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역주 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 10가지 은혜
  • 제5 진 자리 마른 자리 골라 누이신 은혜[廻乾就濕恩]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5 진 자리 마른 자리 골라 누이신 은혜[廻乾就濕恩]


부모은중경언해:8ㄴ

第五 廻乾就濕恩

다채 아기란 주001)
아기란:
아기는. 아기[兒]+란(보조사).
 주002)
:
마른. -[乾]+ㄴ. 내 니마해 론 香이 몯 랫거든 도로 오나라〈월석 7:7ㄴ〉. 業火ㅣ 라 거늘(業火燒乾)〈능엄 8:118ㄱ〉.
 누이고 즌  주003)
즌 :
진 곳에. 즐-[濕]+ㄴ#[處]. ‘즐-’의 종성 ‘ㄹ’은 자음어미 ‘ㄴ, ㄷ’ 등 앞에서 탈락됨. ‘’는 ‘(의존명사)+(부사격조사)’로 분석될 수 있음. 부텨 가시논 히 즐어늘 善慧 니버 잇더신 鹿皮 오 바사 해 시고〈월석 1:16ㄱ〉.
눔 주004)
눔:
눕는. 눕-[臥]++ㄴ. ‘눔’은 ‘눕’의 ‘는’의 ‘ㄴ’ 앞에서 ‘ㅂ’이 ‘ㅁ’으로 비음동화된 표기임. 중세국어 음운현상 중, 비음동화는 드물지만 합성어 ‘니-→니, 니-+어→녀’의 경우, 종성 ‘ㅎ’이 ㄴ 어미 위에서 ‘닿-+→논, 놓-+→논’ 같은 경우 정도가 있고 그밖의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대목에서처럼 종성 ‘ㅂ’이 ㄴ 어미 위에서 ‘ㅁ’으로 동화된 표기는 아주 드문 용례임. 이는 당시의 문어보다는 간행지의 구어의 반영을 그대로 옮긴 표기가 아닌가 함. 舍利弗이 虛空애 올아 거르며 셔며 안며 누며 고〈석상 6:33ㄴ〉. 두루 니며 안며 누으며 호(經行及坐臥)〈금삼 2:23ㄱ〉. → 40쪽. ‘비음동화’.
※ 신심사본 대교 : 아기란-다기란.

다섯째는, 아기는 마른 데 누이고 어머니는 진 데 눕는 은혜.

