 울며 셰존 오 이제 엇뎌야 부모의 은 갑리잇고 셰조니 주001)
셰조니:
세존이. 부처님께서. 셰존(世尊)+이(주격조사). 그  世尊이 즉자히 化人 보내샤〈석상 6:7ㄴ〉. 한자 ‘세존(世尊)’이 정음 표기로 나타나는 것은 16세기 중엽으로 추정되는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에 다음 예문이 있음. 부텻 오 세존하 큰 자비로 구졔샤 원 이…〈장수 8ㄱ〉.
니샤 부모의 은 갑고쟈 면 이 을 다시 일우라 주002)
일우라:
만들어라. 일우-[成]+라(명령법 종결어미). 平生ㄱ  몯 일우시니(莫遂素志)〈용가 12〉. 成은 일울 씨라〈석상 서:5ㄱ주〉.
 권 일우면  부텨 보고 열 권 일우면 열 부텨 보고 일만 권 일우면 일만 부텨 보니라 주003)
보니라:
보느니라. 본다. 보-[見]+(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확인법 선어말어미)+라.
이 사미  일운 덕고로 주004)
덕고로:
덕으로. 덕(德)+오로. ‘고로’는 ‘덕’의 ‘ㄱ’이 중철 표기된 것임.
모든 부톄 와 주005)
부톄 와:
부처님께서 오시어. 부텨[佛]+ㅣ(주격조사)#오-[來]+아(연결어미).
호야 주006)
옹호야:
옹호하여. 돕거나 감싸서 지켜. 옹호(擁護)-+야. 이 동사는 「교학고어사전」에만 표제어로 싣고 예문은 한자어로 했음. 國王이 付囑 받 擁護논 배니〈월석 서:9ㄴ〉. 이 ‘擁護-’의 용례는 많으나, 정음 표기는 18세기 「지장경언해(1752?)」에 들어서야 보이므로 이 대목을 표제어로 삼아 예문으로 올림이 좋겠음. 내 이 얼굴이 도록 념념의 염부 을 옹호야 시 시의 다 안락을 득케 니〈지장 중:27ㄱ〉.
그 사믜 주007)
그 사믜:
그 사람의. 그(관형사)#사[人]+의(관형격조사).
부모 하 우희 주008)
하 우희:
하늘 위에. 하[天]#웋[上](ㅎ종성체언)+의(처소의 부사격조사). ‘하’도 ㅎ종성체언이나, 단독형일 경우 ‘ㅎ’은 드러나지 않음.
주009)
가:
가. 가서. 가-[行]+아(연결어미). ‘가+아’가 ‘가’로 줆.
즐거운 이 주010)
이:
일을. 일[事]+(목적격조사).
만나게 주011)
만나게:
만나게. 만나-[遇]+게(연결어미). 世尊 맞나며 즘게남기 들여늘〈월천 상:65ㄴ〉. 醫 맛나고도 왼 藥을 머겨 아니 주 저기〈석상 9:36ㄴ〉. 만날 遭〈유합 하:29ㄱ〉. 조 도적을 만나(數遇賊)〈소언 6:18ㄴ〉. 여기에 든 보기와 같이 이 동사는 15세기 중엽에서 16세기 말에 이르는 동안에 어간의 ‘ㅅ’ 종성이 2음절 초성 ‘ㄴ’ 앞에서 비음의 역행동화를 입어 ‘만나-’로 정착됨을 알 수 있음.
며  주012)
:
영영. (永永). → 72쪽. ‘’.
디옥긔 주013)
디옥긔:
지옥의. 디옥(地獄)+의(관형격조사). ‘긔’는 ‘디옥’의 ‘ㄱ’이 중철 표기됨.
슈고 주014)
슈고:
고통 받음을. 슈고(受苦)+(목적격조사).
여희게 주015)
여희게:
여의게. 떠나게. 끊게. 여희-[離]+게(연결어미).
