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부모의 은혜를 갚는 길을 물음
  • 갚을 수 없는 부모의 은혜 5
메뉴닫기 메뉴열기

갚을 수 없는 부모의 은혜 5


부모은중경언해:20ㄱ

假使有人 爲於爺孃 百千刀輪 於自身中 左右出入 經百千劫 猶不能報 父母深恩

가 사미 부모 위야 쳔 갈로 모매 주001)
모매:
몸에. 몸[身]+애(처소의 부사격조사).
두로 주002)
두로:
두루. 골고루. 두루/두로[周](부사). 이 부사는 15세기 중엽에는 모음조화로 보아서도 ‘두루’가 쓰였으며, ‘두로’가 문헌상으로 처음 나타나는 것은 15세기 말엽의 「두시언해」, 「구급간이방」이나 16세기 이후부터이나, 결국 현대어로 이어진 것은 전자임. 부톄 여러 나라해 두루 니샤〈석상 6:44ㄱ〉. 周行은 두루 녀실 씨라〈월석 2:34ㄱ주〉. 호 이 두로 녀 알파〈구간 1:90ㄱ〉. 팔만 리 두로 너비 아니 비쵠  업니〈장수 3ㄴ〉.
고자 주003)
고자:
꽂아. 곶-[揷](동사)+아(보조적 연결어미). 剚 고기예  고 씨라〈능엄 8:107ㄴ〉. 네 글워리 오히려 매 고잿니〈두언 8:35ㄱ〉.
쳔 겁 디내여도 부모의 기픈 은혜 가(갑?)디 주004)
가디:
갚지. 갑-[報]+디. ‘갑-’은 받침 ‘ㅂ’ 자의 일부가 보임.
몯리라
※ 신심사본 대교 : 은혜-은헤.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가령, 사람이 부모 위하여 백천 칼로 몸에 두루 꽂아 백천 겁을 지내도 부모의 깊은 은혜를 갚지 못하리라.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매:몸에. 몸[身]+애(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02)
두로:두루. 골고루. 두루/두로[周](부사). 이 부사는 15세기 중엽에는 모음조화로 보아서도 ‘두루’가 쓰였으며, ‘두로’가 문헌상으로 처음 나타나는 것은 15세기 말엽의 「두시언해」, 「구급간이방」이나 16세기 이후부터이나, 결국 현대어로 이어진 것은 전자임. 부톄 여러 나라해 두루 니샤〈석상 6:44ㄱ〉. 周行은 두루 녀실 씨라〈월석 2:34ㄱ주〉. 호 이 두로 녀 알파〈구간 1:90ㄱ〉. 팔만 리 두로 너비 아니 비쵠  업니〈장수 3ㄴ〉.
주003)
고자:꽂아. 곶-[揷](동사)+아(보조적 연결어미). 剚 고기예  고 씨라〈능엄 8:107ㄴ〉. 네 글워리 오히려 매 고잿니〈두언 8:35ㄱ〉.
주004)
가디:갚지. 갑-[報]+디. ‘갑-’은 받침 ‘ㅂ’ 자의 일부가 보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