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10가지 은혜
  • 제3 자식을 낳고 걱정을 잊으신 은혜[生子忘憂恩]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3 자식을 낳고 걱정을 잊으신 은혜[生子忘憂恩]


부모은중경언해:7ㄴ

第三 生子忘憂恩

새채 식 나니 주001)
나니:
낳으니. 낳-[生]+으니.
시 니즌 주002)
시 니즌:
걱정을 잊은. 시[憂]#닞-[忘]+(관혀사형 어미).
은니리 주003)
은니리(라):
‘리’는 ‘은니라’에서 ‘-라’의 탈획으로 봄. ‘은(恩)+이(서술격조사)+라’. ‘-니-’은 ‘은’의 종성 ‘ㄴ’의 중철 표기임.
※ 신심사본 대교 : 은니리-은니라.

셋째는 자식을 낳으니 걱정을 잊은 은혜이다.

頌曰
慈母生君日 五臟摠開張 身心俱悶絶 血流似屠羊
生已聞兒健 歎善倍加常 善定悲還至 痛苦徹心腸

어미 식 나 주004)
나:
낳은. 낳-[産]+(관형사형 어미).
나 주005)
나:
날에. 날[日]+(부사격 조사).
오이 주006)
오장이:
오장이. 오장(五臟)+이(주격조사).
주007)
다:
모두. 다.
여럿도다 주008)
여럿도다:
열렸구나. 열었구나. 열-[開]+엇+도+다. 이 동사는 자·타동사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음. ‘엇’이 완료 또는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형태소로 문법화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보임. 여름도 열며 竭川에 이 나니〈월천 상:46ㄴ〉. 곳 우희 七寶 여르미 여느니〈월석 8:12ㄱ〉.
미 다 긔졀고 주009)
긔졀고:
기절하고. 긔졀(氣絶)-+고. 이 한자어의 정음 표기로 처음 보이는 것은 16세기 말엽 「소학언해」임. 믄득 긔졀였다가 보야호로 더라(頓絶方蘇)〈소학 6:29ㄴ〉.
흘로미 주010)
흘로미:
흐름이. 흐르-[流]+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 다힌 주011)
양 다힌:
양을 잡은. 양[羊]#다히-[屠]+ㄴ(관형사형 어미).  갈로 쇼 다효(以一刀)〈원각 하2의2:10ㄱ〉. 어딘 사미 해 고기 다히며 고기 낫  수멧니(賢多隱釣)〈두언 10:11ㄱ〉.
듯도다 주012)
듯도다:
듯하구나. 듯-+도+다.
나코 주013)
나코:
낳고. 낳-[産]+고. 아뫼나 겨지비 아기 나 時節을 當야〈석상 9:25ㄴ〉.  아기란 업고 새 나니란 치마예 다마 이베 믈오〈월석 10:24ㄱ〉.
아기 건실타 주014)
건실타:
건전하고 착실하다. 건실(健實)-+다. ‘타’는 ‘-+다’가 준 것임. 이 형용사는 드문 것으로 「고어사전」에 모두 실리지 않고 용례도 ‘이 문헌’의 이 대목이 유일한 것으로 보여, 앞으로 이 형용사가 표제어로 등록되면 좋겠음.
니 깃브미 주015)
깃브미:
기쁨이. 깃브-[喜]+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15세기에는 명사형어미로 ‘(오/우)ㅁ’이 쓰였으나, 여기서는 ‘오/우’의 개입 없이 ‘ㅁ’만으로 명사형어미가 나타난 예임. 難陀 깃브다 논 말이오〈석상 13:7ㄴ주〉. 오롬과 雜念괘 다 그처도  깃븐  내디 마 디어다〈몽산 18ㄴ〉.
더옥 주016)
더옥:
