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세존이 뼈에 절함
  • 남자와 여자의 뼈를 구분하도록 하다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자와 여자의 뼈를 구분하도록 하다


佛告阿難 汝將此一堆枯骨 分作二分 若是男子骨頭 白了又重 若是女人骨頭 黑了又輕 阿難白佛言 世尊 男人在世 衫帶靴㡌裝裹卽知

부모은중경언해:2ㄴ

是男兒之身 女人在世 濃塗赤硃臙脂 蘭麝裝裹 卽知是女流之身 如今死後白骨 一般 敎弟子如何認得

부톄 아란려 니샤 네 이  둘희 주001)
둘희:
둘로. 둘ㅎ[二](ㅎ종성체언)+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조사 ‘-의’는 ‘둟’의 경우 관형격조사로 다음 예문과 같이 쓰였으나, 여기서는 부사격조사로 쓰임. 둘희 쏜 살이 세 낱 붚 여디니〈월천 상:14ㄴ〉.
호라 주002)
호라:
나누어라. 호-[分]+라(명령의 종결어미).
남의 주003)
남의:
남자의. 남(男子)+의(관형격조사).
 희오 주004)
희오:
희고. 희-[白]+고(연결어미). ‘오’는 ‘고’의 ‘ㄱ’이 ‘ㅣ’모음 뒤에서 약화된 표기임. 이 형용사는 15세기 중엽에 ‘-’로 많이 쓰였고 후엽에 ‘희-’가 나타나면서 쌍형어로 쓰인 것임.  므지게 예 니다(維時白虹橫貫于日)〈용가 50〉. 프른 거프를 사하시니 흰  서르 비취엿도다(蒼皮成委積素節相照燭)〈두언 초25:2ㄴ〉.
므겁고 주005)
므겁고:
무겁고. 므겁-[重](ㅂ불규칙)+고(연결어미). 목수미 므거 거실〈석상 6:5ㄱ〉. 障이 므겁고 미 (而障重心浮)〈원각 하3의2:2ㄱ〉.
녀이 주006)
녀이:
여인의. 녀인(女人)+(관형격조사).
 검고 주007)
검고:
검고. 검-[黑]+고.
가븨여우니라 주008)
가븨여우니라:
가볍다. 가벼운 것이다. 가븨엽-[輕](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어미)#이(형식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이 어간은 15세기 문헌에는 ‘가얍-’으로 쓰이던 것이 16세기에는 제2음절 ‘ㆍ’의 변동으로 16세기 초에 ‘’ → ‘븨’로, 접미사 ‘-압/업-’은 ‘-얍/엽-’으로 바뀜. 비록 그 病이 가얍고도〈석상 9:35ㄱ-ㄴ〉. 사이 셰의 나슈미 가븨야온 듣틀이 보라온 플에 브터슘 니〈번소 9:63〉.
아라니 주009)
아라니:
아난이. 아란(阿難)+이(주격조사). → 51쪽. ‘주격조사’.
오 주010)
오:
사뢰되. 말하되. -[白, ㅂ불규칙]+오/우(설명, 인용의 연결어미). 世尊 샤〈석상 9:1ㄴ〉. 聖人神力을 어 다 리(聖人神力奚罄設之)〈용가 87〉. → 88쪽. ‘오’.
셰존하 주011)
셰존하:
세존(世尊)이시여. 셰존+하(존칭 호격조사). 如來하 우리 나라해 오샤 衆生 邪曲 덜에 쇼셔〈석상 6:21ㄱ〉. 大王하 아쇼셔〈월석 7:18ㄱ〉.
남 이의 주012)
이의:
이생에. 이+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이실제 주013)
이실 제:
있을 때. 이시-[有]+ㄹ(관형사형 어미)#제[時].
