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어머니의 열 달 고통
  • 열째 달
메뉴닫기 메뉴열기

열째 달


부모은중경언해:6ㄱ

阿孃 十箇月 懷胎方乃降生 若是孝順之男 擎拳合掌而生 不損阿孃 若是五逆之子 擘破阿孃胞胎 手攀阿孃心肝 脚踏阿孃胯骨 敎孃如千刀攪腹 恰似萬刃攅心 如斯痛苦生得此身 猶有十恩

열 리면 회 나니 주001)
나니:
나오니. 나-[出]+(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효옛 주002)
효옛:
효자의. 효(孝子)+예(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아 주003)
아:
아들은. 아[子]+(보조사).
두 손 마초와 주004)
마초와:
맞추어. 맞잡게 하여. 맞-[適]+호(사동접미사)+아.
나되 주005)
나되:
나오되. 나-[出]+오/우+되(연결어미). 이 경우 선어말어미 ‘-오/우-’는 어간모음 ‘ㅏ, ㅓ, ㅗ, ㅜ’ 다음에서 줆.
어미 해티 주006)
해티:
해치지. 해(害)-+디. ‘-+디’가 줄어 ‘티’가 됨. 이는 본시 한자 표기로 써오다가 정음 표기가 나타나는 것은 「번역소학(1518)」이므로 ‘이 문헌’의 표기보다는 좀 앞섬. 녯 해 갓가와 쉬 알리러니(昔之害近而易知)〈번소 8:41ㄱ〉.
아녀 주007)
아녀:
아니하게. 아니-[不]+어(연결어미). → 77쪽 ‘아니다’.
나고 주008)
나고:
나오고. 나-[出]+고(연결어미).
오역 주009)
오역(五逆):
불교에서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질 다섯 가지 큰 악행(惡行). 첫째는 아버지를 죽임, 둘째는 어머니를 죽임, 셋째는 부처님 몸에 피를 내는 것, 넷째는 스님을 죽임, 다섯째는 화합승(和合僧)을 파하는 것임.
주010)
오역긧:
오역(五逆)의. 오역(五逆)+읫(관형격조사). ‘긧’의 ‘ㄱ’은 ‘오역’의 말음 ‘ㄱ’이 중철된 표기임.
아 어믜  주011)
:
배를. [腹]+(목적격조사).
헤티며 주012)
헤티며:
헤치며. 깨뜨리며. 헤티-[破]+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명사형어미 ‘옴/움’이 아닌 ‘ㅁ’으로 쓰임. 死生 니져 시혹 료  더디 며 시혹 깃구 혹 혜티 며〈월석 18:32ㄱ〉. 그 믈 혜텨 여러(破開陰際)〈능엄 1:107ㄴ〉.
어믜 간 주013)
간:
간을. 간(肝)+(목적격조사). ‘’은 ‘肝’의 말음을 중철 표기한 것임.
자브며 주014)
자브며:
잡으며. 잡-[執]+(으)며.
어믜 도 주015)
어믜 도:
어미의 뼈도. 어미[母]+의(관형격조사)#[骨]+도(보조사).
박니 주016)
박니:
박차니. 박-[蹴]+니. 져비  고 박차 춤츠 돗긔 디놋다(燕蹴飛花落舞筳)〈두언 15:33〉. 이 동사의 용례는 드물어 인용한 예문이 고작임.
어 주017)
어:
어미의. 어미+(관형격조사).
갈로 주018)
갈로:
칼로. 갈[刀]+로(도구의 부사격조사). 본시 ‘갈로’로 표기될 것이나, ‘갏’의 ‘ㅎ’이 탈락되어 쓰인 것임. → 37쪽 ‘비자동적 교체의 체언’.
딜워 주019)
딜워:
찔러. 딜우-[刺]+어. 이 동사는 15세기 중엽에 본시 ‘디-’이나, 당시에도 제2음절 ‘ㆍ’ 음가의 불완전성으로 ‘디르-’로 나타나는 것이 있는데, 여기 ‘딜우-’는 ‘ㆍ〉ㅡ’와는 예외로 ‘ㆍ〉ㅜ’로 일시 나타났다가(「선종영가집언해」의 다음에 든 예문이 고작임.) 사라진 것으로 보임. 世尊이 因時예 바로 니 디시며〈남명 하:52ㄴ〉. 갈로 디르 야(如人刀刺狀)〈구급 상:18ㄴ〉. 내 네 槍 사 도로 네 방팰 딜우리라〈영가 하:116ㄴ〉.