니라
※ 신심사본 대교 : 셰조니-셰존니, 일만-일마(‘마’ 두 자가 연서로 되어 있음), 덕고로-딕고로, 즐거운-즐거ㅇㅍ(‘ㅇㅍ’이 세로 연서한 것처럼 되었음.), 디옥긔-디긔.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제자가 다 울며 세존께 사뢰되, “이제 어찌해야 부모의 은혜를 갚겠습니까?”〈라고 하니,〉 세존이 이르시되, “부모의 은혜를 갚고자 한다면 이 경을 다시 만들어라. 한 권을 만들면 한 부처를 보고 열 권을 만들면 열 부처를 보고 일만 권을 만들면 일만 부처를 보느니라. 이 사람이 경 이룬 덕으로 모든 부처님이 오셔서 옹호하여 그 사람의 부모를 하늘 위에 가(천상에 태어나게 하고), 즐거운 이를 만나게 하며 영영 지옥의 수고를 떠나게 하느니라.”〈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셰조니:세존이. 부처님께서. 셰존(世尊)+이(주격조사). 그  世尊이 즉자히 化人 보내샤〈석상 6:7ㄴ〉. 한자 ‘세존(世尊)’이 정음 표기로 나타나는 것은 16세기 중엽으로 추정되는 「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에 다음 예문이 있음. 부텻 오 세존하 큰 자비로 구졔샤 원 이…〈장수 8ㄱ〉.
주002)
일우라:만들어라. 일우-[成]+라(명령법 종결어미). 平生ㄱ  몯 일우시니(莫遂素志)〈용가 12〉. 成은 일울 씨라〈석상 서:5ㄱ주〉.
주003)
보니라:보느니라. 본다. 보-[見]+(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확인법 선어말어미)+라.
주004)
덕고로:덕으로. 덕(德)+오로. ‘고로’는 ‘덕’의 ‘ㄱ’이 중철 표기된 것임.
주005)
부톄 와:부처님께서 오시어. 부텨[佛]+ㅣ(주격조사)#오-[來]+아(연결어미).
주006)
옹호야:옹호하여. 돕거나 감싸서 지켜. 옹호(擁護)-+야. 이 동사는 「교학고어사전」에만 표제어로 싣고 예문은 한자어로 했음. 國王이 付囑 받 擁護논 배니〈월석 서:9ㄴ〉. 이 ‘擁護-’의 용례는 많으나, 정음 표기는 18세기 「지장경언해(1752?)」에 들어서야 보이므로 이 대목을 표제어로 삼아 예문으로 올림이 좋겠음. 내 이 얼굴이 도록 념념의 염부 을 옹호야 시 시의 다 안락을 득케 니〈지장 중:27ㄱ〉.
주007)
그 사믜:그 사람의. 그(관형사)#사[人]+의(관형격조사).
주008)
하 우희:하늘 위에. 하[天]#웋[上](ㅎ종성체언)+의(처소의 부사격조사). ‘하’도 ㅎ종성체언이나, 단독형일 경우 ‘ㅎ’은 드러나지 않음.
주009)
가:가. 가서. 가-[行]+아(연결어미). ‘가+아’가 ‘가’로 줆.
주010)
이: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주011)
만나게:만나게. 만나-[遇]+게(연결어미). 世尊 맞나며 즘게남기 들여늘〈월천 상:65ㄴ〉. 醫 맛나고도 왼 藥을 머겨 아니 주 저기〈석상 9:36ㄴ〉. 만날 遭〈유합 하:29ㄱ〉. 조 도적을 만나(數遇賊)〈소언 6:18ㄴ〉. 여기에 든 보기와 같이 이 동사는 15세기 중엽에서 16세기 말에 이르는 동안에 어간의 ‘ㅅ’ 종성이 2음절 초성 ‘ㄴ’ 앞에서 비음의 역행동화를 입어 ‘만나-’로 정착됨을 알 수 있음.
주012)
:영영. (永永). → 72쪽. ‘’.
주013)
디옥긔:지옥의. 디옥(地獄)+의(관형격조사). ‘긔’는 ‘디옥’의 ‘ㄱ’이 중철 표기됨.
주014)
슈고:고통 받음을. 슈고(受苦)+(목적격조사).
주015)
여희게:여의게. 떠나게. 끊게. 여희-[離]+게(연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