頌曰
母自身俱濕 將兒以就乾 兩乳充飢渴 羅袖掩風寒
恩怜恒廢寢 寵弄振能歡 但令孩子穩 慈母不永安

어미 즌  도라눕고 주005)
도라눕고:
돌아눕고. 돌-[返]+아#눕-[臥]+고. 종래 「고어사전」에 ‘돌아눕다’를 합성어로 표제어를 삼은 것이 없는바, 이 대목을 근거로 실었으면 좋겠음.
아기란   누이놋도다 주006)
누이놋도다:
누이도다. 누이는구나. 누이-[寢]++옷+도+다. 淤濃 거츤 드르헤 누이며〈월석 18:39ㄴ〉. 아기를 누이고〈번박 상:56〉. → 62쪽. 감동법 ‘-도/돗/옷/ㅅ-’.
져즈로 주007)
져즈로:
젖으로. 졎[乳]+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
주리거든 주008)
주리거든:
굶주리거든. 주리-[飢]+거든(조건, 가정의 연결어미).
머기고 깁소매로 주009)
깁소매로:
비단 소매로. 깁[羅]#소매[袖]+로.
  주010)
 :
찬 데. -[寒]+ㄴ#.  믈 리어 시니라〈석상 11:20ㄴ〉. 늘근 나해 關鬲이 더니 마시 더우니 시르미 업도다〈두언 16:73ㄱ〉.
둡놋도다 주011)
둡놋도다:
덮도다. 덮는구나. 둪-[蓋]++옷+도+다. 마리 퍼 두퍼시 부톄  디나시고〈월석 1:16ㄱ〉. 綵女ㅣ 七寶蓋 자바 金壜 우희 둡며〈석상 23:49ㄴ〉. ‘둡-’은 ‘둪-’의 8종성 표기임. 제목 풀이에 ‘눔’은 자음동화된 표기로 한바, 여기서는 동화될 수 있는 음운 환경인데도 동화되지 않은 표기를 썼음.
어엿브니 주012)
어엿브니:
가엾으니. 어엿브-[憐]+니. 어엿븐 사 쥐주어 거리칠〈석상 6:13ㄱ〉. 어엿블 휼 恤〈훈몽 하:14ㄱ〉.
미 주013)
미:
잠이. [睡]+이(주격조사).  드로미 마 기프니(寢已熟)〈두언 8:28ㄴ〉. 쉬우미 옷 니버 번  요미 니라〈금삼 3:20ㄱ〉.
업고 괴노라 주014)
괴노라:
사랑한다. 괴-[愛]+(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의도법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괴여 爲我愛人而 괴 爲人愛我〈훈해 합자〉.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악장 중, 가사 상:4 청산별곡〉.
니 즐겁도다 주015)
즐겁도다:
즐겁구나. 즐겁-[喜]+도+다.
다믄 주016)
다믄:
다만. 다믄[但](부사). 네 다  모맷 목숨 위야도〈석상 24:29ㄱ〉. 이는 제2음절(비어두음절) ‘ㆍ:ㅡ’의 동요, 소멸로 ‘ㅡ’로 바뀐 경우가 많았으므로 비어두음절에서 ‘ㆍ→ㅡ’(16세기 완성)로 변천되었음. 우리 이 高麗ㅅ 말소믄 다믄 高麗ㅅ 해만  거시오〈번노 상:5ㄱ-ㄴ〉.
아기 편안케 주017)
편안케:
편안하게. 편안(便安)-+게. ‘케’는 ‘-+게’가 준 것임. 慈悲 衆生 便安케 시 거시어〈석상 6:5ㄴ〉. 이 형용사는 예문과 같이 한자 표기가 많았으나, 정음 표기는 15세기 말엽 「불정심다라니(1485)」에 처음으로 보임. 다가 지비 편안티 아니커나〈불정심 상:29ㄱ〉.
고 어미 편안호믈 주018)
편안호믈:
편안함을. 편안(便安)-+옴(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구티 주019)
구티:
구하지. 찾지. 구(求)-+디. ‘티’는 ‘-+디’가 준 것임. 물읫 有情이 求논 이 다 得긔 호려 시니라〈석상 9:4ㄱ〉. 이 동사는 앞 예문처럼 당시는 한자 표기가 보통이나, 정음 표기는 16세기 초엽 「번역소학」에 처음으로 보임. 南陽 해셔 받가라 어디단 소 나 구티 아니더니〈번소 8:19ㄴ〉.
아니다 주020)
아니다:
아니한다. 아니-++다. 앞에서는(8ㄱ) ‘ㄴ’으로 나타난 것이 여기서는 ‘’로 나타남. → 77쪽. ‘아니다’.
※ 신심사본 대교 : 져즈로-졋즈로, 아기-아기, 편안케-편안계, 편안호믈-편안믈.
Ⓒ 언해 | 오응성 / 1545년(인종 1) 월 일