기시 주020)
기 시:
기는 듯이. 기-[匐]+(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시(부사형어미). ‘시’의 ‘시’는 ‘’의 ‘ㅅ’을 중철 표기한 것임. 이 동사는 본시 ‘긔-’로 쓰인 것인데, ‘ㅢ’ 이중모음의 음가가 불안정하여 일찍 ‘ㅣ’ 모음으로 정착한 것이 아닌가 함. 긔 거시며  거시며〈월석 1:11ㄱ주〉. 獸 긔 이라〈월석 21:113ㄱ주〉.
알케 주021)
알케:
앓게. 앓-[痛]+게(부사형 어미). 허튀 알하 거르믈 몯 거르실〈월석 8:100ㄱ〉. 定에에 나 머리 알니(而出定頭痛)〈능엄 5:74ㄴ〉.
니 주022)
니:
하니. 하는 것이니. -+(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이 몸이 나믜 주023)
나믜:
남에. 태어남에. 나-[生]+옴/움(명사형 어미)+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어간 모음이 ‘ㅏ, ㅓ, ㅗ, ㅜ’의 경우 어미의 ‘-오/우-’가 줄어 나타나지 않음.
열 가짓 주024)
열 가짓:
열 가지의. 열[十]#가지[種]+ㅅ(관형격조사).
은니라 주025)
은니라:
은혜이다. 은혜인 것이다. 은혜이니라. 은(恩)+이(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니라’의 ‘ㄴ’은 ‘은’의 ‘ㄴ’이 중철된 표기를 나타낸 것임.
※ 신심사본 대교 : 회-회, 어미-어미를, 오역긧-오어게, 간-긴놀, 자브며-자보며, 어 -어 비.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열 달이면 회태
(=뱃속에서)
나오니, 효자의 아들은 두 손을 맞추어 나오되, 어미를 해하지 않게 나고, 오역의 아들은 어미의 배를 헤치며 어미의 간을 잡으며, 어미의 뼈도 박차니, 어미의 배에 칼로 찔러 기는 듯이 앓게 하니, 이 몸이 날 때에 열 가지 은혜다.
■ 참고
현대의학에서 태아의 발생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는가를 참고로 보임. ‘카네기 (태아) 발생의 기준과 배자 및 주요 기관의 발달, 태아기 중의 발생’ 중에서 초록함.
1) 1~4주 : 크기(mm) : 4~5, 일수(日數) : 28.
내용 : 원래 편평(偏平)했던 배자(胚子) 원반이 원통형으로 되고 신경관의 형성, 인두궁(咽頭宮), 눈, 귀, 손, 발의 발생태(發生態)가 되고, 23일경 박동을 시작한다.
2) 5~8주 : 크기(mm) : 6~31, 일수(日數) : 56.5, 머리 둔부 길이 27~31mm.
내용 : 상지(上肢)는 길어지고 손가락이 분명해지며 차차 정중(正中) 쪽으로 가까워지고, 하지(下肢)도 발가락과 무릎이 구별되며, 이 또한 정중 쪽으로 가까워진다.
3) 9~12주 : 머리 둔부 길이(mm) : 35~93, 발 길이(mm) : 7~14, 체중(g) : 3~40.
내용 : 9주부터 태아(胎兒)라 하는데, 분명히 인간과 비슷하다. 이 시기에 머리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신체의 부분들이 차차 성인과 비슷해지는데, 목이 차차 펴지면서 잘 구별되며, 얼굴 부위가 넓어지면서 바깥쪽에 자리했던 눈이 차차 복부 쪽으로 이동된다. 12주 말에는 태아가 피부의 자극에 반응하며, 부갑상선 호르몬이 생산되며, 혈액은 응고될 수 있고, 꼬리는 퇴행 변화하여 둔부로 흡수되어 완전히 없어진다.
4) 13~16주 : 머리 둔부 길이(mm) : 95~140, 발 길이(mm) : 20~27, 체중(g) : 50~150.
내용 : 이 시기에 얼굴이 더 인간답게 되며, 태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성장이 매우 빠르며, 특히 키가 커진다. 하악골이 발달해 아래턱이 관찰되고, 머리칼의 형(pattern)이 결정되고, 하지도 상당히 길어진다. 16주 초에는 산모의 복수 X선 사진에서 쉽게 관찰된다.