더욱. 더옥[尤](부사). 이 부사는 본시 ‘더욱’으로 쓰였는데, ‘더옥’은 15세기 말엽 「두시언해」, 16세기 초엽 「번역소학」 등에 보임. 敬天勤民샤 더욱 구드시리다〈용가 125〉. 須達 이 그 말 듣고 더욱 깃거 다시 라〈석상 6:20ㄱ〉. 나그내 시르미 얼의여슈믈 더옥 혜튜리라〈두언 20:23ㄱ〉.
도다 주017)
도다:
배가 되는구나. (倍)-+도+다. 녜 고매셔 倍터니〈월석 14:19ㄱ〉. 이 동사는 앞 예문처럼 한자어인데, 「교학고어사전」에 앞 예문만 실려 있고, 정음 표기는 ‘이 문헌’의 이 대목이 처음으로 보여 이를 사전에 올려야 하겠음. ⟶ 67쪽. ‘4. 다’.
깃브미 고 주018)
뎡고:
머무르고. 정해지고. (定)-+고.
슬픈 주019)
슬픈:
슬픈. 슬프-[哀]+ㄴ(관형사형 어미).
미 도혀 주020)
도혀:
도리어. 도혀[還](부사). 이 부사는 본시 ‘도’로 「석보상절」과 그 후의 불경언해에는 많이 쓰였으나, ‘도혀’는 「원각경언해(1465)」 이후에는 통일되어 쓰였음. 이제 도  어 아 여희에 시니〈석상 6:5ㄴ〉. 도혀 世間 본〈원각 상2의2:56ㄴ〉.  내욤 햿 藥  도혀 다 病 나긔 호미 몯리니〈구급 상:12ㄴ〉.
나니 주021)
나니:
생기니. 나-[生]+니.
셜우미 주022)
셜우미:
설움이. 셟-[苦](ㅂ불규칙)+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명사형어미가 ‘움’ 대신에 ‘음’이 결합했을 가능성 있음.
간(의) 주023)
간:
여기 ‘’은 ‘’의 오자임. 신심사본도 그대로 따랐음. 간장(肝腸)에. 마음에. 간(肝腸)+(부사격조사). 사의 간을 시름게 니라〈박해 중:32〉.
놋도다 주024)
놋도다:
통하였구나. -[徹]+(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옷(감탄법 선어말어미)+도(감동법 선어말어미)+다. 通達  씨라〈석상 13:4ㄴ주〉. 通은 知慧 차 마  업슬 씨라〈월석 2:54ㄴ〉. → 62쪽. 감동법 ‘-도/돗/옷/ㅅ-’.
※ 신심사본 대교 : 나-나리, 여럿도다-여렷도다, 깃브미-싯브미.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어머니가 자식을 낳은 날에 오장이 모두 열렸구나.
마음이 다 기절하고 피 흘림이 양 잡은 듯하구나.
낳고 아기가 건강하다 하니 기쁨이 더욱 배가 되는구나.
기쁨이 정해지고 슬픈 마음이 도리어 나니 설움이 간장에
(=마음에)
사무치는구나.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니:낳으니. 낳-[生]+으니.
주002)
시 니즌:걱정을 잊은. 시[憂]#닞-[忘]+(관혀사형 어미).
주003)
은니리(라):‘리’는 ‘은니라’에서 ‘-라’의 탈획으로 봄. ‘은(恩)+이(서술격조사)+라’. ‘-니-’은 ‘은’의 종성 ‘ㄴ’의 중철 표기임.
주004)
나:낳은. 낳-[産]+(관형사형 어미).
주005)
나:날에. 날[日]+(부사격 조사).
주006)
오장이:오장이. 오장(五臟)+이(주격조사).
주007)
다:모두. 다.
주008)
여럿도다:열렸구나. 열었구나. 열-[開]+엇+도+다. 이 동사는 자·타동사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음. ‘엇’이 완료 또는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는 문법형태소로 문법화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보임. 여름도 열며 竭川에 이 나니〈월천 상:46ㄴ〉. 곳 우희 七寶 여르미 여느니〈월석 8:12ㄱ〉.
주009)