어머니는 진자리에 돌아눕고 아기는 마른 자리에 누이는구나.
두 젖으로 굶주리거든 먹이고 비단 소매로 찬 데를 덮는구나.
가엾으니 잠이 없고 사랑하노라 하니 즐겁구나.
다만 아기를 편안하게 하고 어머니는 편안함을 구하지 않는다.
Ⓒ 역자 | 김영배 / 2011년 11월 31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기란:아기는. 아기[兒]+란(보조사).
주002)
:마른. -[乾]+ㄴ. 내 니마해 론 香이 몯 랫거든 도로 오나라〈월석 7:7ㄴ〉. 業火ㅣ 라 거늘(業火燒乾)〈능엄 8:118ㄱ〉.
주003)
즌 :진 곳에. 즐-[濕]+ㄴ#[處]. ‘즐-’의 종성 ‘ㄹ’은 자음어미 ‘ㄴ, ㄷ’ 등 앞에서 탈락됨. ‘’는 ‘(의존명사)+(부사격조사)’로 분석될 수 있음. 부텨 가시논 히 즐어늘 善慧 니버 잇더신 鹿皮 오 바사 해 시고〈월석 1:16ㄱ〉.
주004)
눔:눕는. 눕-[臥]++ㄴ. ‘눔’은 ‘눕’의 ‘는’의 ‘ㄴ’ 앞에서 ‘ㅂ’이 ‘ㅁ’으로 비음동화된 표기임. 중세국어 음운현상 중, 비음동화는 드물지만 합성어 ‘니-→니, 니-+어→녀’의 경우, 종성 ‘ㅎ’이 ㄴ 어미 위에서 ‘닿-+→논, 놓-+→논’ 같은 경우 정도가 있고 그밖의 경우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 대목에서처럼 종성 ‘ㅂ’이 ㄴ 어미 위에서 ‘ㅁ’으로 동화된 표기는 아주 드문 용례임. 이는 당시의 문어보다는 간행지의 구어의 반영을 그대로 옮긴 표기가 아닌가 함. 舍利弗이 虛空애 올아 거르며 셔며 안며 누며 고〈석상 6:33ㄴ〉. 두루 니며 안며 누으며 호(經行及坐臥)〈금삼 2:23ㄱ〉. → 40쪽. ‘비음동화’.
주005)
도라눕고:돌아눕고. 돌-[返]+아#눕-[臥]+고. 종래 「고어사전」에 ‘돌아눕다’를 합성어로 표제어를 삼은 것이 없는바, 이 대목을 근거로 실었으면 좋겠음.
주006)
누이놋도다:누이도다. 누이는구나. 누이-[寢]++옷+도+다. 淤濃 거츤 드르헤 누이며〈월석 18:39ㄴ〉. 아기를 누이고〈번박 상:56〉. → 62쪽. 감동법 ‘-도/돗/옷/ㅅ-’.
주007)
져즈로:젖으로. 졎[乳]+으로(도구의 부사격조사).
주008)
주리거든:굶주리거든. 주리-[飢]+거든(조건, 가정의 연결어미).
주009)
깁소매로:비단 소매로. 깁[羅]#소매[袖]+로.
주010)
 :찬 데. -[寒]+ㄴ#.  믈 리어 시니라〈석상 11:20ㄴ〉. 늘근 나해 關鬲이 더니 마시 더우니 시르미 업도다〈두언 16:73ㄱ〉.
주011)
둡놋도다:덮도다. 덮는구나. 둪-[蓋]++옷+도+다. 마리 퍼 두퍼시 부톄  디나시고〈월석 1:16ㄱ〉. 綵女ㅣ 七寶蓋 자바 金壜 우희 둡며〈석상 23:49ㄴ〉. ‘둡-’은 ‘둪-’의 8종성 표기임. 제목 풀이에 ‘눔’은 자음동화된 표기로 한바, 여기서는 동화될 수 있는 음운 환경인데도 동화되지 않은 표기를 썼음.
주012)
어엿브니:가엾으니. 어엿브-[憐]+니. 어엿븐 사 쥐주어 거리칠〈석상 6:13ㄱ〉. 어엿블 휼 恤〈훈몽 하:14ㄱ〉.
주013)
미:잠이. [睡]+이(주격조사).  드로미 마 기프니(寢已熟)〈두언 8:28ㄴ〉. 쉬우미 옷 니버 번  요미 니라〈금삼 3:20ㄱ〉.
주014)
괴노라:사랑한다. 괴-[愛]+(현재시상 선어말어미)+오(의도법 선어말어미)+라(설명법 종결어미). 괴여 爲我愛人而 괴 爲人愛我〈훈해 합자〉.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악장 중, 가사 상:4 청산별곡〉.
주015)
즐겁도다:즐겁구나. 즐겁-[喜]+도+다.
주016)
다믄:다만. 다믄[但](부사). 네 다  모맷 목숨 위야도〈석상 24:29ㄱ〉. 이는 제2음절(비어두음절) ‘ㆍ:ㅡ’의 동요, 소멸로 ‘ㅡ’로 바뀐 경우가 많았으므로 비어두음절에서 ‘ㆍ→ㅡ’(16세기 완성)로 변천되었음. 우리 이 高麗ㅅ 말소믄 다믄 高麗ㅅ 해만  거시오〈번노 상:5ㄱ-ㄴ〉.
주017)
편안케:편안하게. 편안(便安)-+게. ‘케’는 ‘-+게’가 준 것임. 慈悲 衆生 便安케 시 거시어〈석상 6:5ㄴ〉. 이 형용사는 예문과 같이 한자 표기가 많았으나, 정음 표기는 15세기 말엽 「불정심다라니(1485)」에 처음으로 보임. 다가 지비 편안티 아니커나〈불정심 상:29ㄱ〉.
주018)
편안호믈:편안함을. 편안(便安)-+옴(명사형어미)+을(목적격조사).
주019)
구티:구하지. 찾지. 구(求)-+디. ‘티’는 ‘-+디’가 준 것임. 물읫 有情이 求논 이 다 得긔 호려 시니라〈석상 9:4ㄱ〉. 이 동사는 앞 예문처럼 당시는 한자 표기가 보통이나, 정음 표기는 16세기 초엽 「번역소학」에 처음으로 보임. 南陽 해셔 받가라 어디단 소 나 구티 아니더니〈번소 8:19ㄴ〉.
주020)
아니다:아니한다. 아니-++다. 앞에서는(8ㄱ) ‘ㄴ’으로 나타난 것이 여기서는 ‘’로 나타남. → 77쪽. ‘아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