5) 17-20주 : 머리 둔부 길이(mm) : 140~190, 발 길이(mm) : 33~39, 체중 : 200 ~350g.
내용 : 이 시기에 성장은 둔화되지만 머리 둔부 길이는 약 50mm가 증가하며, 대개 산모는 태아의 운동을 쉽게 느낀다. 18주에 여아의 경우, 자궁은 완전히 형성되며, 20주에는 남아의 경우, 고환은 아직 후복부 벽에 위치하고, 태모가 나타나서 차차 신체의 모든 표면을 덮는다. 하지는 상당히 길어지고 신체의 다른 부위에 대한 비율이 성인에 유사해진다.
6) 21~25주 : 머리 둔부 길이(mm) : 200~240, 발 길이(mm) : 45~49, 체중 : 450 ~1000g.
내용 : 이 시기에는 체중이 뚜렷하게 증가한다. 신체는 아직 가늘지만 점차 균형이 잡히고, 피부는 빨리 성장하지만 피하조직이 적기 때문에 특징적으로 주름이 잡혀 있으며 매우 투명하기 때문에 모세혈관 속의 혈액이 보여 피부가 분홍 내지 적색을 띤다.
7) 26~29주 : 머리 둔부 길이(mm) : 250~280, 발 길이(mm) : 50~62, 체중 : 1100 ~1600g.
내용 : 태아의 폐는 공기를 들여 마실 수 있고, 폐혈관은 기체 교환이 가능할 정도로 발달해 있어서 이 시기에 태어난 미숙아는 살 수 있다. 또한 규칙적인 호흡운동을 하고 체온을 조절할 수 있을 정도로 중추신경 계통이 성숙해 있다.
8) 30~34주 : 머리 둔부 길이(mm) : 290~340, 발 길이(mm) : 63~68, 체중(g) : 1800~2800.
내용 : 발생 30주에 빛에 대한 동공반사가 있다. 34주경이 되면 피부는 부드럽고 분홍색을 띤다. 얼굴에는 태모가 없어지지만, 두모는 상당히 길다. 태지(胎脂)는 잘 발달되었고 손톱은 손가락 끝에 닿았다.(‘태지’는 자궁내의 태아 피부에 묻어 있는 기름기, 지방으로서 흰색으로 마치 돼지기름 굳은 모양 같은 지방 덩어리로 분만되는 태아의 피부에서 흔히 볼 수 있음.)
9) 35~38주 : 머리 둔부 길이(mm) : 340~360, 발 길이(mm) : 69~83, 체중 : 3000~3400g.
내용 : 발생 35주의 태아는 물체를 꽉 움켜쥘 수 있으며, 빛에 대해 자연스레 방향을 잡는다. 이 시기는 완성기로서 대부분의 태아는 토실토실하다. 머리는 태아기의 초기보다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훨씬 작아졌지만, 둘레는 아직도 태아에서 가장 크기 때문에 이 머리 둘레는 산도를 통과할 때 중요하다. 36주에 머리와 복부 둘레는 같으나, 이후에는 복부 둘레가 크다. 이 시기에 대체로 남아가 여아보다 더 빨리 자라서 출생 시 남아가 더 무겁게 된다. (이후 분만)
* 참고 문헌 : 『인체발생학』 3판(박형우, 군자출판사, 110~125쪽). 이 부분은 옹서(翁壻)의 인연으로 해서 도움을 준, 최호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의 수고가 있었음을 적어 둔다.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니:나오니. 나-[出]+(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02)
효옛:효자의. 효(孝子)+예(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03)
아:아들은. 아[子]+(보조사).
주004)
마초와:맞추어. 맞잡게 하여. 맞-[適]+호(사동접미사)+아.
주005)
나되:나오되. 나-[出]+오/우+되(연결어미). 이 경우 선어말어미 ‘-오/우-’는 어간모음 ‘ㅏ, ㅓ, ㅗ, ㅜ’ 다음에서 줆.
주006)
해티:해치지. 해(害)-+디. ‘-+디’가 줄어 ‘티’가 됨. 이는 본시 한자 표기로 써오다가 정음 표기가 나타나는 것은 「번역소학(1518)」이므로 ‘이 문헌’의 표기보다는 좀 앞섬. 녯 해 갓가와 쉬 알리러니(昔之害近而易知)〈번소 8:41ㄱ〉.