한삼 닙고 주014)
한삼 닙고:
한삼을 입고. 한삼#닙-[服]+고. 한삼(汗衫) : 손을 가리기 위하여서 두루마기, 소창옷, 여자의 저고리 따위의 윗옷 소매 끝에 흰 헝겊으로 길게 덧대는 소매. 욘 고의예  깁 한삼과 부희여 비쳇 비단 너븐 주룸 텰릭과〈번노 하:50ㄱ~51ㄱ〉.
 오 주015)
 오:
띠를 두르고. [帶]#-[帶]+고. ‘오’는 ‘고’의 ‘ㄱ’이 ‘ㅣ’ 모음 뒤에서 약화된 표기임. 寶玉帶 샤(寶玉且橫腰)〈용가 112〉.  오 도로  타 東西에 도혀  건나라〈두언 3:35ㄱ〉.
훠 신고 주016)
훠 신고:
신발 신고. 훠#신-[履]+고. ‘훠’는 중국어 ‘靴’의 차용음으로 15세기에 쓰인 것으로 봄. 이 해 훠와 신과(此土靴履)〈능엄 6:96ㄴ〉.
이실 주017)
이실:
있으므로. 이시-[有]+ㄹ(원인의 연결어미).
남의 모민 줄 주018)
모민 줄:
몸인 줄. 몸[身]+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 어미)#줄(의존명사)+(∅)(목적격조사).
알오 녀이 주019)
녀이:
여인은. 女人+(보조사).
분 고 주020)
분 고:
분 바르고. 분(粉)#-[塗]+고. 栴檀香ㄱ 로 고〈석상 6:38ㄱ〉. 부텻 形像애 오니(塗佛形像)〈능엄 5:41ㄱ〉.
연지 딕고 주021)
연지 딕고:
연지 찍고. 연지(臙脂)#딕-[點]+고. 연지는 여자가 화장할 때 양쪽 뺨에 찍는 붉은 빛깔의 염료 물감. 粉 臙脂와 고로 비 각시〈월천 상:18ㄴ〉. 연지 닐굽 돈 반과 구죠갯   과〈구간 7:81ㄴ〉. 點 딕거나 點 아니커나(若點커나 不點커나)〈법화 3:86ㄴ〉.
샤 고 주022)
샤 고:
사향을 차고. 사(麝香)#-[佩]+고. 쥐 믄  고튜 麝香 추메 라 라〈구급방 하:65ㄱ〉. 시혹 몸 우희 거나(或帶身上커나)〈능엄 7:46ㄱ〉. 사  돈 초해 섯거 이베 브면(硏麝香一錢醋和)〈구간 1:47ㄱ〉. 사향(麝香)은 사향노루의 사향샘을 건조하여 얻는 향료. 어두운 갈색 가루로 향기가 매우 강하여 강심제, 각성제 따위에 약재로 씀.
단여 주023)
단여:
단장하여. 단(丹粧)-+여(연결어미). 단장은 얼굴·머리·옷차림 따위를 곱게 꾸밈. 이 동사에 대하여는 「이조어사전」에는 명사, 동사로 ‘단장(丹粧)-다’로 표제어로 올렸고, 「교학고어사전」은 명사, 동사를 따로 하여 표제어 ‘단다’의 예문으로 ‘이 문헌’의 이 대목을 올려놓았음.
이실 주024)
이실:
있으므로. 이시-/잇-/시-[存]+ㄹ(원인의 연결어미). 이 형용사의 세 가지 이형태는 다음과 같이 쓰였음. ① ‘이시-’는 모음어미 ‘-아/어, -야/여, -오/우-’나 매개모음이 쓰이는 ‘-(/으)냐, -(/으)니, -(/으)ㅭ’ 앞에서 ‘이셔, 이숌, 이쇼, 이시나, 이시니, 이’과 같이, ② ‘잇-’은 자음어미 앞에 ‘잇고, 잇니, 잇도다’와 같이, ③ ‘시-’는 모음 앞이되 ‘-아/어~-야/여’나 ‘-고’ 및 부사 ‘마니’ 등 뒤에서 ‘마니시며, 와시며’와 같이 교체되어 쓰였음.