긔졀고:기절하고. 긔졀(氣絶)-+고. 이 한자어의 정음 표기로 처음 보이는 것은 16세기 말엽 「소학언해」임. 믄득 긔졀였다가 보야호로 더라(頓絶方蘇)〈소학 6:29ㄴ〉.
주010)
흘로미:흐름이. 흐르-[流]+옴(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1)
양 다힌:양을 잡은. 양[羊]#다히-[屠]+ㄴ(관형사형 어미).  갈로 쇼 다효(以一刀)〈원각 하2의2:10ㄱ〉. 어딘 사미 해 고기 다히며 고기 낫  수멧니(賢多隱釣)〈두언 10:11ㄱ〉.
주012)
듯도다:듯하구나. 듯-+도+다.
주013)
나코:낳고. 낳-[産]+고. 아뫼나 겨지비 아기 나 時節을 當야〈석상 9:25ㄴ〉.  아기란 업고 새 나니란 치마예 다마 이베 믈오〈월석 10:24ㄱ〉.
주014)
건실타:건전하고 착실하다. 건실(健實)-+다. ‘타’는 ‘-+다’가 준 것임. 이 형용사는 드문 것으로 「고어사전」에 모두 실리지 않고 용례도 ‘이 문헌’의 이 대목이 유일한 것으로 보여, 앞으로 이 형용사가 표제어로 등록되면 좋겠음.
주015)
깃브미:기쁨이. 깃브-[喜]+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15세기에는 명사형어미로 ‘(오/우)ㅁ’이 쓰였으나, 여기서는 ‘오/우’의 개입 없이 ‘ㅁ’만으로 명사형어미가 나타난 예임. 難陀 깃브다 논 말이오〈석상 13:7ㄴ주〉. 오롬과 雜念괘 다 그처도  깃븐  내디 마 디어다〈몽산 18ㄴ〉.
주016)
더옥:더욱. 더옥[尤](부사). 이 부사는 본시 ‘더욱’으로 쓰였는데, ‘더옥’은 15세기 말엽 「두시언해」, 16세기 초엽 「번역소학」 등에 보임. 敬天勤民샤 더욱 구드시리다〈용가 125〉. 須達 이 그 말 듣고 더욱 깃거 다시 라〈석상 6:20ㄱ〉. 나그내 시르미 얼의여슈믈 더옥 혜튜리라〈두언 20:23ㄱ〉.
주017)
도다:배가 되는구나. (倍)-+도+다. 녜 고매셔 倍터니〈월석 14:19ㄱ〉. 이 동사는 앞 예문처럼 한자어인데, 「교학고어사전」에 앞 예문만 실려 있고, 정음 표기는 ‘이 문헌’의 이 대목이 처음으로 보여 이를 사전에 올려야 하겠음. ⟶ 67쪽. ‘4. 다’.
주018)
뎡고:머무르고. 정해지고. (定)-+고.
주019)
슬픈:슬픈. 슬프-[哀]+ㄴ(관형사형 어미).
주020)
도혀:도리어. 도혀[還](부사). 이 부사는 본시 ‘도’로 「석보상절」과 그 후의 불경언해에는 많이 쓰였으나, ‘도혀’는 「원각경언해(1465)」 이후에는 통일되어 쓰였음. 이제 도  어 아 여희에 시니〈석상 6:5ㄴ〉. 도혀 世間 본〈원각 상2의2:56ㄴ〉.  내욤 햿 藥  도혀 다 病 나긔 호미 몯리니〈구급 상:12ㄴ〉.
주021)
나니:생기니. 나-[生]+니.
주022)
셜우미:설움이. 셟-[苦](ㅂ불규칙)+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명사형어미가 ‘움’ 대신에 ‘음’이 결합했을 가능성 있음.
주023)
간:여기 ‘’은 ‘’의 오자임. 신심사본도 그대로 따랐음. 간장(肝腸)에. 마음에. 간(肝腸)+(부사격조사). 사의 간을 시름게 니라〈박해 중:32〉.
주024)
놋도다:통하였구나. -[徹]+(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옷(감탄법 선어말어미)+도(감동법 선어말어미)+다. 通達  씨라〈석상 13:4ㄴ주〉. 通은 知慧 차 마  업슬 씨라〈월석 2:54ㄴ〉. → 62쪽. 감동법 ‘-도/돗/옷/ㅅ-’.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