주007)
아녀:아니하게. 아니-[不]+어(연결어미). → 77쪽 ‘아니다’.
주008)
나고:나오고. 나-[出]+고(연결어미).
주009)
오역(五逆):불교에서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질 다섯 가지 큰 악행(惡行). 첫째는 아버지를 죽임, 둘째는 어머니를 죽임, 셋째는 부처님 몸에 피를 내는 것, 넷째는 스님을 죽임, 다섯째는 화합승(和合僧)을 파하는 것임.
주010)
오역긧:오역(五逆)의. 오역(五逆)+읫(관형격조사). ‘긧’의 ‘ㄱ’은 ‘오역’의 말음 ‘ㄱ’이 중철된 표기임.
주011)
:배를. [腹]+(목적격조사).
주012)
헤티며:헤치며. 깨뜨리며. 헤티-[破]+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명사형어미 ‘옴/움’이 아닌 ‘ㅁ’으로 쓰임. 死生 니져 시혹 료  더디 며 시혹 깃구 혹 혜티 며〈월석 18:32ㄱ〉. 그 믈 혜텨 여러(破開陰際)〈능엄 1:107ㄴ〉.
주013)
간:간을. 간(肝)+(목적격조사). ‘’은 ‘肝’의 말음을 중철 표기한 것임.
주014)
자브며:잡으며. 잡-[執]+(으)며.
주015)
어믜 도:어미의 뼈도. 어미[母]+의(관형격조사)#[骨]+도(보조사).
주016)
박니:박차니. 박-[蹴]+니. 져비  고 박차 춤츠 돗긔 디놋다(燕蹴飛花落舞筳)〈두언 15:33〉. 이 동사의 용례는 드물어 인용한 예문이 고작임.
주017)
어:어미의. 어미+(관형격조사).
주018)
갈로:칼로. 갈[刀]+로(도구의 부사격조사). 본시 ‘갈로’로 표기될 것이나, ‘갏’의 ‘ㅎ’이 탈락되어 쓰인 것임. → 37쪽 ‘비자동적 교체의 체언’.
주019)
딜워:찔러. 딜우-[刺]+어. 이 동사는 15세기 중엽에 본시 ‘디-’이나, 당시에도 제2음절 ‘ㆍ’ 음가의 불완전성으로 ‘디르-’로 나타나는 것이 있는데, 여기 ‘딜우-’는 ‘ㆍ〉ㅡ’와는 예외로 ‘ㆍ〉ㅜ’로 일시 나타났다가(「선종영가집언해」의 다음에 든 예문이 고작임.) 사라진 것으로 보임. 世尊이 因時예 바로 니 디시며〈남명 하:52ㄴ〉. 갈로 디르 야(如人刀刺狀)〈구급 상:18ㄴ〉. 내 네 槍 사 도로 네 방팰 딜우리라〈영가 하:116ㄴ〉.
주020)
기 시:기는 듯이. 기-[匐]+(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의존명사)+시(부사형어미). ‘시’의 ‘시’는 ‘’의 ‘ㅅ’을 중철 표기한 것임. 이 동사는 본시 ‘긔-’로 쓰인 것인데, ‘ㅢ’ 이중모음의 음가가 불안정하여 일찍 ‘ㅣ’ 모음으로 정착한 것이 아닌가 함. 긔 거시며  거시며〈월석 1:11ㄱ주〉. 獸 긔 이라〈월석 21:113ㄱ주〉.
주021)
알케:앓게. 앓-[痛]+게(부사형 어미). 허튀 알하 거르믈 몯 거르실〈월석 8:100ㄱ〉. 定에에 나 머리 알니(而出定頭痛)〈능엄 5:74ㄴ〉.
주022)
니:하니. 하는 것이니. -+(현재시상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23)
나믜:남에. 태어남에. 나-[生]+옴/움(명사형 어미)+의(처소의 부사격조사). 어간 모음이 ‘ㅏ, ㅓ, ㅗ, ㅜ’의 경우 어미의 ‘-오/우-’가 줄어 나타나지 않음.
주024)
열 가짓:열 가지의. 열[十]#가지[種]+ㅅ(관형격조사).
주025)
은니라:은혜이다. 은혜인 것이다. 은혜이니라. 은(恩)+이(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니라’의 ‘ㄴ’은 ‘은’의 ‘ㄴ’이 중철된 표기를 나타낸 것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