녀이 모민 줄 알어니와 주025)
알어니와:
알거니와. 알-[知]+거(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의 연결어미)+와(접속조사). 또는 알-[知]+거니와/어니와(설명, 이유의 연결어미). 비록 알오져 리라도(雖慾知者ㅣ라도)〈석보 서:3ㄱ〉. 正音으로 飜譯야 사마다 수 알에 야(就釋以正音야 俾人人易曉케 야)〈월석 서:12ㄴ〉.
이제 주근 주026)
주근:
죽은. 죽-[死]+은(관형사형 어미).

부모은중경언해:3ㄱ

주027)
후의:
뒤에. 후에. 후(後)+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8)
:
뼈가. [骨]+ㅣ(주격조사). 주격조사의 이형태로 ‘-이/ㅣ/∅’가 있음. 그 분포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 모음으로 끝났으되 ‘ㅣ’나 ‘ㅣ’계 이중모음으로 끝난 경우는 그 형태가 드러나지 않아 ‘∅(zero 형태)’가 됨.
가지어든 주029)
가지어든:
한가지거든. 같거든. 가지[同]+∅(서술격조사)+거든(조건의 연결어미).
엇뎨 주030)
엇뎨:
어찌. 어찌하여. 엇뎨[何, 부사]. 누비옷 니브샤 붓그료미 엇뎨 업스신가〈월천 상:44ㄱ〉.
알리잇가 주031)
알리잇가:
알겠습니까? 알-[知]+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잇(상대높임 선어말어미)+가(판정 의문법 종결어미). 화자를 높이는 기능을 하는 선어말어미는 종결어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잇-’으로 나타남. ‘이 문헌’에서는 이 선어말어미 ‘--’의 ‘ㆁ’ 탈락으로 ‘-잇-’으로 쓰이게 됐음. 여기의 ‘-가’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므로, 설명의문인 ‘-고’가 쓰여야 할 곳에 잘못 쓰인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이 문헌’에서는 판정, 의문의 구별 없이 쓰였다고 본 것임. → 60쪽. 상대높임 ‘-이/잇-’.
※ 신심사본 대교 : 다른 표기 없음.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이르시되, “네가 이 뼈를 둘로 나누어라. 남자의 뼈는 희고 무겁고, 여인의 뼈는 검고 가벼우니라.”〈라고 하니,〉 아난이 사뢰되, “세존이시여 남자는 이생에 있을 때 한삼 입고 띠 두르고 신발 신고 있으므로 남자의 몸인 줄을 알고, 여인은 분 바르고 연지 찍고 사향 차고 단장하고 있으므로 여인의 몸인 줄 알지만 이제는 죽은 후에 뼈가 같은데 어찌 알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둘희:둘로. 둘ㅎ[二](ㅎ종성체언)+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조사 ‘-의’는 ‘둟’의 경우 관형격조사로 다음 예문과 같이 쓰였으나, 여기서는 부사격조사로 쓰임. 둘희 쏜 살이 세 낱 붚 여디니〈월천 상:14ㄴ〉.
주002)
호라:나누어라. 호-[分]+라(명령의 종결어미).
주003)
남의:남자의. 남(男子)+의(관형격조사).
주004)
희오:희고. 희-[白]+고(연결어미). ‘오’는 ‘고’의 ‘ㄱ’이 ‘ㅣ’모음 뒤에서 약화된 표기임. 이 형용사는 15세기 중엽에 ‘-’로 많이 쓰였고 후엽에 ‘희-’가 나타나면서 쌍형어로 쓰인 것임.  므지게 예 니다(維時白虹橫貫于日)〈용가 50〉. 프른 거프를 사하시니 흰  서르 비취엿도다(蒼皮成委積素節相照燭)〈두언 초25:2ㄴ〉.
주005)
므겁고:무겁고. 므겁-[重](ㅂ불규칙)+고(연결어미). 목수미 므거 거실〈석상 6:5ㄱ〉. 障이 므겁고 미 (而障重心浮)〈원각 하3의2:2ㄱ〉.
