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어머니의 열 달 고통
  • 여덟째 달
메뉴닫기 메뉴열기

여덟째 달


阿孃 八箇月 懷胎生其意智 長其九竅

여 주001)
여:
여덟. 여[八]. 이 수사는 15세기 중엽엔 ‘여듧’으로 쓰이다가 16세기 초엽에는 ‘여’이 쓰였음. 이는 아마도 ‘ㆍ’의 동요와 관련된 것으로 보임. 여듧 나랏 王이 난겻기로 토거늘〈석상 6:7ㄱ〉. 여듧 마(八味)〈능엄 7:16ㄱ〉. 제 아 云山이 나히 여이러니(其弟云山年八)〈속삼강 효:19ㄱ〉. 여 셤 토리라〈번박 상:11ㄱ〉.
리면 회 아기 과 디혜 주002)
디혜:
지혜. 디혜(智慧). 智慧 샤 저푸미 업스시며〈월천 상:29ㄴ〉. 이의 정음 표기는 16세기 초엽에 나타남. 믄 젹고져 며 디혜 두려워 거틸  업고〈번소 8:1ㄴ〉.
나며 주003)
나며:
생기며. 나-[生]+며.
아홉 가짓 주004)
가짓:
가지의. 종류의. 가지[種]+ㅅ(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 ‘ㅅ’은 유정물의 존칭이나 무정물에 쓰이고, 평칭의 인칭 체언에는 ‘-/의/ㅣ’가 쓰였음.
굼기 주005)
굼기:
구멍이. 구무/굼ㄱ[孔]+이(주격조사). ‘굼근, 굼글’과 같이 씌었음.
기니라 주006)
기니라:
자라는 것이다. 자란다. 크는 것이다. 긴 것이다. 길-[生長](동사)+(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길-’은 동사와 형용사에 모두 쓰임. 그 남기 倍倍히 싁싁고 길어늘〈석상 24:48ㄱ〉. 곧 알 五根이 더 기러(卽前五根增長)〈원강 상2의2:115ㄴ-ㄱ〉.
※ ‘여’의 받침 ‘’은 여기서도 세로 연서됨.
※ 신심사본 대교 : 아홉-아흠.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여덟 달이면 회태에서 아기 뜻과 지혜가 생기며 아홉 가지 구멍이 자라느니라.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여덟. 여[八]. 이 수사는 15세기 중엽엔 ‘여듧’으로 쓰이다가 16세기 초엽에는 ‘여’이 쓰였음. 이는 아마도 ‘ㆍ’의 동요와 관련된 것으로 보임. 여듧 나랏 王이 난겻기로 토거늘〈석상 6:7ㄱ〉. 여듧 마(八味)〈능엄 7:16ㄱ〉. 제 아 云山이 나히 여이러니(其弟云山年八)〈속삼강 효:19ㄱ〉. 여 셤 토리라〈번박 상:11ㄱ〉.
주002)
디혜:지혜. 디혜(智慧). 智慧 샤 저푸미 업스시며〈월천 상:29ㄴ〉. 이의 정음 표기는 16세기 초엽에 나타남. 믄 젹고져 며 디혜 두려워 거틸  업고〈번소 8:1ㄴ〉.
주003)
나며:생기며. 나-[生]+며.
주004)
가짓:가지의. 종류의. 가지[種]+ㅅ(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 ‘ㅅ’은 유정물의 존칭이나 무정물에 쓰이고, 평칭의 인칭 체언에는 ‘-/의/ㅣ’가 쓰였음.
주005)
굼기:구멍이. 구무/굼ㄱ[孔]+이(주격조사). ‘굼근, 굼글’과 같이 씌었음.
주006)
기니라:자라는 것이다. 자란다. 크는 것이다. 긴 것이다. 길-[生長](동사)+(현재시상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라(설명법 종결어미). ‘길-’은 동사와 형용사에 모두 쓰임. 그 남기 倍倍히 싁싁고 길어늘〈석상 24:48ㄱ〉. 곧 알 五根이 더 기러(卽前五根增長)〈원강 상2의2:115ㄴ-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