주006)
녀이:여인의. 녀인(女人)+(관형격조사).
주007)
검고:검고. 검-[黑]+고.
주008)
가븨여우니라:가볍다. 가벼운 것이다. 가븨엽-[輕](ㅂ불규칙)+(으)ㄴ(관형사형 어미)#이(형식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이 어간은 15세기 문헌에는 ‘가얍-’으로 쓰이던 것이 16세기에는 제2음절 ‘ㆍ’의 변동으로 16세기 초에 ‘’ → ‘븨’로, 접미사 ‘-압/업-’은 ‘-얍/엽-’으로 바뀜. 비록 그 病이 가얍고도〈석상 9:35ㄱ-ㄴ〉. 사이 셰의 나슈미 가븨야온 듣틀이 보라온 플에 브터슘 니〈번소 9:63〉.
주009)
아라니:아난이. 아란(阿難)+이(주격조사). → 51쪽. ‘주격조사’.
주010)
오:사뢰되. 말하되. -[白, ㅂ불규칙]+오/우(설명, 인용의 연결어미). 世尊 샤〈석상 9:1ㄴ〉. 聖人神力을 어 다 리(聖人神力奚罄設之)〈용가 87〉. → 88쪽. ‘오’.
주011)
셰존하:세존(世尊)이시여. 셰존+하(존칭 호격조사). 如來하 우리 나라해 오샤 衆生 邪曲 덜에 쇼셔〈석상 6:21ㄱ〉. 大王하 아쇼셔〈월석 7:18ㄱ〉.
주012)
이의:이생에. 이+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13)
이실 제:있을 때. 이시-[有]+ㄹ(관형사형 어미)#제[時].
주014)
한삼 닙고:한삼을 입고. 한삼#닙-[服]+고. 한삼(汗衫) : 손을 가리기 위하여서 두루마기, 소창옷, 여자의 저고리 따위의 윗옷 소매 끝에 흰 헝겊으로 길게 덧대는 소매. 욘 고의예  깁 한삼과 부희여 비쳇 비단 너븐 주룸 텰릭과〈번노 하:50ㄱ~51ㄱ〉.
주015)
 오:띠를 두르고. [帶]#-[帶]+고. ‘오’는 ‘고’의 ‘ㄱ’이 ‘ㅣ’ 모음 뒤에서 약화된 표기임. 寶玉帶 샤(寶玉且橫腰)〈용가 112〉.  오 도로  타 東西에 도혀  건나라〈두언 3:35ㄱ〉.
주016)
훠 신고:신발 신고. 훠#신-[履]+고. ‘훠’는 중국어 ‘靴’의 차용음으로 15세기에 쓰인 것으로 봄. 이 해 훠와 신과(此土靴履)〈능엄 6:96ㄴ〉.
주017)
이실:있으므로. 이시-[有]+ㄹ(원인의 연결어미).
주018)
모민 줄:몸인 줄. 몸[身]+이(서술격조사)+ㄴ(관형사형 어미)#줄(의존명사)+(∅)(목적격조사).
주019)
녀이:여인은. 女人+(보조사).
주020)
분 고:분 바르고. 분(粉)#-[塗]+고. 栴檀香ㄱ 로 고〈석상 6:38ㄱ〉. 부텻 形像애 오니(塗佛形像)〈능엄 5:41ㄱ〉.
주021)
연지 딕고:연지 찍고. 연지(臙脂)#딕-[點]+고. 연지는 여자가 화장할 때 양쪽 뺨에 찍는 붉은 빛깔의 염료 물감. 粉 臙脂와 고로 비 각시〈월천 상:18ㄴ〉. 연지 닐굽 돈 반과 구죠갯   과〈구간 7:81ㄴ〉. 點 딕거나 點 아니커나(若點커나 不點커나)〈법화 3:86ㄴ〉.
주022)
샤 고:사향을 차고. 사(麝香)#-[佩]+고. 쥐 믄  고튜 麝香 추메 라 라〈구급방 하:65ㄱ〉. 시혹 몸 우희 거나(或帶身上커나)〈능엄 7:46ㄱ〉. 사  돈 초해 섯거 이베 브면(硏麝香一錢醋和)〈구간 1:47ㄱ〉. 사향(麝香)은 사향노루의 사향샘을 건조하여 얻는 향료. 어두운 갈색 가루로 향기가 매우 강하여 강심제, 각성제 따위에 약재로 씀.
주023)
단여:단장하여. 단(丹粧)-+여(연결어미). 단장은 얼굴·머리·옷차림 따위를 곱게 꾸밈. 이 동사에 대하여는 「이조어사전」에는 명사, 동사로 ‘단장(丹粧)-다’로 표제어로 올렸고, 「교학고어사전」은 명사, 동사를 따로 하여 표제어 ‘단다’의 예문으로 ‘이 문헌’의 이 대목을 올려놓았음.
주024)
이실:있으므로. 이시-/잇-/시-[存]+ㄹ(원인의 연결어미). 이 형용사의 세 가지 이형태는 다음과 같이 쓰였음. ① ‘이시-’는 모음어미 ‘-아/어, -야/여, -오/우-’나 매개모음이 쓰이는 ‘-(/으)냐, -(/으)니, -(/으)ㅭ’ 앞에서 ‘이셔, 이숌, 이쇼, 이시나, 이시니, 이’과 같이, ② ‘잇-’은 자음어미 앞에 ‘잇고, 잇니, 잇도다’와 같이, ③ ‘시-’는 모음 앞이되 ‘-아/어~-야/여’나 ‘-고’ 및 부사 ‘마니’ 등 뒤에서 ‘마니시며, 와시며’와 같이 교체되어 쓰였음.
주025)
알어니와:알거니와. 알-[知]+거(과거시상 선어말어미)+니(이유의 연결어미)+와(접속조사). 또는 알-[知]+거니와/어니와(설명, 이유의 연결어미). 비록 알오져 리라도(雖慾知者ㅣ라도)〈석보 서:3ㄱ〉. 正音으로 飜譯야 사마다 수 알에 야(就釋以正音야 俾人人易曉케 야)〈월석 서:12ㄴ〉.
주026)
주근:죽은. 죽-[死]+은(관형사형 어미).
주027)
후의:뒤에. 후에. 후(後)+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주028)
:뼈가. [骨]+ㅣ(주격조사). 주격조사의 이형태로 ‘-이/ㅣ/∅’가 있음. 그 분포는 자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이’, 모음으로 끝난 체언 아래 ‘-ㅣ’, 모음으로 끝났으되 ‘ㅣ’나 ‘ㅣ’계 이중모음으로 끝난 경우는 그 형태가 드러나지 않아 ‘∅(zero 형태)’가 됨.
주029)
가지어든:한가지거든. 같거든. 가지[同]+∅(서술격조사)+거든(조건의 연결어미).
주030)
엇뎨:어찌. 어찌하여. 엇뎨[何, 부사]. 누비옷 니브샤 붓그료미 엇뎨 업스신가〈월천 상:44ㄱ〉.
주031)
알리잇가:알겠습니까? 알-[知]+리(미래시상 선어말어미)+잇(상대높임 선어말어미)+가(판정 의문법 종결어미). 화자를 높이는 기능을 하는 선어말어미는 종결어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설명법 종결어미 ‘-다’ 앞에서는 ‘--’로 의문법 종결어미 ‘-가, -고’ 앞에서는 ‘-잇-’으로 나타남. ‘이 문헌’에서는 이 선어말어미 ‘--’의 ‘ㆁ’ 탈락으로 ‘-잇-’으로 쓰이게 됐음. 여기의 ‘-가’는 판정의문 종결어미이므로, 설명의문인 ‘-고’가 쓰여야 할 곳에 잘못 쓰인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러나 ‘이 문헌’에서는 판정, 의문의 구별 없이 쓰였다고 본 것임. → 60쪽. 상대높임 ‘-이/잇-’.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